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공주대학교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김미현
|
참여연구자 |
연지영
,
이정숙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1-11 |
과제시작연도 |
2021 |
주관부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연구관리전문기관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
등록번호 |
TRKO202300004316 |
과제고유번호 |
1475012411 |
사업명 |
식품등안전관리(R&D) |
DB 구축일자 |
2023-08-02
|
키워드 |
영양표시.1회 섭취참고량.Nutrition labeling.Reference amount for one serving.
|
초록
▼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영양표시의 주요 기준이 되는 1회 섭취참고량의 현행화 및 합리적 개선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세부 연구 목표 및 내용은 첫째, 제외국의 1회 섭취참고량 개정 절차 및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우리나라의 1회 섭취참고량 설정 원칙을 정비한다. 두 번째 최신의 국민 섭취량 자료를 분석하여 새로운 1회 섭취량을 산출하고, 현행 1회 섭취참고량과 비교 검토를 실시한다. 셋째 시장조사를 통한 유통 제품의 포장단위, 표시실태 현황 분석 및 산업계와 소비자 의견 수렴을 통한 현행 1회 섭취참고량의 적절성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영양표시의 주요 기준이 되는 1회 섭취참고량의 현행화 및 합리적 개선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세부 연구 목표 및 내용은 첫째, 제외국의 1회 섭취참고량 개정 절차 및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우리나라의 1회 섭취참고량 설정 원칙을 정비한다. 두 번째 최신의 국민 섭취량 자료를 분석하여 새로운 1회 섭취량을 산출하고, 현행 1회 섭취참고량과 비교 검토를 실시한다. 셋째 시장조사를 통한 유통 제품의 포장단위, 표시실태 현황 분석 및 산업계와 소비자 의견 수렴을 통한 현행 1회 섭취참고량의 적절성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섭취량 자료, 시장조사 자료, 타기관 자료의 종합적 검토 및 업계 및 관련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1회 섭취 참고량의 합리적 개선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2021 1회 섭취참고량 개정(안) 마련의 주요 원칙은 1) 최근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한다. 2)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기준량의 변경 기준을 삼는다. 3) 실제 판매 제품의 조사를 통해 보완한다. 4) 업체 및 소비자의 요구를 검토, 반영 한다. 4)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가이드라인 등 권장되는 식사가이드를 참고하고, 사회 통념상 적정한 지 여부를 검토한다. 수립된 원칙에 따라 최신의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19년) 자료 분석을 통해 1회 섭취참고량 개정, 추가, 또는 신설이 필요한 항목을 목록화 하였다. 시장 제품의 포장 또는 제공 분량에 대한 시장 조사를 통해 총 9,386종 DB를 구축하였으며, 시장조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행 및 새로 분석된 1회 섭취량의 보완점을 검토하였다. 산업체 관계자 46명을 대상으로 1회 섭취참고량에 대한 개선 요구사항을 조사하였으며, 19세 이상 일반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1회 섭취참고량에 대한 인식 및 활용도,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여 1회 섭취참고량 개선을 위한 보완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1회 섭취참고량 개선안을 마련하고, 최종적으로 전문가 자문을 통한 수정 보완을 거쳐 일반식품에 대하여 1회 1회 섭취참고량 개정 17건, 세분화 9건, 신설 26건을 도출하였다.
(출처 : 요약문 5p)
Abstract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goal of finding rational improvements to nutrition labeling and regulating reference amounts for one serving.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goals and content are as follows: First, study benchmark procedures and cases where the reference amount per serving was revi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goal of finding rational improvements to nutrition labeling and regulating reference amounts for one serving.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goals and content are as follows: First, study benchmark procedures and cases where the reference amount per serving was revised in other countries in order to establish applicable principles thereof in Korea; second, analyze the latest national food intake data to calculate new reference amounts for one serving; third, collect opinions from both industry and consumers regarding reference amounts through market research and survey questionnaires, analyze them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current reference amounts for one serving, and examine data from other departments as well as consulting with the industry and experts to identify desired improvements for the reference amount per serving. The major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e above are as follows. The foundational elements for the idea of revising the reference amount of one serving are: 1) The results of the recent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 The reference amount per serving is revis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3) The revision is supplemented through actual survey of products sold. 4) The revision is reviewed by and reflects the needs of both industries and consumers. 5)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as well as other recommended dietary guidelines are compared and contrasted in order to be in accordance with social norms. In accordance with the established principles and based on the data analysis of the latest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9), items that need to be revised, added, or newly established for reference amounts are listed. A total of 9,386 records were constructed in the database through market research on packaging of market products or serving units. The analysis of the market research was in turn reviewed to supplement current and newly analyzed reference amounts per serving. 46 participants in the industry were surveyed for improvement requirements of the reference amounts per serving. Another survey was conducted for 2,000 general consumers aged 19 years and older on the perception, utilization, and demand for the reference amounts per serving. From the foregoing, the study derives new items, revised items, and subcategorized items for reference amounts per serving for nutrition labeling. After consulting with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d other experts on the derived results, we finally propose the following reference amounts per serving: 17 revised reference amounts per serving, 9 subcategorized reference amounts per serving, and 26 new reference amounts per serving.
(source : Summary 7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목차 ... 3
- Ⅰ. 총괄연구개발과제 요약문 ... 5
- 국문 요약문 ... 5
- Summary ... 7
- Ⅱ.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9
- 제1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적 및 필요성 ... 9
- 제2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 32
- 제3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결과 및 고찰 ... 48
- 제4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 228
- 제5장 총괄주요연구 변경사항 ... 231
- 제6장 총괄참고문헌 ... 231
- 제7장 총괄첨부서류 ... 234
- 끝페이지 ... 45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