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
Strategic Planning for the Advancement of the Teaching-Learning Quality in Higher Educat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교육개발원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de
연구책임자 조옥경
참여연구자 임후남 , 최정윤 , 남신동 , 백승주 , 이승호 , 민윤경 , 강충서 , 김지현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22-12
과제시작연도 2022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2300003464
과제고유번호 1105018385
사업명 한국교육개발원
DB 구축일자 2023-06-28
키워드 대학교육.대학 교수・학습.교수・학습 질.학생 조사.교수 조사.university education.un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student survey.faculty survey.

초록

2013년에 시작된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는 학생과 교수를 대상으로 광범위한 대학 교수・학습 실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국가 및 대학 차원에서 대학교육의 질 관리・개선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 대학교육의 투입, 과정, 산출 관련 조사자료 수집을 통해 대학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질 개선 전략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2주기 마지막 10차 연구에서는 전술한 연구의 고유 목적을 달성하는 한편, 2주기 종합 분석 및 새로운 대학교육 연구・조사의 방향 탐색, 대학 현장과의

Abstract

The series of ‘Strategic Planning for the Advancement of the Teaching-Learning Quality in Higher Education,’ started in 2013, aims to establish a wide range of empirical database of students and faculty on teaching and learning in universitie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for the ma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머리말 ... 5
  • 연구요약 ... 7
  • 목차 ... 15
  • 표목차 ... 17
  • 그림목차 ... 23
  • Ⅰ. 서 론 ... 27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9
  • 2. 연구 내용 ... 35
  • 3. 연구 방법 ... 36
  • Ⅱ. 대학의 교수・학습 질 연구 및 조사 개요 ... 43
  • 1. 연구 추진 경과 및 방향 ... 45
  • 2. 조사 체계 ... 51
  • 3. 조사 도구 개선 ... 55
  • 4. 조사 참여 현황 ... 62
  • 5. 조사 데이터와 결과 관리 및 활용 ... 75
  • 6. 해외(미국)의 전국수준 대학교육 조사 동향 ... 78
  • Ⅲ. 대학의 교수・학습 실태와 수준 분석 ... 87
  • 1. 분석 개요 및 조사 도구 신뢰도 ... 89
  • 2. 학생의 교수・학습 실태와 수준 ... 96
  • 3. 교원의 교육 활동과 인식 ... 140
  • 4. 온라인 수업여건에 대한 학생과 교원의 인식 ... 167
  • Ⅳ.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전략 탐색 심화 주제 분석 ... 189
  • 1. 대학 몰입의 지역 간 차이 및 형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분석 ... 191
  • 2. 교수의 역할 정체성과 교수・학습 특성 간의 관계 ... 222
  • 3. 온라인 수업지원, 능동적 학습활동, 수업 중 사고력 증진활동, 도전적 학습활동, 교수-학생 상호작용, 동료 상호작용과 핵심역량 향상에 대한 구조적 관계 ... 260
  • Ⅴ. 대학의 조사 활용 분석 사례 ... 285
  • 1. 사례 개요 ... 287
  • 2. 대학 교수학습혁신센터의 학습법 프로그램 성과 분석: A대학 사례 ... 289
  • 3. 대학생의 재학 중 교수・학습 경험과 핵심역량 간의 관계 분석 : B대학 사례 ... 307
  • 4.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의 학습실재감 및 교수・학습 성과에 대한 수업 활동 만족도의 조절 효과 검증: C대학 사례 ... 322
  • 5. 대학생 학업중단 의도와 관련한 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과 교수・학습 과정 경험 요인 탐색: D대학 사례 ... 336
  • Ⅵ. 2주기(2018-2022) 종합 분석 및 해외 대학교육 조사 동향 ... 353
  • 1. 2주기(2018-2022) 조사자료 종합 분석 ... 355
  • 2. 대학 교수・학습 조사 및 연구의 성과와 과제 ... 395
  • Ⅶ. 결론 및 제언 ... 409
  • 1. 새로운 대학교육 연구 및 조사의 방향 ... 411
  • 2. 대학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학술적・정책적 제언 ... 420
  • 참고문헌 ... 433
  • ABSTRACT ... 455
  • 부록 ... 463
  • 끝페이지 ... 521

표/그림 (22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