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재 유아교육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컴퓨터와 주변기기 및 소프트웨어를 얼마나 보유하고 있으며, 그것에 대한 교육활동 및 교육프로그램 활용의 실태는 어떠한지 파악하여, 유아교육에 있어 보다 효율적인 컴퓨터교육활동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컴퓨터 및 주변기기와 유아교육용소프트웨어 보유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ICT활용을 위한 교육활동의 실태는 어떠한가? 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컴퓨터 활용 방법은 어떠한가? 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인터넷 활용은 어떠한가? 3)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육용소프트웨어 사용은 어떠한가? 셋째, 공립/사립유치원과 도시/농촌의 ICT활용 정도의 차이는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한 대상은 경상남도 내의 6개 지역(창원·김해·진주 마산·진해·통영)의 공립유치원 178군데와 사립유치원 162군데 총 340군데를 시설을 선정하여 유아교육에서 정보통신기술(ICT)활용에 대한 실태를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의 주요 내용은 첫째, 선생님과 재직하고 계신 교육기관의 일반적 사항, 둘째, 컴퓨터 및 주변기기, 유아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보유실태, 셋째, 컴퓨터 및 ...
본 연구는 현재 유아교육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컴퓨터와 주변기기 및 소프트웨어를 얼마나 보유하고 있으며, 그것에 대한 교육활동 및 교육프로그램 활용의 실태는 어떠한지 파악하여, 유아교육에 있어 보다 효율적인 컴퓨터교육활동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컴퓨터 및 주변기기와 유아교육용소프트웨어 보유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ICT활용을 위한 교육활동의 실태는 어떠한가? 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컴퓨터 활용 방법은 어떠한가? 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인터넷 활용은 어떠한가? 3)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육용소프트웨어 사용은 어떠한가? 셋째, 공립/사립유치원과 도시/농촌의 ICT활용 정도의 차이는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한 대상은 경상남도 내의 6개 지역(창원·김해·진주 마산·진해·통영)의 공립유치원 178군데와 사립유치원 162군데 총 340군데를 시설을 선정하여 유아교육에서 정보통신기술(ICT)활용에 대한 실태를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의 주요 내용은 첫째, 선생님과 재직하고 계신 교육기관의 일반적 사항, 둘째, 컴퓨터 및 주변기기, 유아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보유실태, 셋째, 컴퓨터 및 정보통신기술 활용실태의 단계로 총 34문항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x^2(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CT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교육을 받은 경험과 시간, 장소에 대해서는 교육을 받지 않은 비경험자의 비율이 훨씬 높게 나타났고, 교육을 받은 시간은 21-40시간이 가장 많았으며, 교육장소는 대부분의 교사 연수장이나 학교에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컴퓨터보조프로그램(피코 포함)의 보유실태는 낮게 나타났고, 컴퓨터 보유는 대부분의 유치원에 보급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용소프트웨어 보유는 평균 약 25개 정도를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소프트웨어는 신나는 한글나라로 나타났다. 컴퓨터의 용도는 대부분의 유치원에서 컴퓨터를 교육과 업무를 겸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컴퓨터 활용은 주로 교사용 교수활동시간에, 학습에 도움을 주는 내용이 위주로, 주된 목표는 전체적으로 컴퓨터와 친숙도를 높이는데 높게 나타났다. 컴퓨터 활용교육 시 선행해서 가르쳐야 하는 것은 전체적으로 컴퓨터의 바른 사용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아용 컴퓨터 보조학습프로그램(CAI)의 활용 정도는 전체적으로 가끔씩 활용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유아교육에 도움이 될 교육용 소프트웨어 전체적으로 학습과 관련된 내용이 높게 나타났고, 컴퓨터 활용에 대한 교육 평가 방법은 전체적으로 유아와의 즉각적인 피드백이 높게 나타났다. ICT 프로그램의 활용을 보면 전체적으로 인터넷 활용수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소프트웨어나 보조프로그램 보다는 단지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 위주의 활용 수업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ICT활용수업에 많이 활용하는 교육내용은 전체적으로 주제 이야기가 가장 많은 응답을 하였고, ICT활용 수업유형은 전체적으로 자료제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터넷의 주사용 목적은 유아 교육정보 관련 자료 검색을 위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활용이 유아의 교육에 관한 자료를 검색하는데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루 평균 인터넷 활용시간 1시간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ICT활용 수업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가장 높은 응답은 교사연수이며, 다음으로는 교사지침서 및 교안 활용서 개발보급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재 유아교육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컴퓨터와 주변기기 및 소프트웨어를 얼마나 보유하고 있으며, 그것에 대한 교육활동 및 교육프로그램 활용의 실태는 어떠한지 파악하여, 유아교육에 있어 보다 효율적인 컴퓨터교육활동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컴퓨터 및 주변기기와 유아교육용소프트웨어 보유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ICT활용을 위한 교육활동의 실태는 어떠한가? 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컴퓨터 활용 방법은 어떠한가? 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인터넷 활용은 어떠한가? 3)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육용소프트웨어 사용은 어떠한가? 