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농림축산검역본부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
연구책임자 |
이경기
|
참여연구자 |
박지영
,
정혜영
,
고미경
,
김동은
,
장지웅
,
문보연
,
배유찬
,
이현경
,
박중원
,
김희진
,
이경현
,
김종호
,
소병재
,
박최규
,
천두성
|
보고서유형 | 연차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0-12 |
과제시작연도 |
2020 |
주관부처 |
농림축산식품부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
연구관리전문기관 |
농림축산검역본부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
등록번호 |
TRKO202400012050 |
과제고유번호 |
1545020851 |
사업명 |
농림축산검역검사기술개발(R&D) |
DB 구축일자 |
2024-10-02
|
키워드 |
개파보바이러스.고양이코로나바이러스.유전자특성분석.감별진단.
|
초록
▼
4. 당해년도 중간결과 요약
○ 제1세부과제: 국내 CPV-2 및 FCoV 감염실태 및 유전학적 특성 조사
- 사육환경, 지역, 계절 및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개, 고양이 바이러스성 질병 모니터링을 위해 동물 병원, 유기동물보호소, 검역본부 질병진단 채취(의뢰) 시료를 대상으로 개 바이러스성 질병(9종), 고양이 바이러스성 질병(7종)에 대한 질병 검사를 실시함
- 전체 개 시료중 CPV-2가 1∞2차년에 가장 높은 검출율을 보였고, CCoV와 CDV도 약 3∞4%로 검출되었으며, CPV-2는 검역본부, CDV는 동물
4. 당해년도 중간결과 요약
○ 제1세부과제: 국내 CPV-2 및 FCoV 감염실태 및 유전학적 특성 조사
- 사육환경, 지역, 계절 및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개, 고양이 바이러스성 질병 모니터링을 위해 동물 병원, 유기동물보호소, 검역본부 질병진단 채취(의뢰) 시료를 대상으로 개 바이러스성 질병(9종), 고양이 바이러스성 질병(7종)에 대한 질병 검사를 실시함
- 전체 개 시료중 CPV-2가 1∞2차년에 가장 높은 검출율을 보였고, CCoV와 CDV도 약 3∞4%로 검출되었으며, CPV-2는 검역본부, CDV는 동물병원에서 높게 검출됨
- 전체 고양이 시료중 FCoV가 40%이상의 높은 검출율을 보였고, FPV도 10% 이상 검출되었으며, FCoV는 유기동물보호소보다는 동물병원과 검역본부 의뢰 시료에서 많이 검출됨
- 유기동물보호소와 검역본부 채취(의뢰) 개 시료에서는 CPV-2가 가을과 겨울에 puppy(40.63%)에서 다소 높게 검출되었고, CCoV도 다른 연령대에 비해 puppy(11.7%)에서 검출율이 높았으며, 고양이 시료에서 가을, kitten에서 FCoV가 많이 검출되었고, FPV는 겨울, kitten에서 많이 검출됨
- '11년부터 '20년까지 CPV-2 양성시료(162개)중 CPV-2a가 66.7%로 가장 높은 검출율을 보였으며, CPV-2b와 CPV-2c는 13.0%와 10.0%를 차지하였고, 최근에는 CPV-2a와 CPV-2c는 증가하고, CPV-2b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 162개의 CPV-2 VP2 유전자를 계통분류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국내 CPV-2a-1은 유럽 및 남미 일부국가의 CPV-2와 상동성이 높았고, 국내 CPV-2a-II는 중국, 베트남 등의 아시아지역 국가 및 남미의 우루과이의 CPV-2와 상동성이 높았으며, '17년에 처음 검출된 CPV-2c는 중국과 베트남 등의 아시아에서 유행하고 있는 CPV-2c와 상동성이 높음
