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교육개발원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de |
연구책임자 |
김경애
|
참여연구자 |
김나영
,
김주아
,
김지혜
,
문보은
,
손찬희
,
서예원
,
박성호
,
양희준
,
이선호
,
최상덕
,
황준성
,
김신애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2-08 |
과제시작연도 |
2022 |
주관부처 |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교육개발원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de |
등록번호 |
TRKO202300003433 |
과제고유번호 |
1105018399 |
사업명 |
한국교육개발원 |
DB 구축일자 |
2023-06-28
|
키워드 |
미래교육.교육의제.교육의 시대정신.전환기 교육정책.Future Education.Educational Agenda.The spirit of the times in education.Educational politics in the transition period.
|
초록
▼
배경과 목적
◦ 배경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사회 전반과 일상생활이 크게 변화되었음. 그리고 달라진 삶에 대해서 ‘뉴노멀(new normal)’이라는 용어로 설명되고 있음.
- 교육에 있어 외부로부터 주어진 새로운 규범이나 일상(new normal)을 받아들이는 것만이 아니라 이를 넘어서서 더 나은 규범이나 일상(better normal)을 찾아야 할 것임.
◦ 목적
- 지구적, 생태적, 시대적 위기를 극복하는 대전환 시점에 한국 교육의 시대정신을 탐색하여 제안함.
- 2022년 한국교육개발원
배경과 목적
◦ 배경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사회 전반과 일상생활이 크게 변화되었음. 그리고 달라진 삶에 대해서 ‘뉴노멀(new normal)’이라는 용어로 설명되고 있음.
- 교육에 있어 외부로부터 주어진 새로운 규범이나 일상(new normal)을 받아들이는 것만이 아니라 이를 넘어서서 더 나은 규범이나 일상(better normal)을 찾아야 할 것임.
◦ 목적
- 지구적, 생태적, 시대적 위기를 극복하는 대전환 시점에 한국 교육의 시대정신을 탐색하여 제안함.
- 2022년 한국교육개발원(이하 KEDI) 창립 50주년을 맞이하여 현 시점에서 학습자의 삶의 지형과 조응할 수 있는 미래교육 정책 방향 및 어젠다를 제안함.
교육 체제 전환 요구와 배경
◦ 교육 뉴노멀
- 대전환기, 교육에서 노멀과 뉴노멀의 특징을 아래 표와 같이 정리해볼 수 있음. 단, 뉴노멀 중에는 이전부터 일부 나타나던 것이나 잠재되어 있던 것들이 확연하게 분출되면서 드러난 것들도 있음.
- 그런데 이 중에서는 미래 지향적인 방향성을 가진 긍정 요소도 있고 우려되는 부정 요소도 있으며 아직은 가치 판단을 하기 어렵거나 앞으로의 대응에 따라 교육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것으로 보이는 요소들도 있음. 이에 부정적 측면을 보완하면서 교육 전반이 긍정적 방향으로 진화할 수 있도록 전략적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
◦ 다양한 학습자 특성 고려 필요
- 빨라진 삶의 환경 변화 속도로 알파세대, Z세대, M세대, X세대, 586세대 등 세대별 경험, 인식, 가치관 등의 차이가 커지면서 세대별 교육 요구가 다르게 나타남.
- 특히 1) 디지털 환경에서 태어나고 자란 세대의 학습 방식을 고려한 교육, 2) 청년들이 맞닥뜨린 사회적 요구에 조응하는 교육, 3) 복잡, 혼돈, 예측 불가, 변화무쌍한 세상에서 살아가야 하는 성인들의 삶에 힘이 되어 줄 교육, 4) 다른 세대에 비해 고립도와 빈곤율이 높은 가운데 평생학습 참여율은 낮은 노년기 삶을 위한 교육 등을 고민해야 함.
◦ 교육 분야, 묵은 모순 극복 필요
- 사회 제도로서 교육을 보는 입장과 교육에 대한 개인의 비전 간 연결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교육 제도에서 개개인의 삶의 비전과 목적에 대한 관심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
- 가정과 학교에는 학력에 대한 신화가 여전히 존재하나 실제로는 교육-일(직업) 이행의 연결자로서 학력의 사회적 기능이 약화되면서 학력에 대한 회의가 확산되는 모순적 상황임. 이에 학력의 의미에 대한 재설정이 필요함.
