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
연구책임자 |
장미혜
|
참여연구자 |
이미정
,
고현승
,
김현아
,
노성훈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9-10 |
과제시작연도 |
2019 |
주관부처 |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
등록번호 |
TRKO202000005549 |
과제고유번호 |
1105014748 |
사업명 |
한국여성정책연구원(R&D) |
DB 구축일자 |
2020-07-29
|
키워드 |
기술기반 성폭력.이미지기반 성폭력.온라인 젠더폭력.사이버 성폭력.테크노 페미니즘.digital sexual abuse.image-based sexual abuse.technologyfacilitated sexual violence.online gender-based violence.cyber sexual violence.
|
초록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디지털 시대의 젠더폭력은 이전의 젠더폭력과는 전혀 다른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 새로운 형태의 폭력은 최초의 촬영자뿐만 아니라 유포 및 재생산하는 익명의 대중 모두가 가해자의 한 사람이 될 수 있다.불법촬영물의 피해자는 이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피해를 겪으며,정신적 불안 및 트라우마, 사회적 고립 상태를 경험한다.
○ 이전의 폭력과 가장 구분되는 점은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넘어 피해가 지속된다는 점이다. 과거의 피해 경험이 단절되지 않고 온라인 공간을통해 다시 현재에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디지털 시대의 젠더폭력은 이전의 젠더폭력과는 전혀 다른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 새로운 형태의 폭력은 최초의 촬영자뿐만 아니라 유포 및 재생산하는 익명의 대중 모두가 가해자의 한 사람이 될 수 있다.불법촬영물의 피해자는 이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피해를 겪으며,정신적 불안 및 트라우마, 사회적 고립 상태를 경험한다.
○ 이전의 폭력과 가장 구분되는 점은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넘어 피해가 지속된다는 점이다. 과거의 피해 경험이 단절되지 않고 온라인 공간을통해 다시 현재에서 지속된다. 최초로 폭력이 발생했던 장소의 공간적 제약성을 넘어 이미지 전송을 통해 피해가 재생산된다.
○ 본 연구에서는 불법촬영물 범죄의 유형화를 위해 그동안 진행된 연구들을 통해 디지털 성폭력의 개념에 대해 정리하고 그 중 불법촬영물 범죄가 다른 유형의 범죄와 구분되는 점을 살펴본다. 이후 불법촬영물피해 현황과 수사 및 기소 과정을 살펴보고 각 단계에서 발생하는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한 성인지적 분석을 실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이뤄지고 있는 불법촬영물 범죄에 대한 대책을 살펴보고 향후 필요한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 불법촬영 사건의 수사 및 기소과정에 대한 성인지적 분석은 이번 연구를 통해 처음 시도되는 것으로 피해자 및 피해자 국선변호사, 일선에서 사건을 담당한 수사관들을 대상으로 세밀한 면접조사를 실시했다. 이를 통해 불법촬영 사건이 가지는 특수성을 파악하고, 이전의 연구에서 한 걸음 나아가 수사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 실질적으로 필요한 정책을 끌어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 연구내용
○ 통신매체를 이용한 디지털 성폭력의 종류와 개념에 대해 정리하고 이론적 논의를 살펴본다. 이후 현재 생산되는 자료를 분석하여 불법 촬영물의 생산 및 유포 현황을 파악한다.
○ 불법촬영물 피해자와 피해자국선변호사를 심층 면접하여 불법촬영물 피해 여성이 불법촬영물 인지 단계부터 신고 후 가해자 처벌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겪는 경험을 분석한다.
○ 불법촬영물 사건을 담당한 수사관을 심층 면접하여 불법촬영물 사건의 수사과정 및 수사과정의 한계를 파악하고, 수사관들이 피해자와 가해자에게 가진 인식과 수사 경험을 성인지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 불법촬영물 관련 정책의 추진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파악한다. 앞서 진행된 심층 면접의 결과와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정책 방향에대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 연구방법
○ 문헌 연구 및 자료 수집, 경찰청 통계 자료 및 대법원 판결 분석, 피해자 및 국선변호사와 수사관계자에 대한 심층 면접, 관계 전문가 자문회의,디지털 성범죄 연구포럼을 통해 연구를 진행한다.
(출처 : 연구요약 6p)
Abstract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stinctiveness of the imagebased sexual abuse incident through a gender-recognition analysis of the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process of the illegal shootingcase, and to draw out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by reflecting the voice at the actual scene. The form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stinctiveness of the imagebased sexual abuse incident through a gender-recognition analysis of the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process of the illegal shootingcase, and to draw out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by reflecting the voice at the actual scene. The form of gender violence in the digital age is transforming in a completely different way from theprevious one. Unlike previous violence, damage persists beyond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and the past damage experience isnot disjointed but rather reproduced in the present online space.
Through this process, victims continue to suffer from mental anxiety, trauma and social isolation. Due to this distinctive nature of digital sexual violenc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ases from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 existing gender violence.
This following research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victims, public defenders, and investigators in charge of the case. It analyzed the experiences of image-based sexual abuse victims in the process of punishment of the perpetrator after reporting the victim from the illegal photographing stage. It also analyzed the investigation process and limitations experienced by theinvestigator in charge of the case from a gender-based perspective.
The paper further identified the problems that occurred at each stage of the image-based sexual abuse incident and provided the necessary policy implications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areas need to be improved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first, in the current investigation system, victims report to the investigative agency to monitor the damage video. If the investigator is a male, the victim complains of feeling repulsion and shame. To minimize this, a policy shouldbe revised by designating a separate person in charge of monitoring the video and prevent others from watching the same video.