- '11년부터 '20년까지 FCOV 양성시료(475개)중 serotype I이 대다수(93.1%)였으며, FECV가 71.8%, FIPV가 4.8%를 조사됨
○ 제2세부과제: CPV-2 및 FCoV 감별진단법 개발 및 간이진단킷트 평가
- CPV-2의 야외주와 백신주 감별 및 CPV-2의 아형 감별을 위해 PNA probe를 이용한 Real-time PCR을 개발한 결과, 모두 1fg/ul의 검출한계를 보였고, 21개 양성시료를 완벽히 감별함
- FCOV serotpye 및 biotype 감별진단법 개발을 위해 그룹별 SNP를 분석하여 primer 및 PNA probe를 디자인하고 최적조건을 설정중임
- 국내 허가 CPV-2 신속간이 항원진단킷트(18개 회사 24개 제품)중 시중에 많이 사용되는 3개 제품의 검출한계를 조사한 결과, PCR에 비해 1,000~10,000배 정도 민감도가 낮았고, 1개 제품은 검출율이 상당히 저조함
○ 제3세부과제: CPV-2 변이주의 병원성 및 교차면역능 조사
- CPV-2 양성시료로부터 CPV-2c를 분리하고,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아시아에서 유행하는 CPV-2c (Asian CPV-2c)와 상동성이 높았고, 계대 배양시 변이가 거의 없었음
- CPV-2c의 병원성을 조사하기 위해 6주령의 비글에 CPV-2c 및 CPV-2a를 각각 인공감염시킨 결과, CPV-2c 접종 개는 접종 5일째부터 설사(일부 혈변) 등 임상증상을 보이고, 접종 6~7일째 폐사하였으며, CPV-2a 접종 개는 7~8일째 폐사함
- CPV-2c 접종군이 CPV-2a 접종군보다 평균 임상증상수치(MCS)가 높았고, 체중감소가 많았음
- CPV-2c 접종군은 접종 5일째, CPV-2a 접종군은 접종 6일째까지 바이러스 배출이 증가하였고, 폐사까지 높은 분변 바이러스 역가를 유지함
- CPV-2c, CPV-2a 접종군의 부검소견은 대조군에 비해 체중 저하가 육안적으로 판별 가능하였고, 모든 접종군 개체의 장간막 림프절과 상부소화계에서 충혈 및 점막 소실이 관찰되었으며, 장간막 림프절의 림프구 감소, 심한 대식세포 침윤, 장의 심한 crypt 괴사 등의 조직소견이 관찰됨
- CPV-2c, CPV-2a 접종군 개체 모두 장간막 림프절, 소장, 맹장, 대장, 간, 비장에서 많은 바이러스가 검출되었고, 심장, 신장, 폐, 위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바이러스가 검출됨
(출처 : 요약 2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I. 연구배경 및 목표 ... 3
- 1. 연구배경 ... 3
- 2. 연구최종목표 ... 5
- 3.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5
- II. 연구방법 및 수행전략 ... 7
- 1. 재 료 ... 7
- 2. 연구전략 및 방법 ... 7
- 3. 연구협력 ... 9
- III. 연구결과 ... 10
- 1. 제1세부과제명: 국내 CPV-2 및 FCoV 감염실태 및 유전학적 특성 조사 ... 10
- 2. 제2세부과제명: CPV-2 및 FCoV 감별진단법 개발 및 간이진단킷트 평가 ... 20
- 3. 제3세부과제명: CPV-2 변이주의 병원성 및 교차면역능 조사 ... 28
- IV. 연구결과요약 ... 35
- 1. 제1세부과제: 국내 CPV-2 및 FCoV 감염실태 및 유전학적 특성 조사 ... 35
- 2. 제2세부과제: CPV-2 및 FCoV 감별진단법 개발 및 간이진단킷트 평가 ... 35
- 3. 제3세부과제: CPV-2 변이주의 병원성 및 교차면역능 조사 ... 36
- V. 참고문헌 ... 36
- 끝페이지 ... 37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