- 교육 분야에서 공정성과 정의의 조화가 필요하기에 평가와 선발 시스템에서 능력 주의를 대체할 수 있는 적합한 방법을 찾거나 능력주의와 교육적 정의를 결합하는 현실적인 방안을 구안할 필요가 있음. 즉, 가치와 현실적 필요, 이상과 실천적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사회적 합의를 통해서 기준을 마련하면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전환기, 교육의 시대정신
◦ 생태적 조화
- 재난 앞에서 환경 위기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삶의 질이 경제적 성장에 의해서만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는 깨달음을 얻게 되었음. 이에 교육 안에서도 생명 존중, 정신적 가치, 공동체 연대 등의 생태적 가치를 조화롭게 녹여 낼 필요가 있음.
◦ 디지털 사회에서의 존재성 이해
- ‘디지털’이라는 속성이 가치, 사고 체계, 지식의 흐름, 관계, 학습 등 삶의 전 영역을 변화시키는 가운데 교육은 ‘디지털 전환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의 성장’을 지원하는 제도가 되어야 함. 이에 디지털 사회인에 맞는 교육 체제로 다시 설계될 필요가 있음.
◦ 격차 완화와 형평성 강화
- 지속되어 왔던 학습자 간, 지역 간 교육 격차 문제가 코로나19 이후 심화된 가운데 양극화, 하극화, 독점화 현상에 대응할 필요성이 커짐. 이에 다양한 성장 경로를 보장하는, 모두를 위한 형평성 추구를 강화해야 함.
◦ 근원적 질문, 새 질문 제기
- ‘거대한 가속’ 가운데 교육 혁신에 대한 요구가 커지는 상황임. 이에 지식관, 교육관, 학습관을 새롭게 정립하고, 교육 시스템 전반에 대해서 근원적인 고민을 하기 위한 ‘큰 질문’과 ‘새 질문’을 던져야 할 때임.
◦ 다시, 국가 미래 전략으로서 교육 전략
- 탈세계화 경향 심화 등의 복잡한 국제 정세 속에서 국가적으로 새로운 질서를 개척해야 하는 상황임. 이에 ‘사람’에 대한 적극적 투자, 교육 체제 유연화, 학교급별·생애 주기별 인재 전략 등 교육 전략을 국가의 미래 전략과 조응시킬 필요성이 높아짐.
전환기, 교육 정책 방향과 주요 어젠다
◦ 전환기, 교육 정책 방향
- 학습자 삶 중심: 학습자 입장에서 학습자 필요에 부응하여 모두가 자신만의 삶의 경로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교육 체제를 혁신함.
- 유연성: 다양한 학습 결과를 사회적으로 인정하는 등 다원성을 포용하는 유연한 교육 체제로 진화함.
- 현장성: 지역 주민의 삶을 반영하면서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교육 실천을 확산하며 현장 중심의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법·제도를 개선함.
- 연계·융합: 데이터 해석에 의한 교육 실천과 교육 정책 의사 결정을 통해 교육 정책의 미래 선도성을 강화하며 교육 정책 간은 물론 사회 정책과 교육 정책 간 연계성을 확대함.
- 사회 통합: 교육에서 배움과 성장의 가치, 공공의 가치 등 교육적 가치를 추구하며 다양한 학습자가 자신에게 맞는 질 높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는 가운데 학습자 모두가 일상생활에서 사회 문제 해결과 사회적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학습 기회를 갖도록 함.
◦ 전환기, 주요 교육 어젠다
1) 초·중등교육에서 선택권 확대 가운데 형평성 견지
-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를 통한 개별화 교육이 강화되는 가운데 학습자의 선택권이 확대되고 자기주도학습력이 강조되고 있음.
- 실질적인 맞춤형 교육을 발전시켜가는 가운데, 교육 안에서 학습자들이 자기주도 학습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모든 학습자들이 자신만의 성장 경로를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다양한 학습 공동체들을 만나 집단 지성을 발휘하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교육 체제를 설계할 필요가 있음.
