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경북대학교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권기태
|
참여연구자 |
김성진
,
김신우
,
김윤정
,
박세윤
,
박은비
,
배소현
,
서정화
,
손지웅
,
신지연
,
심보영
,
여윤상
,
오남희
,
오원섭
,
이신원
,
임정순
,
장현하
,
정운선
,
정주환
,
정혜숙
,
허상택
,
황소윤
,
이소희
,
김연재
,
김장래
,
박혜윤
,
엄소연
,
여수민
,
윤지수
,
이주연
,
이지연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2-06 |
과제시작연도 |
2021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
등록번호 |
TRKO202400001114 |
과제고유번호 |
1465032854 |
사업명 |
감염병의료기술근거생성연구(R&D) |
DB 구축일자 |
2024-07-10
|
키워드 |
코로나19.보건의료종사자.설문조사.심층면접.소진.COVID-19.Healthcare Workers.Survey.In-depth interviews.Burnout.
|
초록
▼
전세계 대부분의 나라들은 준비가 부족한 상태에서 COVID-19 판데믹을 겪게 되었고, 대규모의 COVID-19 환자가 갑자기 발생하여 의료시스템이 붕괴되는 경험을 하였다. 보건의료 인력의 역량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조치는 COVID-19에 대한 정책 대응의 효과를 결정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나, 보건의료종사자는 코로나19에 의한 감염,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건강문제, 우울, 불안, 소진 등 그들의 역량을 저하시킬 수 있는 다양한 어려움에 노출되어 있다. 연구자들은 우리나라의 보건의료종사자들이 지속되고 있는 COVID-19에 의해
전세계 대부분의 나라들은 준비가 부족한 상태에서 COVID-19 판데믹을 겪게 되었고, 대규모의 COVID-19 환자가 갑자기 발생하여 의료시스템이 붕괴되는 경험을 하였다. 보건의료 인력의 역량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조치는 COVID-19에 대한 정책 대응의 효과를 결정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나, 보건의료종사자는 코로나19에 의한 감염,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건강문제, 우울, 불안, 소진 등 그들의 역량을 저하시킬 수 있는 다양한 어려움에 노출되어 있다. 연구자들은 우리나라의 보건의료종사자들이 지속되고 있는 COVID-19에 의해 어떠한 신체적, 정신적 영향을 받고 있는지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020년 9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전국의 14개 기관, 31명의 다학제 연구자들은 코로나19 종사자 근무실태조사, 1차, 2차에 걸친 전국적 대규모 설문조사, COVID-19 의료종사자의 감염과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지침 개발, 포커스그룹 인터뷰와 일대일 심층인터뷰 및 코로나19 보건의료종사자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델파이조사를 20명의 일선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공공의료기관의 병상을 주로 활용하여 코로나 19 환자들을 치료하고 있었고, 중증 환자에 대해서는 특히 더 많은 인력이 투입되고, 의사 인력은 근무시간이 매우 길며, 간호 인력의 경우는 간호 1등급 기준 2배의 인력이 투입되고 있었다. 코로나19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수행하는 투약, 혈압/맥박/호흡/체온/산소포화도 측정, 식사전달과 같은 기본 업무의 업무부담이 높음과 환자의 식사 불만, 격리해제 기준에 대한 혼선, 퇴원 환자 이송체계 미비, 인력 부족, 체력 소진, 파견인력과의 임금 격차로 인한 박탈감의 고충을 호소하였다. 코로나19 보건의료 종사자들은 소진률이 약 80%로 매우 높고, 코로나19 환자를 돌보는 기간과 일일 돌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소진을 유발하는 만성피로와 신체증상이 악화되는 육체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업무환경 개선과 심리지원 체계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일대일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인력 부족, 시스템 부족, 비협조적인 환자와 보호자들, 컨트롤 타워의 전문성 부족, 업무분장과 관련된 갈등, 보호장구 및 격리물품 부족, 수면 장애 및 피로 누적, 본인과 가족의 감염에 대한 공포, 무력감, 우울감, 낙인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중증 확진자 치료 가능한 격리병실 확보, 중환자 전담 간호인력 확보, 중앙과 현장의 의사소통 개선, 보호복 및 방역 물품 지원, 위험수당 현실화를 코로나19 종사자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코로나19 종사자들의 정신적 영향, 신체적 영향, 코로나19 이환, 사회적 낙인, 코호트 격리, 의료종사자의 가족 문제의 총 6가지 핵심질문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여 코로나19 종사자들의 소진과 감염을 예방하는 지침을 개발하였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신종감염병 대응에 대한 보건의료인력 종합계획이 수립되어야 하며, 적정인력과 이의 탄력적 활용 및 업무부담 경감을 위한 로봇이나 인공지능과 같은 신기술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출처 : 요약문 5p)
Abstract
▼
Most countries around the world experienced the COVID-19 pandemic with a lack of preparation, and a large number of COVID-19 patients suddenly occurred, causing a collapse of healthcare systems. Measures to maintain and improve the capacity of the health care workforce are critical to determining th
