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의 총 도로교통사고비용은 13조 1천억원이며, 이는 GDP대비 2.71%에 해당하는 비용으로 매우 큰 국가적 손실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지점에 교통안전대책을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왔으며, 우리나라의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에서는 매년 사고잦은 지점을 선정하여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하고 개선해나가고 있다. 그러나 사고잦은 지점 선정기준에대한 정확한 근거가 부족하고 획일적이며, 해당도로의 교통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고잦은지점 개선사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도로교통안전 증진대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로 및 교통특성을 반영한 보다 체계적인 사고잦은선정기준이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단일로 구간에서 공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구간(SLIDER LENGTH)적용 기법을 이용하여 사고잦은지점선정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기존의 사고잦은지점 선정방법을 보완하여 제시함으로써 사고잦은지점 개선사업의 효율성 향상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고잦은지점을 선정하는 이유는 일정구간에서 동일한 원인의 사고가 발생하고 이 동일한 원인을 해결하면 여러사고를 줄일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사고잦은지점을 찾기위해서는 동일한 원인이 발생하는 어떤 공간적인 기준이 필요하다. 공간적인 기준은 크게 공간의 범위와 공간의 위치설정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인 기준을 적용할 수 있는 분석구간(Slider Length)적용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때 분석구간길이는 동일 원인에 의해 일어난 사고집단을 추출할 수 있는 개념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도로구간에서 교통사고는 이동중에 발생하며, 운전자가 돌발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인지하더라도 미처 정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사고가 일어난 지점으로부터 상류부와 하류부방향으로 정지하거나 장애물을 피할 수 있는 시거내에 속하는 구간은 그 사고와 같은 원인에 의해 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분석구간길이의 산정시 해당 도로의 설계속도에 따른 시거의 개념을 반영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시거(최소정지시거, ...
우리 나라의 총 도로교통사고비용은 13조 1천억원이며, 이는 GDP대비 2.71%에 해당하는 비용으로 매우 큰 국가적 손실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지점에 교통안전대책을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왔으며, 우리나라의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에서는 매년 사고잦은 지점을 선정하여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하고 개선해나가고 있다. 그러나 사고잦은 지점 선정기준에대한 정확한 근거가 부족하고 획일적이며, 해당도로의 교통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고잦은지점 개선사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도로교통안전 증진대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로 및 교통특성을 반영한 보다 체계적인 사고잦은선정기준이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단일로 구간에서 공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구간(SLIDER LENGTH)적용 기법을 이용하여 사고잦은지점선정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기존의 사고잦은지점 선정방법을 보완하여 제시함으로써 사고잦은지점 개선사업의 효율성 향상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고잦은지점을 선정하는 이유는 일정구간에서 동일한 원인의 사고가 발생하고 이 동일한 원인을 해결하면 여러사고를 줄일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사고잦은지점을 찾기위해서는 동일한 원인이 발생하는 어떤 공간적인 기준이 필요하다. 공간적인 기준은 크게 공간의 범위와 공간의 위치설정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인 기준을 적용할 수 있는 분석구간(Slider Length)적용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때 분석구간길이는 동일 원인에 의해 일어난 사고집단을 추출할 수 있는 개념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도로구간에서 교통사고는 이동중에 발생하며, 운전자가 돌발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인지하더라도 미처 정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사고가 일어난 지점으로부터 상류부와 하류부방향으로 정지하거나 장애물을 피할 수 있는 시거내에 속하는 구간은 그 사고와 같은 원인에 의해 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분석구간길이의 산정시 해당 도로의 설계속도에 따른 시거의 개념을 반영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시거(최소정지시거, 판단시거)에 대한 기준을 고려하여 한국의 최소정지시 거의 적용치를 설계속도에 따라 다르게 분석구간 길이에 적용하였다. 분석구간의 배치방법은 전체구간을 일정간격으로 나누는 방법과 모든 사고지점을 분석구간의 시점으로 적용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고잦은지점 선정방법의 적절성을 판단하기 위한 사례연구 결과 설계속도가 80㎞/h인 국도의 사고잦은지점 선정시 분석구간의길이를 현행의 200m보다 본 연구에서 교통특성을 반영하여 제시한 140m로 적용하는 것이 더욱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설계속도만을 고려하여 분석구간의 길이를 선정하였다. 