2) 지역 소멸 위기 속 고등교육 지역균형발전과 경쟁력 강화
- 지역균형발전과 이를 위한 고등교육 경쟁력 강화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대학이 생존을 넘어서서 지역생태계 구축에서 어떻게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것인지 고민이 필요함.
- 고등교육의 지역균형발전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조치로서 대학 구조 조정을 통해 지역 건전대학 육성의 기반을 조성하고 지역대학 육성 정책 개선을 통해 특성화를 강화하는 등, 고등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정책을 병행할 필요가 있음.
3) 25세 이상 성인(인구의 78%, ‘21)을 위한 교육 체제 개편
- 급속한 저출생·고령화로 성인의 평생학습 수요가 증가해 왔으며 대전환 시대에 ‘학습-일-질 높은 삶’이 선순환하는 평생학습 체제의 구축이 요구됨.
- 생애 주기별 평생학습 체제 구축을 위해 학습-고용-복지 관련 부처 간 및 영역 간 정책 협력을 강화하고, 평생학습 체제를 제도적으로 정비하기 위해 「평생교육법」을 개정하고 「평생학습기본법」을 제정하며, 정규교육과 비정규교육의 경계를 넘는 상생형 지역 평생학습 생태계를 구축하고,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과 역할 확대를 위한 정책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4) 교육에서의 디지털 전환 경험, 그 의미 해석을 통한 다음 단계 모색
- 코로나19로 교육 부문에서 빠르게 디지털 기술 활용 확대가 이루어졌으나 여전히 원격 교육을 넘어서는 교육과 디지털과의 일상적인 접목에는 한계가 있는 상황임.
- 향후 디지털의 힘을 교육의 본질을 살리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는데, 교수자는 지식 전달자에서 학습 촉진자로의 역할 변화를 능동적으로 받아들이며, 학생들은 디지털 기기의 확보·활용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인식·태도의 선순환을 이루도록 해야 함.
5) 교육과 선발의 딜레마: 평가와 선발에서의 공정성 확보
- 일자리 구조 변화에 따라 구조적 불평등과 사회적 양극화가 심화되는 가운데 능력 평가 방식의 공정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확대됨.
- 차별적 노동시장 구조를 혁신할 필요가 있고, 대입 제도가 미래 역량에 대한 종합적 평가이면서 동시에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현실적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대입 경쟁 완화를 위해 교육 전반을 평생교육 체제로 전환하여 지속적인 재도전 기회를 부여하고, 적극적인 직업 전환 교육 정책을 펼치는 가운데 교육훈련에 대한 공적 재정 투입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6) 미래 지향적 유·초·중·고등교육 재정 투자
- 학령 인구 감소에 따른 초·중등교육 재정 감축 논의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교육 단계별 교육재정 투자 격차 해소에 대한 난제들을 해결해야 하는 상황임.
- 교육재정은 비용이 아니라 국가 미래를 위한 투자 관점으로 접근해야 하는데, 유아 교육 단계에서는 교육의 공공성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무상의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초·중등교육 단계에서는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투자 방향을 전환할 필요가 있고, 고등교육 단계에서는 시대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자율성과 책무성, 신뢰성을 확대하면서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이 아닌 별도 재정을 추가 확보할 필요가 있음.
7) 국가교육위원회부터 지방교육자치와 학교자치까지, 교육 거버넌스 재구성
- 전통적 교육 행정 체제의 한계에 대한 인식과 ‘굿 거버넌스(good governance)’로의 진화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확대되는 가운데 교육 거버넌스는 디지털화, 자치·자율화의 심화 등 사회적 변화에 맞는 형태로 변화할 것을 요구받음.
- 향후 중앙 교육 행정 체제로서 국가교육위원회의 연착륙과 위상 제고 및 교육부 기능의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며, 지방교육자치제도의 발전을 위해서는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간 적정 권한 배분, 숙의 역량 발휘를 통한 학교자치의 실현 등이 요청됨.
8) 교육 한류와 한국 교육의 세계 기여
- 세계적으로 한국에 대한 호감도와 한국 교육의 우수성에 관한 관심도가 상승하던 중이었는데 팬데믹을 계기로 세계 공통의 위기 대응과 공동체적 번영을 위한 교육 협력의 필요성이 고조되면서 한국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음.
