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연구책임자 |
동효관
|
참여연구자 |
김경주
,
강민경
,
장의선
,
성경희
,
임해미
,
김성경
,
이재봉
,
배주경
,
김소연
,
최병택
,
최원호
,
김용진
,
이기영
,
김희영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7-12 |
과제시작연도 |
2017 |
주관부처 |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등록번호 |
TRKO201900002357 |
과제고유번호 |
1105012210 |
사업명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DB 구축일자 |
2019-06-15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900002357 |
초록
▼
이 연구는 ‘교육과정의 점검’과 ‘교육의 질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관한 정책 연구로, 201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2017년 학업성취도 평가 도구 개발, 채점 및 결과 보고, 학업성취도 평가의 활용도 제고 방안, 최근 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른 학업성취도 평가 발전을 위한 정책 제언 등을 다루었다.
❏ 201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과별 평가 결과 분석
201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2016년 6월 21일(화)에 시행하였다. 국어, 수학, 영어 교과는
이 연구는 ‘교육과정의 점검’과 ‘교육의 질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관한 정책 연구로, 201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2017년 학업성취도 평가 도구 개발, 채점 및 결과 보고, 학업성취도 평가의 활용도 제고 방안, 최근 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른 학업성취도 평가 발전을 위한 정책 제언 등을 다루었다.
❏ 201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과별 평가 결과 분석
201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2016년 6월 21일(화)에 시행하였다. 국어, 수학, 영어 교과는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대상의 전수평가로, 사회, 과학 교과는 중학교 3학년 대상의 표집평가로 시행하였다.
2015년 평가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으므로, 2016년의 결과 분석에서는 2015년 결과와의 추이 분석을 추가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는 2015년에 비해 국어, 사회,수학, 영어 교과의 성취도 점수는 증가하였으나 과학 교과의 성취도 점수는 감소하였다.
성취수준별 비율의 경우 우수학력의 비율은 과학 교과를 제외한 모든 교과에서 증가하였으며, 보통학력의 비율은 모든 교과에서 증가하였다. 기초학력의 비율은 사회 교과를 제외한 모든 교과에서 감소하였으며, 기초학력 미달의 비율은 국어, 사회 교과는 감소한 반면 수학,과학, 영어 교과는 증가하였다. 고등학교는 2015년에 비해 국어, 영어 교과의 성취도 점수는 증가하였으나, 수학 교과의 성취도 점수는 감소하였다. 성취수준별 비율은 우수학력의 비율은 모든 교과에서 증가하였으며, 보통학력의 비율은 모든 교과에서 감소하였다. 기초학력의 비율은 국어, 영어 교과는 감소한 반면, 수학 교과는 증가하였으며, 기초학력 미달의 비율은 국어, 영어 교과는 증가, 수학 교과는 감소하였다.
2016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문항 수준에서 분석하기 위해 교과별로 하위 영역에 따라 성취수준별 대표 문항을 선정하여 분석하였고, 선다형과 서답형 문항에 대한 심층분석을 통해 성취수준별 학업 성취 특성을 도출하였다. 문항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성취수준별 학업 성취 특성을 강점과 약점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성취수준별로 취약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 201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도구 개발
2017년 학업성취도 평가 도구 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학교 교육과정 운영 현황을 조사하여 학업성취도 평가 범위를 설정하였고, 출제위원 대상의 사전 워크숍 등을 진행하였으며, 출제 인력풀 DB 개선 및 문항 DB 업데이트, 출제 체제 개선 방안 모색을 위한 출제위원 및 검토위원 설문 조사 등으로 출제 기반도 개선하였다.
201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도구 개발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문항은 국가 수준에서의 교육의 질 관리 및 교육과정 점검이라는 학업성취도 평가의 취지를 충실히 달성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타당하게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둘째, 서답형 문항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 결과의 분석을 통해 학교 현장에 학생 반응, 학업 성취 특성 등에 대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는 서답형 문항을 출제하고 서술형 문항의 출제 비율을 제고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학생 성장을 돕는 공교육 내실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셋째,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고르게 출제함과 동시에 성취수준별 대표 문항을 충분히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의 성과를 출제에 활용하는 한편, 문항 개발에 대한 사전 계획을보다 구체적이고 면밀하게 수립하였다.
