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제 원자력 전문인력 양성
Cultivation of International Nuclear Professional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원자력연구원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연구책임자 김현진
참여연구자 송현파 , 유혜원 , 정솔 , 남영미 , 주용창 , 김신애 , 신진명 , 조문성 , 장요원 , 황두성 , 이의진 , 송윤학 , 김현아 , 임정관 , 김예지 , 새드하셈 , 파투마 주마피리
보고서유형1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20-12
과제시작연도 2020
주관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등록번호 TRKO202100007858
과제고유번호 1711122753
사업명 한국원자력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DB 구축일자 2021-08-07
키워드 원자력 인력양성.교육훈련.국제교육.원자력교육.KAERI 강점기술.인력양성 협력.Nuclear Human Resources Development.Training and Education.Nuclear Training.KAERI Technology Strength.SAT.HRD Cooperation.SAT.

초록

본 과제에서는 국제 원자력 교육 훈련 분야에서의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국제 원자력 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였다. 원자력 도입국 혹은 개도국의 인력양성 수요를 바탕으로 지난 3년간 12개의 신규 국제 교육과정을 발굴, 시행하였다. 특히 아·태원자력 협력협정사무국(RCARO) 및 유엔개발계획(UNDP)과의 협력을 통해 전자빔 가속기 분야 이러닝 펠로우십을 운영한 것은 비원자력 국제기구인 유엔개발계획(UNDP) 사업을 수주하여 사업의 다각화에 기여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또한