셋째, 공립/사립유치원과 도시/농촌의 ICT활용 정도의 차이는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한 대상은 경상남도 내의 6개 지역(창원·김해·진주 마산·진해·통영)의 공립유치원 178군데와 사립유치원 162군데 총 340군데를 시설을 선정하여 유아교육에서 정보통신기술(ICT)활용에 대한 실태를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의 주요 내용은 첫째, 선생님과 재직하고 계신 교육기관의 일반적 사항, 둘째, 컴퓨터 및 주변기기, 유아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보유실태, 셋째, 컴퓨터 및 정보통신기술 활용실태의 단계로 총 34문항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x^2(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CT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교육을 받은 경험과 시간, 장소에 대해서는 교육을 받지 않은 비경험자의 비율이 훨씬 높게 나타났고, 교육을 받은 시간은 21-40시간이 가장 많았으며, 교육장소는 대부분의 교사 연수장이나 학교에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컴퓨터보조프로그램(피코 포함)의 보유실태는 낮게 나타났고, 컴퓨터 보유는 대부분의 유치원에 보급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용소프트웨어 보유는 평균 약 25개 정도를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소프트웨어는 신나는 한글나라로 나타났다. 컴퓨터의 용도는 대부분의 유치원에서 컴퓨터를 교육과 업무를 겸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컴퓨터 활용은 주로 교사용 교수활동시간에, 학습에 도움을 주는 내용이 위주로, 주된 목표는 전체적으로 컴퓨터와 친숙도를 높이는데 높게 나타났다. 컴퓨터 활용교육 시 선행해서 가르쳐야 하는 것은 전체적으로 컴퓨터의 바른 사용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아용 컴퓨터 보조학습프로그램(CAI)의 활용 정도는 전체적으로 가끔씩 활용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유아교육에 도움이 될 교육용 소프트웨어 전체적으로 학습과 관련된 내용이 높게 나타났고, 컴퓨터 활용에 대한 교육 평가 방법은 전체적으로 유아와의 즉각적인 피드백이 높게 나타났다. ICT 프로그램의 활용을 보면 전체적으로 인터넷 활용수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소프트웨어나 보조프로그램 보다는 단지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 위주의 활용 수업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ICT활용수업에 많이 활용하는 교육내용은 전체적으로 주제 이야기가 가장 많은 응답을 하였고, ICT활용 수업유형은 전체적으로 자료제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터넷의 주사용 목적은 유아 교육정보 관련 자료 검색을 위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활용이 유아의 교육에 관한 자료를 검색하는데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루 평균 인터넷 활용시간 1시간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ICT활용 수업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가장 높은 응답은 교사연수이며, 다음으로는 교사지침서 및 교안 활용서 개발보급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any computers, peripheral devices and softwares were possessed by kindergartens and how educational programs capitalize on them, in an effort to lay the foundation for providing more efficient ICT-powered education for preschoolers. For that purpose,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any computers, peripheral devices and softwares were possessed by kindergartens and how educational programs capitalize on them, in an effort to lay the foundation for providing more efficient ICT-powered education for preschoolers. For that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how many computers, peripheral units and educational softwares are owned by kindergartens? 2. To what extent is ICT-powered education offered in kindergartens? 2-1. In which way do kindergartens take advantage of computer? 2-2. How do kindergartens utilized the Internet? 2-3. How do kindergartens put educational softwares to use?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ICT utiliz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between urban and rural communit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40 kindergartens from six region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including Changweon, Kimhae, Jinju, Masan, Jinhae and Tongyeoung. Out of them, public kindergartens numbered 178, and 162 were private one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elected institutes with 34-item questionnaires that cover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eacher and kindergarten, the possession of computer, peripheral devices and educational softwares, and the utilization of computer and IC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gram.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x^(2)(Chi-- square)test was implemen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 s follows: First, a s for experience, time and place of taking education about ICT, the rate of the teachers who had no such experience was much more higher than that of the experienced teachers. The most common period of time to get training was 21 to 40 hours. and most of the teachers received education a t training centers or schools. Second, there weren't enough auxiliary computer programs in the kindergartens, including Pico, and most of the institutes were equipped with computers. A mean of 25 educational softwares were owned by them, and the most widely possessed software was 'An Exciting Hangul Country.' And the most of the institutes used computers for both education and work handling. Third, young children gained access to computer mainly in class when it could be helpful for their learning. The primary object was mostly to familiarize them with computer. The teachers found it most necessary to teach preschoolers how to use computer correctly before computer-aided