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들은 2세 경에 낱말을 붙여서 문장을 형성하기 시작하며 이때부터 구문적인 지식을 습득하기 시작한다. 초기에는 병렬적으로 제시하여 복문의 씨앗을 보이다가 연결어미를 사용하면서 다양한 복문을 발전시켜 나간다. 그러나 단순언어장애아동은 이러한 우리말의 문법형태소 습득에 어려움을 가지며 언어 수행에서 정상아동과 큰 차이를 보이게 된다. 우리말에서 언어장애아동의 문법형태소에 관한 연구들은 격조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정상적인 발달과정에서 5-6세는 구문적으로 상당한 발전을 이루는 시기이므로 이 연령대 아동의 문법형태소 사용 능력 평가하는 데 조사 사용 능력만 가지고는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나열", "계기", "동시", "이유·원인", "대립", "조건"의 6가지 의미관계의 연결어미 산출과제를 통하여 정상아동과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연결어미 사용능력을 비교하고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연결어미 사용 특성을 밝혀, 단순언어장애아동의 문법형태소 사용 능력에 대한 새로운 자료를 제시하고, 이들의 평가 및 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5-6세 정상 및 단순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연결어미 사용 능력을 측정하였다. 정상아동과 단순언어장애아동 모두 15명이었으며, 정상아동은 5세가 10명, 6세가 5명이었고, 단순언어장애아동은 5세가 9명, 6세가 6명이었다. 아동 선별을 위해서는 그림어휘력검사, 문장이해력검사,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K-WPPSI),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척도(PRES), 한국어자음선별검사를 이용하였다. 본 실험은 연결어미 산출을 유도하기 위한 그림 자료를 이용하였고, 각 의미관계별로 6문항씩 총 36문항을 제시하였다. 통계적 처리는 ...
아동들은 2세 경에 낱말을 붙여서 문장을 형성하기 시작하며 이때부터 구문적인 지식을 습득하기 시작한다. 초기에는 병렬적으로 제시하여 복문의 씨앗을 보이다가 연결어미를 사용하면서 다양한 복문을 발전시켜 나간다. 그러나 단순언어장애아동은 이러한 우리말의 문법형태소 습득에 어려움을 가지며 언어 수행에서 정상아동과 큰 차이를 보이게 된다. 우리말에서 언어장애아동의 문법형태소에 관한 연구들은 격조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정상적인 발달과정에서 5-6세는 구문적으로 상당한 발전을 이루는 시기이므로 이 연령대 아동의 문법형태소 사용 능력 평가하는 데 조사 사용 능력만 가지고는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나열", "계기", "동시", "이유·원인", "대립", "조건"의 6가지 의미관계의 연결어미 산출과제를 통하여 정상아동과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연결어미 사용능력을 비교하고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연결어미 사용 특성을 밝혀, 단순언어장애아동의 문법형태소 사용 능력에 대한 새로운 자료를 제시하고, 이들의 평가 및 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5-6세 정상 및 단순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연결어미 사용 능력을 측정하였다. 정상아동과 단순언어장애아동 모두 15명이었으며, 정상아동은 5세가 10명, 6세가 5명이었고, 단순언어장애아동은 5세가 9명, 6세가 6명이었다. 아동 선별을 위해서는 그림어휘력검사, 문장이해력검사,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K-WPPSI),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척도(PRES), 한국어자음선별검사를 이용하였다. 본 실험은 연결어미 산출을 유도하기 위한 그림 자료를 이용하였고, 각 의미관계별로 6문항씩 총 36문항을 제시하였다. 통계적 처리는 SPSS 10.0의 t-검정, 이원분산 반복측정, 사후점증을 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순언어장애아동은 정상아동에 비하여 전반적인 연결어미 사용 능력이 낮았다. 의미관계별로 보면 "동시", "이유·원인", "대립", "조건"의 의미관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사용능력에서 단순언어장애아동이 정상아동에 비하여 낮은 수행을 보였다. (2) 두 가지 이상의 유형을 살필 수 있는 의미관계에는 "계기", "동시", "이유·원인","대립"이 있었다. 의미관계별로 연결어미 산출특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기"(-고, -(아/어)서, -가지고) 의미관계에서, 아동은 '-고'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보조용언 '-가지고'를 가장 적게 사용하여, 연결어미 유형간에는 사용능력에 차이가 있으나 두 집단간에 차이는 없었고,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동시"(-고, -면서) 의미관계에서 두 집단 모두 '-고'를 사용하는 능력은 차이가 없었으나, 단순언어장애아동은 정상아동에 비하여 연결어미 '-면서'를 사용하는 능력이 낮았다. 