Abstract

In this 3 year phases, we developed and implemented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international nuclear personnel based on our accumulated experience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nuclear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the demand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developing countries, 12 new i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3
  • 보고서 요약서 ... 5
  • 요 약 문 ... 7
  • SUMMARY ... 11
  • CONTENTS ... 15
  • 목차 ... 18
  • 표목차 ... 23
  • 그림목차 ... 27
  • 제1장 서론 ... 29
  • 제2장 2018년 KAERI 강점기술 중심 원자력 국제교육 강화 ... 35
  • 제1절 교육과정 개발 ... 37
  • 1. 2019-2021 KOICA-KAERI 방사약학 분야 교육과정 ... 37
  • 2. 2019 KOICA-KAERI 폐수처리 교육과정 ... 73
  • 3. IAEA-WCI-KAERI 방사약학 분야 e-Learning 교육과정 ... 90
  • 4. Nuclear Knowledge Management (NKM) School ... 102
  • 5. IAEA ANENT fellowship 프로그램 ... 104
  • 제2절 교육과정 운영 ... 106
  • 1. 교육과정 운영 내용 ... 106
  • 2. 국제 원자력 교육과정 종합평가 ... 123
  • 3. 2019 국제 원자력 교육과정 계획 ... 123
  • 제3장 2018년 원자력 교육훈련 체계 표준화 ... 125
  • 제1절 국제표준 교수학습모델 적용 교육과정 개선 ... 127
  • 1. Systematic Approach to Training (SAT) 기반 과정설계 개요 ... 127
  • 2. 과정별 SAT 기반 과정설계서 ... 130
  • 제2절 ISO 29990 적용 교육과정 개선 ... 147
  • 1. ISO 29990 규격 적용 교육과정 표준운영절차 개발 ... 147
  • 2. ISO 29990 규격 적용 2018년 국제교육과정 ... 149
  • 제4장 2018년 원자력 교육훈련 지식관리 기반 구축 및 네트워크 강화 ... 151
  • 제1절 원자력 교육훈련 지식관리 ... 153
  • 1. IAEA TWG-NPI(원자력 인프라 기술실무그룹) 활동 ... 153
  • 2. IAEA NKM School 동향 ... 153
  • 제2절 국제기구 및 네트워크 협력 ... 155
  • 1. IAEA 협력 ... 155
  • 2. ANENT 협력 ... 164
  • 3. WCI 협력 ... 166
  • 4. NEST 협력 ... 174
  • 제3절 양국 간 인력양성 협력 ... 176
  • 1. 한-사우디 협력 ... 176
  • 2. 기타 국가 협력 ... 185
  • 제5장 2018년 국제교육 인프라 강화 및 시설운영 ... 187
  • 제1절 운영개요 ... 189
  • 제2절 운영실적 ... 189
  • 제3절 운영 개선 및 보완 ... 190
  • 제6장 2019년 KAERI 강점기술 중심 원자력 국제교육 강화 ... 193
  • 제1절 교육과정 개발 ... 195
  • 1. IAEA Fellowship Program ... 195
  • 2. KAERI-IAEA Nuclear Knowledge Management School ... 198
  • 3. KOICA-KAERI 방사선 융합 폐수처리 분야 국제교육과정 ... 202
  • 4. IAEA-KAERI-WCI 방사성동위원소 및 진단ㆍ치료 목적의 방사성의약품 취급 과정 ... 213
  • 5. KOICA-IAEA-KAERI 방사성의약품 분야 국제교육과정 ... 216
  • 6. ANENT Fellowship Program ... 218
  • 7. KAERI-WCI 인도네시아 원자력청(BATAN) 대상 방사성의약품 분야 국제교육과정 ... 219
  • 8. RCA-UNDP Fellowship Program ... 222
  • 제2절 교육과정 운영 ... 234
  • 1. 교육과정 운영내용 ... 234
  • 2. 국제 원자력 교육과정 종합평가 ... 265
  • 3. 2020년 국제 원자력 교육과정 계획 ... 266
  • 제7장 2019년 원자력 교육훈련 체계 표준화 ... 267
  • 제1절 국제표준 교수학습모델 적용 교육과정 개선 ... 269
  • 1. Systematic Approach to Training (SAT) 기반 과정설계 개요 ... 269
  • 2. 과정별 SAT 기반 과정설계서 ... 270
  • 제2절 ISO 29990 적용 교육과정 개선 ... 309
  • 1. ISO 29990 규격 적용 교육과정 표준운영절차 개발 ... 309
  • 2. ISO 29990 규격 적용 2019년 국제교육과정 ... 312
  • 제8장 2019년 원자력 교육훈련 지식관리 기반 구축 및 네트워크 강화 ... 313
  • 제1절 원자력 교육훈련 지식관리 ... 315
  • 1. IAEA-TWG-NPI 활동 ... 315
  • 2. ANENT 플랫폼 구축 ... 315
  • 제2절 국제기구 및 네트워크 협력 ... 320
  • 1. IAEA 협력 ... 320
  • 2. ANENT 협력 ... 332
  • 3. WCI 협력 ... 335
  • 4. RCA-UNDP 협력 ... 336
  • 5. GIF 협력 ... 338
  • 제3절 양국간 인력양성 협력 ... 351
  • 1. 한-말레이시아 협력 ... 351
  • 2. 한-인도네시아 협력 ... 351
  • 3. 한-네팔 협력 ... 353
  • 제9장 2019년 국제교육 인프라 강화 및 시설 운영 ... 355
  • 제1절 운영개요 ... 357
  • 제2절 운영실적 ... 357
  • 제3절 운영 개선 및 보완 ... 358
  • 1. 국제 교육훈련 시설, 장비 구축 및 환경개선 : 11건 ... 358
  • 제10장 2020년 KAERI 강점기술 중심 원자력 국제교육 강화 ... 361
  • 제1절 교육과정 개발 ... 363
  • 1. RCA-UNOSSC 전자빔 이용 그룹 펠로우십 프로그램 ... 363
  • 2. RCA-UNOSSC 그룹펠로우십 연계 전자빔가속기 기술 및 이용 분야 온라인 과정 ... 376
  • 3. RCARO-KAERI 방사선이용기술 이러닝 국제교육과정 ... 386
  • 4. KOICA-KAERI-WCI-IAEA 방사성의약품 분야 국제교육과정: 2차년도 ... 391
  • 5. KOICA-KAERI-IAEA 전자선가속기 분야 국제교육과정: 2차년도 ... 392
  • 6. 2020 RCA/iTRS-HYU Radiation Safety Training Course 온라인 과정 ... 393
  • 7. 국제교육 수요조사 ... 397
  • 제2절 교육과정 운영 ... 402
  • 1. 교육과정 운영 내용 ... 402
  • 2. 국제 원자력 교육과정 종합평가 ... 423
  • 3. 2020년 국제 원자력 교육과정 계획 ... 424
  • 제11장 2020년 원자력 교육훈련 체계 표준화 ... 425
  • 제1절 국제 표준 교수 학습 모델 적용 교육과정 개선 ... 427
  • 1. Systematic Approach to Training (SAT) 기반 과정설계 개요 ... 427
  • 2. 과정별 SAT 기반 과정설계서 ... 428
  • 제2절 ISO 29990 적용 교육과정 개선 ... 457
  • 1. ISO 29990 규격 적용 교육과정 표준운영절차 개발 ... 457
  • 제12장 2020년 원자력 교육훈련 지식관리 기반 구축 및 네트워크 강화 ... 461
  • 제1절 원자력 교육훈련 지식관리 ... 463
  • 1. GIF 활동 ... 463
  • 제2절 국제기구 및 네트워크 협력 ... 463
  • 1. IAEA 협력 ... 463
  • 2. GIF 협력 ... 464
  • 3. 아시아원자력교육네트워크(ANENT) 협력 ... 469
  • 4. WCI 협력 ... 475
  • 제3절 양국간 인력양성 협력 ... 475
  • 1. 한-인도네시아 협력 ... 475
  • 2. 한-필리핀 협력 ... 484
  • 제13장 2020년 국제교육 인프라 강화 및 시설 운영 ... 489
  • 제1절 운영 개요 ... 491
  • 1. 국제원자력교육훈련센터 시설 현황 ... 491
  • 2. 시설 개요 ... 491
  • 제2절 운영실적 ... 492
  • 1. 인텍 시설운영 실적 ... 492
  • 2. 인텍 시설 운영 현황 ... 493
  • 제3절 운영 개선 및 효율화 방안 ... 494
  • 1. 운영 주체 변경에 따른 관리 문제점 ... 494
  • 2. 시설 운영 주체 변경 대책 ... 495
  • 3. 맺는말 ... 498
  • 제14장 결론 ... 501
  • 제15장 참고문헌 ... 505
  • 부록 ... 509
  • 부록1. 2018 IAEA-WCI-KAERI 교육과정 참가자 명단 ... 511
  • 부록2. 2018 IAEA-WCI-KAERI 교육과정 세부 일정표 ... 513
  • 부록3. 2018 IAEA-WCI-KAERI 영문과정개요서(Prospectus) ... 515
  • 부록4. 2018 IAEA-WCI-KAERI 교수요원 및 코디네이터 명단 ... 520
  • 부록5. 파견 협약서 ... 523
  • 부록6. 펠로우십 프로그램 사업추진절차 ... 536
  • 부록7. IAEA Nuclear Education Networks 기술회의 발표자료 ... 545
  • 서지정보양식 ... 551
  • BIBLIOGRAPHIC INFORMATION SHEET ... 552
  • 끝페이지 ... 553

표/그림 (139)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