❏ 201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채점 및 결과 보고
학업성취도 평가의 서답형 문항 채점은 온라인 채점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표집채점’과 ‘표집학교 및 채점희망학교 채점’으로 진행되었다. 2017년의 주요 개선 사항으로는 자동채점 프로그램을 웹 기반으로 재구축하여 온라인 채점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통합함으로써 표집채점의 효율성을 제고하였다. 또한 2016년에 처음 시도된 문자 인식 기술을 확대 적용하여 문항별 공백 답안 추출을 표집채점과 표집학교 및 채점희망학교 채점에서 모두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표집채점에서는 평균 23.8%, 표집학교 및 채점희망학교 채점에서는 평균 22.6%의 채점 분량을 감축하였다. 이 외에도 채점 진행상의 편의성 제고를 위해 온라인 채점 시스템을 다양한 측면에서 개선하였다.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는 학생용 평가결과표로 제공되며 이를 위해 교과별로 학업 성취 특성 진술문을 작성하였다. 최종적으로 완성된 평가결과표는 온라인 제공 방식으로 배포되었다.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활용도 제고 방안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학생 대상 평가결과표 개선안을 개발하고 교사와 연구자를 위한 홍보자료를 제작하여 배포하였다.
기존의 평가결과표의 경우, 제공 정보는 제한적이고 학업 성취 특성 진술문은 포괄적이어서 개별 학생을 고려한 맞춤형 피드백이 어렵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국내외 관련 연구 등을 통해 교수·학습 활동 지원에 활용 가능한 정보를 발굴하고 이를 가독성 있게 제시한 개선안을 개발하였다. 개선안은 2면인 지면을 4면으로 확대하고, ‘교과별 성취도’, ‘교과별 세부 영역 성취도’, ‘교과별 성취수준 특성’ 등의 정보와 ‘평가 결과 해석 방법’을 함께 제시하여 이해도와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특히 ‘교과별 세부 영역 성취도’는 각 교과별 주요 내용·행동 영역별로 2단계의 성취수준을 제시하여 기존 결과표보다 더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개선안에 대한 현장 교사와 학생 대상의 적합성 검토 결과, 기존 결과표보다 학생의 교수·학습에 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는 평가를 받았다.
홍보자료는 학업성취도 평가의 취지, 결과 분석 내용 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기 위해 개발하여 시·도교육청 및 학교 등에 제공하였다. 학교급별, 교과별 총 8종이 제작되었으며,학업성취도 평가의 개요 및 관련 정보, 2016년 교과별 주요 결과 및 문항별 분석 결과 등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이 자료는 인쇄물과 PDF 파일로 제작하여, 201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시·도교육청 업무담당관 워크숍, 출제위원 사전 워크숍, 기타 주요 협의회 등에서 배포하고 ‘학업성취도 평가 정보 서비스(https://naea.kice.re.kr)’에 탑재하였다.
❏ 정책 제언
이 연구는 학업성취도 평가와 관련하여 전수평가에서 표집평가로의 전환, 2015 개정 교육과정 도입 등 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이해도 및 활용도 제고,인식 변화, 시행 상의 어려움 해소 등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5가지의 정책 제언을 하였다.
이는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학업성취도 평가 활용도 제고 방안 마련,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역량 평가를 위한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유형의 연구 개발과 보급 지원 방안,학업성취도 평가의 원활한 시행을 위한 표집학교 협력 제고 방안 마련, 학업성취도 평가결과 활용을 통한 시·도교육청 정책 지원 역할 강화 방안, 학업성취도 평가 이해도 제고를 위한 홍보 방안의 다양화 등이다.