- 이에 K-에듀(Edu) 비전과 교육 전문성을 전 세계적으로 공유하고 세계 공통의 교육의제를 발굴하여 협력적으로 문제를 풀어 가는 리더십을 발휘하며, 교육개발협력에서도 투자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
‘더 나은 삶으로서의 교육’ 그리고...
◦ 미래의 더 나은 삶을 지금 실현해가는 교육
- 교육은 사회 속에서 이루어지고 학습자의 삶은 사회인으로서의 삶 속에 통합되어 있기에 기본적으로 ‘더 나은 삶으로서의 교육’은 더 나은 사회 속에서 가능함.
- 사회 여러 영역이 발을 맞추어가야 하겠지만 그 중에서도 교육 부문이 희망하는 ‘더 나은 삶’의 모습을 실현하고자 시동을 거는 엔진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임.
- 교육이라는 제도는 ‘인간다움’과 어제보다 ‘더 나은 인간다운 삶’에 대한 지향을 품고 있기 때문임. 따라서 교육의 장에서는 인간다움과 더 나은 삶에 대한 가치가 작동할 수 있어야 함.
- 특히 차세대는 지금 교육의 장에서 펼쳐지는 일상 속에서 ‘살아감’을 익히며 이들이 지금 겪고 있는 생활의 연장선상에서 미래의 삶을 살게 될 것임. 이러한 관점에서 ‘미래의 더 나은 삶’은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더 나은 삶’이 가능할 때 비로소 기대할 수 있음.
◦ 더 나은 삶을 위한, 더 나은 삶에 대한, 더 나은 삶에 의한 교육
- 더 나은 삶을 위한 교육: 개인은 자신의 더 나은 현재와 미래의 삶을 위해 교육에 참여하고, 사회 역시 더 나은 사회를 위해 교육 제도를 발전시킴.
- 더 나은 삶에 대한 교육: 교육의 과정에서 더 나은 삶이 무엇인지 가치와 의미를 고민하면서 자기 삶과 사회의 총체적 이상을 형성할 수 있음.
- 더 나은 삶에 의한 교육: 무엇보다 사람은 더 나은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을 보고 이들과 교류하는 가운데 희망하는 자기 삶의 모습과 사회의 상을 그리면서 그 방향으로 변화 및 성장해 갈 수 있음.
◦ 교육정책과 제도 개선의 기준이 되는 ‘더 나은 삶’
- 교육정책과 제도 개선 과정에서는 혁신의 방향이 다른 정치적 논리나 이해관계의 영향에서 벗어나 학습자와 공동체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지를 검토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함.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항시적으로 학습자들의 현 상황을 면밀히 살피고 필요를 읽어내야 할 것임.
(출처 : 요약 5p)
Abstract
▼
Today's society is characterized by intensification of challenges such as environmental crisis, climate crisis, low-growth economy, jobless growth, socioeconomic polarization, population decline, local extinctions, and low trust. The COVID-19 pandemic has even accelerated the pace of these changes.
Today's society is characterized by intensification of challenges such as environmental crisis, climate crisis, low-growth economy, jobless growth, socioeconomic polarization, population decline, local extinctions, and low trust. The COVID-19 pandemic has even accelerated the pace of these changes. While there have been drastic changes in learners' daily lives and how they learn, the culture and system in the education field remain largely unchanged or difficult to change. The education sector is currently faced with a challenge to resolve this discrepancy, by finding an answer on how and in what direction the education system should be transform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changing times, it is necessary to first re-examine the ecological perspective that is being called for and consider the changed nature of life in the digital age. In other words, there needs to be a reflection on whether the education system has been biased towards values of growth and development. Education needs to pursue harmony with ecological values and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living in a digital environment.
Based on this view,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proposes increasing learning capacity based on learners' lives, increasing flexibility, and strengthening the public nature and equity as the direction of education policies in changing times. The followings are proposed as key educational agendas: In the practice level, 1) diversifying teaching and learning and expanding qualitative student assessments, 2) ensuring basic learning competency, and 3) increasing digital usage are proposed. In the systems level, 1) strengthening the national curriculum and expanding school autonomy, 2) creating a flexible school system, 3) fostering regional universities through selection and concentration, 4) creating a flexible higher education to embrace adult learners, and 5) establishing a financial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are proposed. In terms of creating an integrated system, 1)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2) establishing a stable and high-quality care system, and 3) establishing integrated governance and linkages are proposed.