Secondly, victims may have secondary damages by authoritative attitudes and inappropriate questions in the process of police and prosecution investigation. Therefore, strengthening job training forinvestigative agencies is required. Thirdly, female investigator in charge of the case needs to be expanded to relieve the burden on the existing female investigator.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sufficient exchange of opinions and enhanced cooperation among both male and female investigators regarding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case. Fourth, education is needed to increase the expertiseof investigators. Interviews of investigators confirmed that due tothe nature of the image-based sexual abuse crimes, it is essentialto obtain evidence to prove the charges. However, proper action is not taken in the reality and the research figured out that the problems sometimes occur in the investigation phase. In order to resolve this, a detailed set of procedures and guidelines should be arranged, and the standard research model needs to be improvedbased on the reality of investigation.
The areas that need improvement in the prosecution and punishment stages of image-based sexual abuse case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sentencing of the crime varies from case to case and various illegal components are also intertwin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andard of determining punishment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se. Seco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ictims suffer secondary damages by the mediator in the criminal mediation process. With regard to this, there needs to be a policy consideration for customized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requesting specific qualifications as coordinators or providing step-by-step training. Third, especially for those image-based abuse crimes, the scope of evidence is likely to be on the perpetrator’sside, thus it is difficult for the victim to know the existence or distribution of the photographs. Therefore, active confiscation and search by the investigative agencies are necessary. Moreover, when there has been a threat of photographs dissemination, the victims are most likely feared and exposed to possible crime. In this case, the same measure such as an active confiscation and search should be done. Lastly, victims may expose to secondary damage by the media and by their acquaintances in the process of having agreement, but there were not many cases where victims actively go through legal procedures. In this regard, secondarydamage can be reduced if the court reflects the occurrence andextent of secondary damage in the determination of punishment.
In particular, if there was an agreement, the court needs to look into the process in detail. Some victims are forced to agree due to the perpetrator’s unreasonable demands for an agreement, pressure from acquaintances, and fear of retaliation. Thus, if the perpetrator continues to try to reach an agreement with the victim, even though the victim clearly indicated that she or he didn't want to agree, the court needs to consider this as secondary damage and reflect when in the determination of punishment.
(출처 : Abstract 168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간사 ... 4
- 연구요약 ... 6
- 목차 ... 18
- 표목차 ... 21
- 그림목차 ... 22
- Ⅰ. 서 론 ... 24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6
- 가. 연구 필요성 ... 26
- 나. 연구 목적 ... 30
- 2. 연구내용 및 방법 ... 32
- 가. 연구내용 ... 32
- 나. 연구방법 ... 34
- 3. 이론적 검토 및 국내외 정책 사례 분석 ... 36
- 가. 디지털 시대의 성폭력 ... 36
- 나. 사이버・온라인・디지털 성폭력의 개념 ... 38
- 다. 디지털 성폭력의 종류 ... 43
- 라. 불법촬영물에 대한 정책현황 ... 47
- Ⅱ. 불법촬영물의 현황과 실태 ... 54
- 1. 불법촬영물 관련 최근의 법과 제도의 변화 ... 56
- 2. 불법촬영물 관련 통계 ... 59
- 가. 통신매체이용음란 범죄 통계 ... 59
- 나. 카메라등이용촬영 범죄 통계 ... 64
- 3. 소결 ... 71
- Ⅲ. 불법촬영물에 대한 피해와 기소경험에 대한 심층면접 조사 ... 74
- 1. 피해자 심층면접 조사 ... 76
- 가. 면접 대상 ... 76
- 나. 질문의 구성 ... 76
- 다. 면접 내용 분석 ... 78
- 2. 피해자 국선변호사 심층면접 조사 ... 82
- 가. 면접 대상 ... 82
- 나. 질문의 구성 ... 83
- 다. 면접 내용 분석 ... 85
- 3. 소결 ... 102
- Ⅳ. 불법촬영물의 수사대응 관계자 심층면접 조사 ... 104
- 1. 조사 목적 ... 106
- 2. 조사 방법 ... 106
- 가. 면접대상의 선정 ... 106
- 나. 면접방식 ... 108
- 다. 질문의 구성 ... 109
- 3. 조사 결과 ... 110
- 가. 불법촬영사건 조사과정 및 증거확보 ... 110
- 나. 가해자에 대한 인식 ... 113
- 다. 피해자에 대한 인식 ... 118
- 라. 수사관의 성별의 영향에 대한 인식 ... 125
- 마. 이차피해의 원인과 대응방안에 대한 인식 ... 131
- 4. 소결 ... 137
- Ⅴ. 불법촬영물 감소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 ... 140
- 1. 신고 및 수사 단계에서의 개선사항 ... 142
- 가. 수사상 피해자 권리보호를 위한 조치 강화 ... 142
- 나. 불법촬영물 담당 여성수사관의 확충 ... 143
- 다. 수사현실을 기반으로 표준조사모델 개선 ... 144
- 라. 불법촬영 신고처리 단계에서의 전문성 향상 ... 145
- 마. 불법촬영물 수사의 과중한 업무 해소 ... 146
- 바. 수사관의 성인지 교육 개선 ... 147
- 2. 기소 및 처벌 단계에서의 개선방안 ... 148
- 가. 양형기준의 근거마련과 엄격한 처벌 강화 ... 148
- 나. 형사조정제도의 개선 ... 152
- 다. 검찰단계에서의 피해자 권리보호 ... 154
- 라. 적극적인 압수, 수색의 필요성 ... 155
- 마. 이차 피해에 대한 적극적인 처벌 ... 155
- 3. 소결 ... 157
- 참고문헌 ... 160
- Abstract ... 168
- 끝페이지 ... 17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