(출처 : 연구요약 7p)
Abstract
▼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1) analyze the test results from the 2016 NAEA according to 5 subjects (Korean, Social Studies, Mathematics, Science, and English), 2) develop test tools as well as report on the test results of the 2017 NAEA, 3) make suggestions for ways to utilize the results from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1) analyze the test results from the 2016 NAEA according to 5 subjects (Korean, Social Studies, Mathematics, Science, and English), 2) develop test tools as well as report on the test results of the 2017 NAEA, 3) make suggestions for ways to utilize the results from the NAEA, and 4) provide informative proposals for establishing effective educational policies.
❏ Analysis of the test results of the five subjects in the 2016 NAEA
The 2016 NAEA was administered on the 21st of June 2016. It was administered in five subjects - Korean, Social Studies, Mathematics, Science, and English - for 3rd graders in middle schools and in three subjects -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for 2nd graders in high schools.
Comparisons between the achievement scores of the 2015 and 2016 NAEA for middle school students show that the scores for Korean, Social Studies, Mathematics, and English increased, whereas the score for Science decreased. When comparing the student levels, it was found that, in 2016, the percentage of advanced level students was higher in the four subjects (with the exception of Science) and the percentage of proficient level students was also higher in all five subjects. The percentage of basic level students was less in every subject except Social Studies. While the percentage of below-basic level students was higher in Mathematics, Science, and English, there were less below-basic level students in Korean and Social Studies.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achievement scores for Korean and English increased in 2016, whereas the scores for Mathematics decreased. In order to have informative data analysis results, representative test items for different achievement level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ub-categories in each subject and constructed response items were analyzed in-depth in order to draw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in different academic achievement levels. Based on these results, ways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t different achievement levels were suggested for each subject.
❏ Development of the 2017 NAEA test tools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cess of developing test items for the 2017 NAEA, the researchers first conducted surveys to investigate how school curriculums operated and used this information to decide the scope of the test for each subject. Then, researchers in each subject provided a workshop for test item developers so that they could all share the same goals and objectives for writing test items forthe 2017 NAEA. A data base (DB) of test items for test writers was updated. After they had finished writing the test items, surveys about ways to enhance the test item development process were conducted with the professors and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test writing and reviewing teams.
❏ Scoring and reporting the results of the 2017 NAEA
Constructed-response items from sample schools as well as those schools which wanted to have reports on test results were scored using an online scoring system.
The following was conducted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ies of the scoring process.
First, the online scoring systems of 2017 were reconstructed combining an automatic scoring system with the previous online scoring system, having the two different functions of automatic and manual scoring systems in a single online system. The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technology which had been adopted in 2016 was used aswell. Using this technology, the number of answer sheets was able to be decreased by about 23.8% by deleting empty answer sheets. Test results with statements describing students’ characteristics of academic achievement in different levels for each subject were provided online for each student.
❏ Utilizing the NAEA results
As an example of a practical way to use the results of the NAEA, a customized student report card for individual students was developed. The report card includes detailed information about each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urveys for students and teachers were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report card. A promotional brochure including information such as goals of the NAEA and results of the 2016 NAEA were developed and distributed at workshops with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est developers, and at other meetings with teachers and professors in areas related to educational studies. The version of PDF file of the promotional brochure was uploaded at the Information Service for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ebsite at https://naea.kice.re.kr.
❏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educational polic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five suggestions were made to help establish effective educational policies: Use the results of the NAEA to enhance the National Curriculum; support budgets for studies investigating test items assessing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develop strategies to enhance cooperation from the sampling schools; support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o use the customized NAEA results; improve understanding about the goals of the NAEA us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nd publicity.