While these agendas have been proposed before, they have been difficult to address due to the rigidity of the system, conflicts between stakeholders, the ideological nature of policies, and the limitations in education reform not accompanied by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Nevertheless, a group that agrees with the need for innovation for a future together must take the lead in top-down and bottom-up policymaking, while expanding public consensus and understanding. Furthermore, the government should make efforts to expand cross-sector cooperation in policies while providing necessary funds based on macro-planning. On this path to future education, KEDI aims to contribute through providing data-based future education prospects, leading and providing support for global education agendas, identifying and analyzing educational issues, and developing and evaluating educational policies, while strengthening collaborative partnerships with various actors inside and outside the education field.
□ Background and Objectives
◦ Background
- The COVID-19 pandemic has significantly changed society and daily life. The term “new normal” is used to describe the changed nature of life.
- In education, there is a need to find better norms or “better normal” beyond accepting the new norms or “new normal” given from outside.
◦ Objectives
- To explore and propose the ethos of Korean education at a time of a great transformation to overcome global, ecological, and crises.
- In celebrating the 50th anniversary of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in 2022, to propose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policies and agendas that correspond to the topography of learners’ life today.
□ Background and the Need for Systems Change in Education
◦ The “New Normal” in Education
-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normal” in education in a period of great transformation, which have changed from before, are summarized in the table below. However,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normal”, some characteristics had been appearing previously or had been latent but clearly erupted and were manifested in the “new normal.”
- Among the characteristics, some are positive factors that are geared towards future, but others are negative factors that are alarming. Also, there are factors that are difficult to judge the value of or factors that might impact education differently depending on future responses.
◦ The Need to Consider Diverse Learner Characteristics
- Amid rapid changes in the living environment, there are varying educational needs of each generation, including Generation Alpha, Generation Z, Generation M, Generation X, and Generation 586, with growing differences in each generation’s experiences, perceptions, and values.
-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1) educat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learning style of the generation born and raised in a digital environment, 2) education that responds to the social needs faced by young people, 3) education that prepares for adult life in a complex, chaotic, unpredictable, and ever-changing world, and 4) education for senior citizens, who have a high rate of isolation and poverty and a low participation rate in lifelong learning, compared to other generations.
◦ The Need to Overcome Deep-Rooted Contradictions in Education
- There is a need to bridge the view of education as a social system and individuals’ vision for education.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better embrace individuals’ visions and objectives for life in the educational system.
- While myths about educational credentials still exist at home and at school, in reality, the social function of educational credentials as a link between school and work is weakening. As skepticisms about education credentials are growing, there is a need to redefine the meaning of educational credentials.
- Since fairness and justice need to be balanced i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find a suitable method to replace meritocracy in the evaluation and selection system, or to devise a realistic plan that combines meritocracy and educational justice.
□ The Ethos of Education in a Period of Great Transformation
◦ Ecological Harmony
- With a growing awareness of environmental crises in the face of disasters, there was a realization that quality of life is not only dependent on economic growth. Education needs to harmoniously incorporate ecological values, such as respect for life, spiritual values, and community solidarity.
◦ Ontological Understanding in the Digital Society
- As being “digital” changes all aspects of life including values, mind sets, knowledge transmissions, relationships, and learning, there is a need to consider education as a system that supports the “growth of people living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 Mitigating Disparity and Strengthening Equity
- As the continuing education gap between learners and regions has intensified since COVID-19,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ursuit of equity for all, which guarantees diverse paths of growth while responding to polarization and monopolization.
◦ Asking New, Fundamental Questions
- In a situation where the demand for educational innovation is growing in the midst of “great acceleration”, it is time to reestablish the view of knowledge, education, and learning, and to ask “big questions” and “new questions” to fundamentally think about the education system as a whole.
◦ Rethinking Education Strategy as a Future National Strategy
- In a complex global political economy with a growing trend for deglobalization, countries must navigate a new order for self-sufficiency. There is an increased need to align education strategies with future national strategies such as active investment in “people”, flexible education system, and human resources strategies by school level and life cycle.
