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과제명 | 신선 편이 농산물(엽채류) 중 주요 식중독세균의 모니터링 기법 확립 및 현장 활용 매뉴얼 개발 |
---|---|
주관연구기관 |
국립농업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9-03 |
과제시작년도 | 2018 |
주관부처 | 농촌진흥청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
등록번호 | TRKO201900015924 |
과제고유번호 | 1395054902 |
사업명 | 친환경안전농축산물생산기술(R&D) |
DB 구축일자 | 2019-10-19 |
키워드 | 신선편이 농산물.엽채류.식중독세균.진단키트.매뉴얼.fresh-cut vegetable.leafy green.foodborne pathogen.detection.manual.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900015924 |
· 신신선편이 농산물은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비가열 상태로 섭취하는 경우가 많아 식중독세균 오염 가능성 상존하므로 모니터링에 사용할 시료 전처리 기법 확립이 필요함
· 선택성 증가를 위한 배지조성 개선 ...
· 신신선편이 농산물은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비가열 상태로 섭취하는 경우가 많아 식중독세균 오염 가능성 상존하므로 모니터링에 사용할 시료 전처리 기법 확립이 필요함
· 선택성 증가를 위한 배지조성 개선 및 검출한계 도달을 위한 최소 배양 조건 확립함
- 대장균:(기존)2~3일→(개선)5시간으로 검출시간 단축
- 바실러스 세레우스:(기존)2~3일→(개선)7시간으로 검출시간 단축
- 민감도: 대장균(10 CFU/g), 바실러스 세레우스(1,000 CFU/g)
· 확립된 전처리법과 분자시험법을 연계하여 신속검출법 현장적용 및 매뉴얼 제작 및 배부
(출처 : 요약서 3p)
Purpose&Contents
Development rapid detection method for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cereus in fresh-cut vegetables
Res...
Purpose&Contents
Development rapid detection method for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cereus in fresh-cut vegetables
Results
The development for rapid detection system for E. coli
- The rapid detection system was developed using 3 h-enrichment method combined with conventional PCR analysis.
- The targeted E. coli included non-pathogenic E. coli.
- The purpose for detection of E. coli was over 1 Log CFU/g, qualitatively.
The development for rapid detection system of B. cereus
- The rapid detection system was developed using multiplex PCR by a commercial kit that could distinguish from B. thuringiensis.
- The purpose for detection of B. cereus was over 3 Log CFU/g to semi-quantify cell counts.
The development for manual of rapid detection manual
- The purpose of the manual was to detect E. coli and B. cereus, qualitatively.
- In the manual, the rapid detection system of E. coli in fresh-cut leafy vegetables was described to apply enrichment method (3 h-enrichment) and conventional PCR analysis by uidA targeted primer.
- Also, the rapid detection system of B. cereus in fresh-cut leafy vegetables was described to apply enrichment method (5 h-enrichment) and multiplex PCR that distinguish from B. thuringiensis.
Expected Contribution
Distribution of monitoring techniques and rapid detection manual of foodborne pathogen of fresh-cut vegetables to food safety related organization
(출처 : Summary 5p)
참여 연구원 |
---|
신선 편이 농산물(엽채류) 중 주요 식중독세균의 모니터링 기법 확립 및 현장 활용 매뉴얼 개발
주관연구기관 : 국립농업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발행년월 : 2019-03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신선 편이 농산물(엽채류) 중 주요 식중독세균의 모니터링 기법 확립 및 현장 활용 매뉴얼 개발 |
---|---|
연구책임자(Manager) : | 노은정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2016 ~ 2018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74,000,000원 |
키워드(keyword) : | 신선편이, 엽채류, 식중독세균, 진단키트, 매뉴얼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국립농업과학원 |
연구목표(Goal) : | 식중독세균 모니터링을 위한 신선편이 엽채류 품목별 시료채취 및 전처리 기법 매뉴얼 개발 |
연구내용(Abstract) : | ○ 신선편이 엽채류의 적정 시료량 및 시료수 결정을 위한 조사 ○ 식중독세균 검출율 및 회수율 개선을 위한 전처리 방법 연구 ○ 확립된 시료 전처리 기법의 현장적용 및 개선 연구 ○ 품목별 수확후처리단계 식중독세균 오염우려지점 파악 조사 ○ 오염우려지점 반영 시료채취계획 확립 연구 ○ 식중독세균 모니터링을 위한 신선편이 엽채류 시료채취 및 전처리기... |
기대효과(Effect) : | 농산물 유형에 최적화된 식중독세균의 검출, 진단, 병원성 확인 등 체계화된 시험방법을 공유함으로써 관련 연구 분야 선도 공인된 시험법 확립과 매뉴얼 개발을 통해 농산물 안전성 분야의 시험검사기관 및 국가 연구소의 신뢰도 향상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