(출처 : ABSTRACT 251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구협력진 ... 3
- 머리말 ... 5
- 연구요약 ... 7
- 목차 ... 11
- 표목차 ... 15
- 그림목차 ... 19
- Ⅰ 서론 ... 2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3
- 가.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23
- 나. 연구의 목적 ... 27
- 2. 연구 내용 ... 28
- 가. 2016년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과별 결과 분석 ... 28
- 나. 2017년 학업성취도 평가 출제 방안 수립 ... 29
- 다. 2017년 학업성취도 평가 채점 및 결과 보고 방법 개선 ... 30
- 라.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활용도 제고 ... 31
- 3. 연구 방법 ... 31
- 가. 문헌 연구 ... 31
- 나. 전문가협의회 ... 32
- 다. 통계 자료 분석 ... 33
- 라. 설문 조사 ... 34
- 마. 세미나 ... 35
- Ⅱ 201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과별 평가 결과 분석 ... 37
- 1. 201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개요 ... 39
- 가. 평가 대상 및 시기 ... 39
- 나. 평가 범위 ... 40
- 2. 2015~201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과별 결과 추이 분석 ... 41
- 가. 국어과 ... 41
- 나. 사회과 ... 43
- 다. 수학과 ... 44
- 라. 과학과 ... 46
- 마. 영어과 ... 47
- 3. 201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과별 선다형 문항 분석 ... 49
- 가. 국어과 ... 50
- 나. 수학과 ... 54
- 다. 영어과 ... 58
- 4. 201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과별 서답형 문항 분석 ... 62
- 가. 사회과 ... 62
- 나. 과학과 ... 67
- 5. 201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과별 문항 분석의 시사점 ... 73
- 가. 국어과 ... 74
- 나. 사회과 ... 79
- 다. 수학과 ... 82
- 라. 과학과 ... 88
- 마. 영어과 ... 91
- Ⅲ 201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도구 개발 및 체제 개선 방안 ... 97
- 1. 201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개요 ... 99
- 가. 평가 대상, 평가 범위 및 평가 시간 ... 99
- 나. 재외 한국학교의 학업성취도 평가 시행 ... 102
- 2. 201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출제 기반 개선 ... 104
- 가. 학교 교육과정 운영 현황 조사 및 2017년 학업성취도 평가 범위 설정 ... 104
- 나. 출제위원 역량 제고를 위한 출제위원 사전 워크숍 강화 ... 118
- 다. 학업성취도 평가 출제 인력풀 DB 개선 및 문항 DB 업데이트 ... 119
- 3. 201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도구 개발 ... 122
- 가. 2017년 학업성취도 평가 도구 개발 방향 ... 122
- 나. 2017년 학업성취도 평가 도구 개발 내역 ... 127
- 4.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출제 체제 개선 방안 모색 ... 133
- 가. 출제 체제 개선을 위한 설문 조사 ... 133
- 나. 출제 체제 개선에 대한 시사점 ... 139
- Ⅳ 201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채점 및 결과 보고 ... 141
- 1. 채점 과정 및 절차 ... 143
- 가. 표집채점 ... 144
- 나. 표집학교 및 채점희망학교 채점 ... 156
- 2. 평가 결과 보고 ... 160
- 3. 채점 체제 개선을 위한 설문 조사 ... 167
- 가. 설문 내용 ... 167
- 나. 설문 대상 ... 167
- 다. 설문 결과 ... 168
- 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활용도 제고 방안 ... 175
- 1. 학생용 평가결과표 개선 방안 ... 177
- 가. 평가결과표 현황 및 개선 방향 탐색 ... 177
- 나. 평가결과표 개선안 개발 ... 183
- 다. 평가결과표 개선안 현장 적합성 검토 ... 194
- 2. 2016년 학업성취도 평가의 주요 결과 홍보 ... 205
- 가. 홍보자료의 필요성 및 발간 배경 ... 206
- 나. 홍보자료 구성 체제 ... 207
- 다. 홍보자료 배포 및 온라인 탑재 ... 211
- Ⅵ 요약 및 정책 제언 ... 213
- 1. 요약 ... 215
- 2. 정책 제언 ... 223
- 참 고 문 헌 ... 243
- ABSTRACT ... 251
- 부 록 ... 255
- [부록 1] 출제 체제 개선을 위한 설문지 ... 257
- [부록 2] 채점 체제 개선을 위한 설문지 ... 266
- [부록 3] 학업성취도 평가결과표 개선안 ... 268
- [부록 4] 학업성취도 평가결과표 개선안의 현장 적합성 검토를 위한 설문지 ... 276
- 끝페이지 ... 288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