□ Direction of Educational Policies and Key Agendas in a Period of Great Transformation
◦ Direction of Educational Policies in a Period of Great Transformation
- Centered in Learner’s life: To innovate the educational system to meet the needs of the learner from the learner's point of view, so that everyone can create their own path of life.
- Flexibility: To evolve into a flexible education system that recognizes diversity and diverse learning outcomes.
- On-the-ground: To improve legislation and systems to support sustainable innovation while expanding educational practices that reflect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 Connection and Integration: To strengthen future literacy in the education sector through education practices and policy decision-making based on data interpretation, and expand linkages within education policies and between social policies and education policies.
- Social Cohesion: While pursuing educational values such as the value oflearning and growth and public values, to ensure diverse learners receive a high-quality education that meets their needs; and to ensure everyone has learning opportunities in their everyday life to participate in problem-solving and decision-making in society without being excluded.
◦ Key Educational Agendas in a Period of Great Transformation
1) Expanding choic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while maintaining equity
- Personalized learning through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is being strengthened, choices are expanding, and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emphasized.
- It is necessary to support learners to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rough education, and to design an education system through which all learners can engage in various learning communities and experience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ir own paths of growth.
2) Regionally balanced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competitiveness in higher education in the face of local extinction crisis
- While the importance of regionally balanced development and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higher education is growing,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universities will play a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a regional ecosystem beyond their survival.
- In parallel with measures to promote regionally balanced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n excellence-driven policy of selection and concentration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higher education, such as creating a foundation for developing high-performing regional universities through restructuring and strengthening specialization through improving policies to develop regional universities.
3) Education system reform for adults of 25 years of age or older (78% of the population as of ‘21)
- As the demand for lifelong learning among adults is increasing due to the rapidly decreasing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ifelong learning system that creates a virtuous cycle of learning-work-quality life in a period of great transformation.
- To establish a lifelong learning system for each life cycl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olicy cooperation between ministries and sectors related to learning-employment-welfare; amend the “Lifelong Education Act” and enact the “Lifelong Learning Framework Act” to systematically reorganize the lifelong learning system; build a regional lifelong learning ecosystem that transcends the boundaries of formal and non-formal education; and to strengthen policy support to expand the function and role of universities in lifelong learning.
4) Exploring the next step through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education
- Although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has been rapidly expanded in the education sector due to COVID-19, there are still limitations in the daily integration of education and digital technology beyond remote learning.
-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harness the power of digital technology to teach the essence of education. Instructors should actively accept the change in their role from transmitters of knowledge to facilitators of learning, and a virtuous cycle needs to be created for students between acquisition, utilization, and perceptions of digital devices.
5) The dilemma of education and selection: Ensuring fairness in evaluation and selection
- As structural inequality and social polarization is intensifying due to changes in the job structure,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fairness of evaluation methods.
- It is necessary to find a reasonable method to replace meritocracy or a realistic way to combine meritocracy and educational justice in the evaluation and selection system. In order to alleviate competition for college admissions, there is a need to transform the overall education system to a lifelong education system that allows continuous opportunities, actively implement education policies that support career change, and increase public finances for education and training.
6) Future-oriented investment in early childhood, elementary,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 While there has been a growing discussion about reducing finance fo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due to decreasing school-aged population, there is a need to address challenges of closing the gap in financial investment in education by the level of education.
- Education finance should be approached as an investment for the future of the country, rather than a cos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free education in order to strengthen the public nature of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rategy for fostering future human resources and change the direction of investment. In high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utonomy to respond to the needs of changing times and to secure additional finance besides the existing local education financial subsidy.
7) Reorganization of educational governance, from the National Education Commission to school autonomy
- As awareness of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system and consensus on the need to evolve toward “good governance” is growing, there is an elevated demand for education governance to adapt to social changes such as digitalization and increasing autonomy.
- In the central education administrative system, it is necessary for National Education Commission to make a soft landing and to enhance its status, and for Ministry of Education to select and focus its fun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education autonomy, a balanced distribution of authority betwee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Metropolitan/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s required and school autonomy needs to be realized through capacities of deliberation.
8) Korean Wave in education and the contribution of Korean education to the world
- Interest in the excellence of Korean education was growing along with increased recognition of Korea around the world. With the pandemic, the need for educational cooperation to respond to a common global crisis and promote shared prosperity is ever increasing.