향후 도로구간의 직선부와 곡선부를 차별화시켜 추가적인 교통 및 도로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며 분석구간배치방법에대한 더욱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더욱 다양한 유형의 도로에 대해 본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을 검증하는 기회를 갖어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교통사고 잦은 지점 선정기준은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설정되어있다. 이것은 도시의 규모에따라 도로의 교통량과 운전자가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정도가 다르므로 평균교통사고발생량의 차이가 있다는 전제하에 설정된 기준이다. 현행 기준에 따르면 동일 규모의 행정구역내의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에 모두 같은 선정기준이 적용된다. 따라서, 도로의 기능적인 특성 및 교통특성을 행정구역과 함께 고려한 설정기준이나 한계사고율법을 적용한 기준에 대한 연구도 가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분석구간적용기법을 이용하였으나 사고지점간의 거리분포를 이용하여 사고잦은지점의 여부를 선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가능할 것이다.
우리 나라의 총 도로교통사고비용은 13조 1천억원이며, 이는 GDP대비 2.71%에 해당하는 비용으로 매우 큰 국가적 손실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지점에 교통안전대책을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왔으며, 우리나라의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에서는 매년 사고잦은 지점을 선정하여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하고 개선해나가고 있다. 그러나 사고잦은 지점 선정기준에대한 정확한 근거가 부족하고 획일적이며, 해당도로의 교통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고잦은지점 개선사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도로교통안전 증진대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로 및 교통특성을 반영한 보다 체계적인 사고잦은선정기준이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단일로 구간에서 공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구간(SLIDER LENGTH)적용 기법을 이용하여 사고잦은지점선정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기존의 사고잦은지점 선정방법을 보완하여 제시함으로써 사고잦은지점 개선사업의 효율성 향상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고잦은지점을 선정하는 이유는 일정구간에서 동일한 원인의 사고가 발생하고 이 동일한 원인을 해결하면 여러사고를 줄일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사고잦은지점을 찾기위해서는 동일한 원인이 발생하는 어떤 공간적인 기준이 필요하다. 공간적인 기준은 크게 공간의 범위와 공간의 위치설정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인 기준을 적용할 수 있는 분석구간(Slider Length)적용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때 분석구간길이는 동일 원인에 의해 일어난 사고집단을 추출할 수 있는 개념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도로구간에서 교통사고는 이동중에 발생하며, 운전자가 돌발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인지하더라도 미처 정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사고가 일어난 지점으로부터 상류부와 하류부방향으로 정지하거나 장애물을 피할 수 있는 시거내에 속하는 구간은 그 사고와 같은 원인에 의해 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분석구간길이의 산정시 해당 도로의 설계속도에 따른 시거의 개념을 반영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시거(최소정지시거, 판단시거)에 대한 기준을 고려하여 한국의 최소정지시 거의 적용치를 설계속도에 따라 다르게 분석구간 길이에 적용하였다. 분석구간의 배치방법은 전체구간을 일정간격으로 나누는 방법과 모든 사고지점을 분석구간의 시점으로 적용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고잦은지점 선정방법의 적절성을 판단하기 위한 사례연구 결과 설계속도가 80㎞/h인 국도의 사고잦은지점 선정시 분석구간의길이를 현행의 200m보다 본 연구에서 교통특성을 반영하여 제시한 140m로 적용하는 것이 더욱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설계속도만을 고려하여 분석구간의 길이를 선정하였다. 향후 도로구간의 직선부와 곡선부를 차별화시켜 추가적인 교통 및 도로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며 분석구간배치방법에대한 더욱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더욱 다양한 유형의 도로에 대해 본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을 검증하는 기회를 갖어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교통사고 잦은 지점 선정기준은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설정되어있다. 이것은 도시의 규모에따라 도로의 교통량과 운전자가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정도가 다르므로 평균교통사고발생량의 차이가 있다는 전제하에 설정된 기준이다. 현행 기준에 따르면 동일 규모의 행정구역내의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에 모두 같은 선정기준이 적용된다. 따라서, 도로의 기능적인 특성 및 교통특성을 행정구역과 함께 고려한 설정기준이나 한계사고율법을 적용한 기준에 대한 연구도 가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분석구간적용기법을 이용하였으나 사고지점간의 거리분포를 이용하여 사고잦은지점의 여부를 선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가능할 것이다.