셋째, "이유·원인"(-고, -(아/어)서, -니까, -가지고) 의미관계에서 두 집단 모두 '-(아/어)서'를 많이 사용하고, '-고, -니까'는 적게 사용하였다. 그러나 집단간에 차이는 없었고, 유형과 집단간의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대립"(-고, -ㄴ데, -지만)에서 두 집단 모두 연결어미 '-고'를 많이 사용하고 다음으로 '-ㄴ데'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정상아동이 '-고'와 '-ㄴ데'를 비슷하게 사용하였으나, 단순언어장애아동은 '-고'를 많이 사용하였고, 정상아동에 비하여 '-ㄴ데'의 사용능력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3) 5-6세 정상아동은 "나열", "계기", "동시", "이유·원인", "대립"의 의미를 나타내는 연결어미를 비슷한 정도로 원활히 사용할 수 있었다. 단순언어장애아동은 "나열", "계기"의 의미를 나타내는 연결어미는 활발히 사용하였으나 "이유·원인", "대립", "동시"와 "조건" 수행이 낮았으며, 그 중에서도 "동시"와 "조건"의 연결어미 산출에서 다른 의미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보다 낮은 수행을 보였다. 이 연구는 다양한 연결어미의 사용이 가능해지는 5-6세의 정상 및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연결어미 사용 능력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언어장애아동의 문법형태소 결함에 대한 자료를 제시할 뿐 아니라 이들의 평가와 치료에도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동들은 2세 경에 낱말을 붙여서 문장을 형성하기 시작하며 이때부터 구문적인 지식을 습득하기 시작한다. 초기에는 병렬적으로 제시하여 복문의 씨앗을 보이다가 연결어미를 사용하면서 다양한 복문을 발전시켜 나간다. 그러나 단순언어장애아동은 이러한 우리말의 문법형태소 습득에 어려움을 가지며 언어 수행에서 정상아동과 큰 차이를 보이게 된다. 우리말에서 언어장애아동의 문법형태소에 관한 연구들은 격조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정상적인 발달과정에서 5-6세는 구문적으로 상당한 발전을 이루는 시기이므로 이 연령대 아동의 문법형태소 사용 능력 평가하는 데 조사 사용 능력만 가지고는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나열", "계기", "동시", "이유·원인", "대립", "조건"의 6가지 의미관계의 연결어미 산출과제를 통하여 정상아동과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연결어미 사용능력을 비교하고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연결어미 사용 특성을 밝혀, 단순언어장애아동의 문법형태소 사용 능력에 대한 새로운 자료를 제시하고, 이들의 평가 및 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5-6세 정상 및 단순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연결어미 사용 능력을 측정하였다. 정상아동과 단순언어장애아동 모두 15명이었으며, 정상아동은 5세가 10명, 6세가 5명이었고, 단순언어장애아동은 5세가 9명, 6세가 6명이었다. 아동 선별을 위해서는 그림어휘력검사, 문장이해력검사,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K-WPPSI),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척도(PRES), 한국어자음선별검사를 이용하였다. 본 실험은 연결어미 산출을 유도하기 위한 그림 자료를 이용하였고, 각 의미관계별로 6문항씩 총 36문항을 제시하였다. 통계적 처리는 SPSS 10.0의 t-검정, 이원분산 반복측정, 사후점증을 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순언어장애아동은 정상아동에 비하여 전반적인 연결어미 사용 능력이 낮았다. 의미관계별로 보면 "동시", "이유·원인", "대립", "조건"의 의미관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사용능력에서 단순언어장애아동이 정상아동에 비하여 낮은 수행을 보였다. (2) 두 가지 이상의 유형을 살필 수 있는 의미관계에는 "계기", "동시", "이유·원인","대립"이 있었다. 의미관계별로 연결어미 산출특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기"(-고, -(아/어)서, -가지고) 의미관계에서, 아동은 '-고'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보조용언 '-가지고'를 가장 적게 사용하여, 연결어미 유형간에는 사용능력에 차이가 있으나 두 집단간에 차이는 없었고,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동시"(-고, -면서) 의미관계에서 두 집단 모두 '-고'를 사용하는 능력은 차이가 없었으나, 단순언어장애아동은 정상아동에 비하여 연결어미 '-면서'를 사용하는 능력이 낮았다. 셋째, "이유·원인"(-고, -(아/어)서, -니까, -가지고) 의미관계에서 두 집단 모두 '-(아/어)서'를 많이 사용하고, '-고, -니까'는 적게 사용하였다. 