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
연구책임자 |
박성수
|
참여연구자 |
구용의
,
황명실
,
전우진
,
김은정
,
서민경
,
이승찬
,
백소원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9-12 |
과제시작연도 |
2019 |
주관부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연구관리전문기관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
등록번호 |
TRKO202000029950 |
과제고유번호 |
1475011247 |
사업명 |
식품등안전관리(R&D) |
DB 구축일자 |
2020-10-10
|
키워드 |
프탈레이트.위험성결정.통합노출평가.위해성평가.phthalate.Hazard Characterization.aggregated exposure assessment.risk assessment.
|
초록
▼
프탈레이트류는 플라스틱을 유연하게 해주는 가소제로써 식품포장지, 어린이용장난감, 광택제, 향수, 가죽제품, 카펫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한 제품군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프탈레이트류는 인체적용제품에 널리 사용되어 소비자에게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화학물질이며, 복합적 노출도 가능하다. 따라서, 국내 관리현황, 인체바이오모니터링 검출현황 등을 기준으로 7종의 프탈레이트류(DEHP, DBP, BBP, DEP, DnOP, DIDP, DINP)를 대상물질로 선정하고 통합위해평가를 수행하였다.
통합위해평가는 기존 위해평가
프탈레이트류는 플라스틱을 유연하게 해주는 가소제로써 식품포장지, 어린이용장난감, 광택제, 향수, 가죽제품, 카펫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한 제품군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프탈레이트류는 인체적용제품에 널리 사용되어 소비자에게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화학물질이며, 복합적 노출도 가능하다. 따라서, 국내 관리현황, 인체바이오모니터링 검출현황 등을 기준으로 7종의 프탈레이트류(DEHP, DBP, BBP, DEP, DnOP, DIDP, DINP)를 대상물질로 선정하고 통합위해평가를 수행하였다.
통합위해평가는 기존 위해평가 4단계에 따라 수행하였다. 프탈레이트류 7종의 인체노출안전기준은 국내 기준을 적용하였다. 노출평가는 1단계로 기존의 시나리오 기반 노출평가를 수행하고, 2단계로 실제 국민의 프탈레이트류 체내 총노출을 추정하기 위해 인체바이오모니터링 기반의 노출평가를 수행하였다. 위해도결정은 위해지수방법을 적용하였다.
위해지수는 노출량과 인체노출안전기준을 비교하여 1보다 낮으면 위해우려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시나리오 기반 노출평가를 위한 자료는 2009년 이후의 국내·외 발표된 문헌을 조사하여 제품 중 프탈레이트류 함량정보를 확보(총 231개 문헌, 분석수 21,923건)하였으며, 이를 자료선정 원칙에 따라 신뢰도가 높은 정보를 선별하고,수집된 제품별 평균 함량을 시료수에 따라 가중평균으로 산출하여 최종 제품 중 프탈레이트류 평균 함량으로 DB화하였다(총52개 문헌, 분석수 9,361건). 또한, 주요 노출원에 대해 정보가 부족한 경우 국내 유통 제품 중 실제분석이 필요한 제품을 선정하고, 이들에 대한 실제 분석값을 확보하여 DB화하였다. 제품 중 프탈레이트류 함량 DB와 국내 노출계수(식약처 및 환경부자료)를 이용하여 시나리오 기반 노출평가를 수행하였다. 국내 노출계수가 없는 경우는 국외 자료를 참고하였다.
인체바이오모니터링 자료는 식약처(‘10-’12년 연구사업) 및 환경부(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1-3기, ‘09-’17)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인체시료 중 농도를 이용하여 외적노출량 산출을 위한 추정모델은 Compartment 모델을 적용하였다.
시나리오 기반 노출평가 결과 DEHP 노출량은 5.684~19.915, DBP 1.488~3.735, BBP 0.844~1.566, DEP 7.383~22.827 DnOP 0.594~11.077, DIDP 1.576~4.766, DINP 3.207~27.344 ㎍/kg bw/day으로 나타났으며, 프탈레이트 7종의 개별위해지수는 0.0005~0.50으로 모두 1 미만으로 평가되어 현재 노출 수준은 위해우려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인체바이오모니터링 기반 노출평가 결과 DEHP 노출량은 0.92~11.2, DBP 0.81~2.76, BBP 0.07~.0.97, DEP 0.03~0.12,DIDP 0.09~0.206, DINP 0.27~1.68 ㎍/kg bw/day로 나타났으며, 프탈레이트 7종의 개별 위해지수는 0.0001~0.28로 모두 1 미만으로 평가되어 현재 노출 수준은 위해우려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번 평가에서 기존의 위해평가에서 활용되는 시나리오 기반 노출평가는 최근 새롭게 활용되고 있는 인체바이오모니터링 기반 노출평가에 비해 과대평가되는 경향을 보였고, 이는 제품 중 함량정보, 체내흡수율(경구 및 피부), 체내 전이율 및접촉빈도 등 노출량 산출식에 적용되는 정보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보수적 시나리오(최악의 시나리오)를 반영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국내 프탈레이트류 7종 중 DEP, DnOP, DIDP, DINP 등 4종에 대한 국내 노출원 중 모니터링 자료는 DEHP, DBP, BBP 등 3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따라서, 국내 프탈레이트 노출상황을 보다 실제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 다양한제품에서의 함량 및 전이량 관련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식품, 화장품 등 다양한 노출원으로부터 노출되는 프탈레이트류의 경우 인체바이오모니터링 기반 노출평가 방법이 체내 총노출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바이오모니터링 후속 연구 및 외적노출량 추정모델 기술 개발 등이 필요할 것이다.