Generally, it's effective to operate traffic safety measures at black spots. RTSA(Road Traffic Safety Authority in Korea) identifies black spots, and operate traffic safety measures every year. But there is no basis about standard value of identifying black spots and it doesn't reflect traffic chara...
Generally, it's effective to operate traffic safety measures at black spots. RTSA(Road Traffic Safety Authority in Korea) identifies black spots, and operate traffic safety measures every year. But there is no basis about standard value of identifying black spots and it doesn't reflect traffic characteristics of relevant road section. Therefore the efficiency of traffic safety measures tends to decrease.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ore rational procedure in identifying black spots using slider length method based on traffic engineering. The spatial criteria in which accidents caused by same reason occurred was necessary. Spatial criteria can be seperated into spatial range and spatial location.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was slider length method which the spatial criteria could be applied. Slider length was calculated with concept able to extract accident group which had ocurred by the same reason. Usually traffic accident occurs when moving because driver can not recognize sudden happenings or can not stop or avoid obstacles. So a probability that another accident can occur by the same reason is high in a sight distance range from an accident spot. Thus sight distance according to designed speed of relevant highway was used. The minimum stopping sight distance of Korea was applied in a different way according to the designed speed with considering the standards of sight distance(minimum sight distance, decision sight distance) in Korea and USA. The methods of slider arrangement were classified by the method of uniform distance seperation and the method of the accident spot focused application. The result of this thesis represented that the slider length of 140m is more preferable than that of 200m for the identification of black spots.
Generally, it's effective to operate traffic safety measures at black spots. RTSA(Road Traffic Safety Authority in Korea) identifies black spots, and operate traffic safety measures every year. But there is no basis about standard value of identifying black spots and it doesn't reflect traffic characteristics of relevant road section. Therefore the efficiency of traffic safety measures tends to decrease.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ore rational procedure in identifying black spots using slider length method based on traffic engineering. The spatial criteria in which accidents caused by same reason occurred was necessary. Spatial criteria can be seperated into spatial range and spatial location.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was slider length method which the spatial criteria could be applied. Slider length was calculated with concept able to extract accident group which had ocurred by the same reason. Usually traffic accident occurs when moving because driver can not recognize sudden happenings or can not stop or avoid obstacles. So a probability that another accident can occur by the same reason is high in a sight distance range from an accident spot. Thus sight distance according to designed speed of relevant highway was used. The minimum stopping sight distance of Korea was applied in a different way according to the designed speed with considering the standards of sight distance(minimum sight distance, decision sight distance) in Korea and USA. The methods of slider arrangement were classified by the method of uniform distance seperation and the method of the accident spot focused application. The result of this thesis represented that the slider length of 140m is more preferable than that of 200m for the identification of black spots.
Keyword
#사고잦은지점 단일로 최소정지시거 판단시거 black spot sight distance slider length
학위논문 정보
저자
이기범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도시공학과
지도교수
김형진
발행연도
2002
총페이지
vi, 36p.
키워드
사고잦은지점 단일로 최소정지시거 판단시거 black spot sight distance slider lengt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