education started. The CAI programs were in occasional use, and the types of educational softwares that could contribute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ffect child learning were utilized. The dominant way to evaluate the use of computer was getting immediate feedback. Web-assisted instruction was most widespread among ICT-powered programs, and they relied most on the Internet rather than on softwares or CAI programs. Theme-based stories were handled the most in ICT-powered instruction, and the most frequent ICT-powered instruction type was to present information. The Internet was primarily utilized to retrieve information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largest group of the teachers spent smaller than one hour surfing the Net a day. What's most needed for ICT-assisted instruction was teacher training,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teacher's guide and teaching-plan guideb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any computers, peripheral devices and softwares were possessed by kindergartens and how educational programs capitalize on them, in an effort to lay the foundation for providing more efficient ICT-powered education for preschoolers. For that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how many computers, peripheral units and educational softwares are owned by kindergartens? 2. To what extent is ICT-powered education offered in kindergartens? 2-1. In which way do kindergartens take advantage of computer? 2-2. How do kindergartens utilized the Internet? 2-3. How do kindergartens put educational softwares to use?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ICT utiliz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between urban and rural communit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40 kindergartens from six region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including Changweon, Kimhae, Jinju, Masan, Jinhae and Tongyeoung. Out of them, public kindergartens numbered 178, and 162 were private one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elected institutes with 34-item questionnaires that cover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eacher and kindergarten, the possession of computer, peripheral devices and educational softwares, and the utilization of computer and IC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gram.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x^(2)(Chi-- square)test was implemen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 s follows: First, a s for experience, time and place of taking education about ICT, the rate of the teachers who had no such experience was much more higher than that of the experienced teachers. The most common period of time to get training was 21 to 40 hours. and most of the teachers received education a t training centers or schools. Second, there weren't enough auxiliary computer programs in the kindergartens, including Pico, and most of the institutes were equipped with computers. A mean of 25 educational softwares were owned by them, and the most widely possessed software was 'An Exciting Hangul Country.' And the most of the institutes used computers for both education and work handling. Third, young children gained access to computer mainly in class when it could be helpful for their learning. The primary object was mostly to familiarize them with computer. The teachers found it most necessary to teach preschoolers how to use computer correctly before computer-aided education started. The CAI programs were in occasional use, and the types of educational softwares that could contribute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ffect child learning were utilized. The dominant way to evaluate the use of computer was getting immediate feedback. Web-assisted instruction was most widespread among ICT-powered programs, and they relied most on the Internet rather than on softwares or CAI programs. Theme-based stories were handled the most in ICT-powered instruction, and the most frequent ICT-powered instruction type was to present information. The Internet was primarily utilized to retrieve information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largest group of the teachers spent smaller than one hour surfing the Net a day. What's most needed for ICT-assisted instruction was teacher training,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teacher's guide and teaching-plan guidebook.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