Most countries around the world experienced the COVID-19 pandemic with a lack of preparation, and a large number of COVID-19 patients suddenly occurred, causing a collapse of healthcare systems. Measures to maintain and improve the capacity of the health care workforce are critical to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policy responses to COVID-19, but healthcare workers (HCWs) are likely to suffer from COVID-19 infections, stress-induced mental health problems, depression, anxiety, and burnout, that can lower their capacity. Researchers conducted this study to identify the problems that HCWs in Korea are being affected by physically and mentally under ongoing COVID-19 pandemic, and to derive measures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m. From September 2020 to December 2021, 14 multidisciplinary researchers from 14 institutions across the country conducted a survey on the working conditions of COVID-19 workers, the first and second nationwide large-scale surveys, and the development of guideline to prevent COVID-19 infection and burnout of COVID-19 related HCWs, focus group and in-depth interviews, and a Delphi survey of expert consensus on measures to promot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mong COVID-19-related HCWs were conducted.
COVID-19 patients were treated mainly in the public healthcare facilities. Much more (about four times) manpower than usual situation was necessary caring for critically ill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Most attending physicians work without restriction on working hours per week. Compared to the Korean nursing rating system’s highest level, which is above 2 for critical care or 0.5 for general care 10, more nursing personnel were needed when treating severe patients with COVID-19. Nurses working in the COVID-19 hospital ward on protective equipment have a high workload for basic tasks such as medication administration, blood pressure/pulse/respiration/body temperature/oxygen saturation measurement, and meal delivery. They complained of confusion about releasing standard from quarantine, insufficient transport system for discharged patients, lack of manpower, exhaustion of physical strength, and feelings of deprivation due to the salary gap with dispatched workers. According to a large-scale survey, the burnout rate of COVID-19 health care workers was very high at 80%, and burnout was related to chronic fatigue and physical symptom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was revealed. Oneon-one in-depth interviews revealed also that the HCWs were suffering from the lack of manpower, system shortage, uncooperative patients and caregivers, lack of expertise in the control tower, conflicts related to work distribution, shortage of protective equipment, sleep disturbance, fatigue accumulation, fear of infection, helplessness, depression, and stigma of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The Delphi survey revealed that the top-priority measures to support HCWs were “secure isolation units capable of treating severe cases”, “secure nursing staff dedicated for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s”, “improve communication between central office and frontline field”, “support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nd infection control supplies”, “realization of hazard pay”. We developed guidelines for infection and burnout prevention in COVID-19 HCWs by reviewing the literature on six key questions: psychological impact, physical impact, COVID-19 morbidity, social stigma, cohort isolation, and family problems. We concluded that a comprehensive plan for healthcare workers should be established to respond to new infectious diseases, and additional research on appropriate manpower standard and flexible use of the manpower and new technologies such as robo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o reduce workload of HCWs should be conducted.
(source : SUMMARY 6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보고서 요약서 ... 3
- 요약문 ... 5
- SUMMARY ... 6
-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실적 및 향후 계획 ... 7
- 연구성과 유형별 세부 내역 ... 9
- 참여연구원 현황표 ... 10
- 목차 ... 11
-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12
- 1-1. 연구개발의 개요 ... 12
- 1-2. 연구개발 대상의 국내외 현황 ... 14
- 1-3. 연구개발의 중요성 ... 16
- 1-4. 선행 연구 내용 및 결과 ... 18
- 1-5. 연구 개발의 최종 목표 ... 24
- 2.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과정 및 수행 내용 ... 25
- 3.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결과 및 목표 달성 정도 ... 107
- 1) 연구수행 결과 ... 107
- 2) 목표 달성 수준 ... 191
- 4. 연구개발성과의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 정도 ... 192
- 5. 연구개발성과의 관리 및 활용 계획 ... 193
- 6. 참고문헌 ... 194
- 끝페이지 ... 210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