(출처 : 국문 요약문 2p)
Abstract
▼
Phthalates are widely used in human application products, and they are likely to be exposed to consumers.
Phthalates(DEHP, DBP, BBP, DEP, DnOP, DIDP, DINP) were selected as targets of integrated risk assessment based on domestic management status and human biomonitoring detection status. Integrat
Phthalates are widely used in human application products, and they are likely to be exposed to consumers.
Phthalates(DEHP, DBP, BBP, DEP, DnOP, DIDP, DINP) were selected as targets of integrated risk assessment based on domestic management status and human biomonitoring detection status. Integrated risk assessment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four stages of risk assessment.
Exposure assessments were carried out in step 1(scenario-based exposure assessment) and step 2(human biomonitoring-based exposure assessment), respectively. human biomonitoring-based exposure assessment was performed to reflect the actual exposure situation. Health-based guidance value(HbGV) were applied in domestic standard. Risk characterization was applied hazard index. Compaing the exposure level with HbGV, if the hazard index was less than, it was determinated that there is no risk concern.
This study was collected relevant literatures of domestic and foreign produced from 2009 and investigated concentrations of 7 phthalates in products identified by the document selection principle(total 52 literature, 9,361 analysis).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ources of exposure in the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the product was analyzed and the measured values were reflected in the exposure assessment. The concentrations of 7 phthalate about products(food, cosmetics, toys etc.) is calculated as weighted average considering the number of samples.
Biomonitoring data are used to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0 -'12)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Basic Environmental Health Data 1-3 ('09 -'17). Also, this study is used the Compartment models in biomonitoring-based risk assessment to estimate total body exposure.
In results of scenario-based exposure assessment, exposure doses were 5.684~19.915(DEHP), 1.488~3.735(DBP), 0.844~1.566(BBP), 7.383~22.827(DEP), 0.594~11.077(DnOP), 1.576~4.766(DIDP), 3.207~27.344(DINP) ㎍/kg bw/day.
In results of biomonitoring-based exposure assessment, exposure doses were 0.92~11.2(DEHP), 0.81~2.76(DBP),0.07~.0.97(BBP), 0.03~0.12(DEP), 0.09~0.206(DIDP), 0.27~1.68(DINP) ㎍/kg bw/day. The individual hazard index of phthalates of scenario and biomonitoring-based exposure assessment were 0.0005~0.45 and 0.0001~0.28. It was estimated to be less than 1, and the current exposure level was assessed as being without risk concern.
In this study, scenario-based exposure assessment was overestimated compared with biomonitoring-based exposure assessment. This is considered to reflect the conservative scenario(worst scenario) because the exposure algorithm such as concentration of phthalate, body absorption rate (oral and skin) and contact frequency is very limited. Also, monitoring data among the domestic sources of four phthalates(DEP, DnOP, DIDP, DINP) were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three phthalates(DEHP, DBP, BBP). Thus, study of monitoring related concentration and transitions of phthalates must be carried out continuously in order reflect phthalates exposure levels more practically. In the case of phthalates exposed from various exposure sources such as food, cosmetics and toys etc., the biomonitoring-based exposure assessment is effective for identifying total exposure in the bod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llow up biomonitoring and develop an external exposure estimation model technology.
(출처 : SUMMARY 3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국문 요약문 ... 2
- Summary ... 3
- 목차 ... 4
- 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5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5
- 제2장 연구개발과제의 국내·외 연구개발 현황 ... 8
- 제3장 연구개발과제의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 12
- 제4장 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143
- 제5장 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146
- 제6장 연구개발과제의 연구개발 결과 활용계획 ... 147
- 제7장 참고문헌 ... 148
- 끝페이지 ... 15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