-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hare the vision and expertise of Korean education globally, to identify a common educational agenda in the world, to demonstrate leadership in cooperative problem-solving, and to expand investment in educ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 “Education as a Better Life” and Beyond
◦ Education as a Better Life
- Education is a system that embraces humanity and hope, and is based on fundamental concerns about humanity and a hope for the future.
- In particular, the next generation learns to live through their daily life in schools, and their life in the future will be an extension of the life they experience now. From this perspective, “a better life in the future” is only possible when there is a realization of “a better life now in the school.”
◦ Education for a Better Life, About a Better Life, and by a Better Life
- A better life is connected with education in various ways. Individuals participate in education for a better present and future life, and society develops education systems for a better society.
- In the process of education, an image of one's ideal life and society can be formed by contemplating on the value and meaning of a better life.
- Above all, when people observe and interact with people who are living a better life, they can form an image of their life and society that they desire, and change and grow in that direction.
(source : Abstract 220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요약 ... 5
- 목차 ... 13
- 표목차 ... 16
- 그림목차 ... 17
- 부록목차 ... 19
- Ⅰ. 들어가며 ... 21
- 1. 배경 ... 23
- 2. 목적 ... 25
- Ⅱ. 교육 체제 전환 요구와 동향 ... 27
- 1. 교육 체제 전환 요구 배경 ... 29
- 가. 뉴노멀과 교육 뉴노멀 ... 29
- 나. 다양한 학습자 특성 고려 필요 ... 37
- 다. 교육 분야, 묵은 모순 극복 필요 ... 40
- 2 최근 해외 교육 의제 동향: ‘더 나은 일상(better normal)’ 관련 ... 45
- 가. 세계 교육의 핵심 어젠다: 회복 탄력성 함양과 대응력 강화 ... 45
- 나. 포스트 팬데믹 시대 유럽 각국의 교육 정책 대응 ... 48
- 다. 미래교육의 핵심적 화두로서 미래 문해력 ... 50
- 라. 우리 교육에의 시사점 ... 52
- Ⅲ. 전환기, 교육의 시대정신 ... 55
- 1. 생태적 조화 ... 58
- 2. 디지털 사회에서의 존재성 이해 ... 60
- 3. 격차 완화와 형평성 강화 ... 65
- 4. 근원적 질문, 새 질문 제기 ... 70
- 5. 다시, 국가 미래 전략으로서 교육 전략 ... 74
- Ⅳ. 미래교육 정책 방향과 주요 어젠다 ... 81
- 1. 교육 정책 방향 ... 84
- 가. 학습자 삶 중심 ... 84
- 나. 유연성: 다원성 인정 및 재도전 기회 확대 ... 85
- 다. 현장성: 지역 중심의 지속 가능한 혁신 추구 ... 87
- 라. 연계·융합: 사회, 과학 등 다분야 연계 교육 정책을 통한 전문성 제고 ... 88
- 마. 사회 통합: 교육적 가치 추구, 형평성 강화, 공(共)참여 확대 ... 90
- 2 주요 어젠다 ... 92
- 가. 초·중등교육에서 선택권 확대 가운데 형평성 견지 ... 92
- 나. 지역 소멸 위기 가운데 고등교육 지역 균형 발전과 경쟁력 강화 ... 102
- 다. 25세 이상 성인(인구의 78%,‘21)을 위한 교육 체제 개편 ... 112
- 라. 교육에서의 디지털 전환 경험, 그 의미 해석을 통한 다음 단계 모색 ... 122
- 마. 교육과 선발의 딜레마: 평가와 선발에서의 공정성 확보 ... 132
- 바. 미래 지향적 유·초·중·고등교육 재정 투자 ... 145
- 사. 국가교육위원회부터 지방교육자치와 학교자치까지, 교육 거버넌스 재구성 ... 157
- 아. 교육 한류와 한국 교육의 세계 기여 ... 166
- Ⅴ. 나오며 ... 177
- 부록 ... 185
- 부록1. 한국교육개발원 50년 주요 역할 개요 ... 187
- 부록2. 향후 KEDI의 가능한 모델 탐색 ... 191
- 참고문헌 ... 203
- Abstract ... 220
- 끝페이지 ... 23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