그러나 집단간에 차이는 없었고, 유형과 집단간의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대립"(-고, -ㄴ데, -지만)에서 두 집단 모두 연결어미 '-고'를 많이 사용하고 다음으로 '-ㄴ데'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정상아동이 '-고'와 '-ㄴ데'를 비슷하게 사용하였으나, 단순언어장애아동은 '-고'를 많이 사용하였고, 정상아동에 비하여 '-ㄴ데'의 사용능력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3) 5-6세 정상아동은 "나열", "계기", "동시", "이유·원인", "대립"의 의미를 나타내는 연결어미를 비슷한 정도로 원활히 사용할 수 있었다. 단순언어장애아동은 "나열", "계기"의 의미를 나타내는 연결어미는 활발히 사용하였으나 "이유·원인", "대립", "동시"와 "조건" 수행이 낮았으며, 그 중에서도 "동시"와 "조건"의 연결어미 산출에서 다른 의미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보다 낮은 수행을 보였다. 이 연구는 다양한 연결어미의 사용이 가능해지는 5-6세의 정상 및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연결어미 사용 능력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언어장애아동의 문법형태소 결함에 대한 자료를 제시할 뿐 아니라 이들의 평가와 치료에도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use of connective endings in normal and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1) children. Thirty normal and specifically language impaired(SL1) children aged 5 and 6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fteen each per group. All subject were presented with six picture car...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use of connective endings in normal and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1) children. Thirty normal and specifically language impaired(SL1) children aged 5 and 6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fteen each per group. All subject were presented with six picture cards for six semantic relations("list", "succession", "simultaneity", "causality", "contrast", "condition") were used. After presented with each card, each subject was asked to describe the pictures using appropriate connective endings. All responses were audio tape recorded. The statistic of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t-tests and post-hoc tests were used to t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LI and normal children in total scores connective endings. SLI demonstrated less uses of semantic relations of "simultaneity", "causality", "contrast" and "condition." (2) Both children used only one type of connective endings to reveal of "list" and "condition". While they used several types of connective endings to reveal to "succession" and "causality". But SLI and normal children revealed difference of connective endings of "simultaneity (-myense)" and "contrast(-nuntey)". (3) normal children demonstrated free use of connective endings of "list", "condition", "succession", "causality", "simultaneity" and "contrast", while SLI children demonstrated less use of connective endings except "list" and "succession", above all the use of connective endings "simultaneity" and "condition" was extremely low.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use of connective endings in normal and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1) children. Thirty normal and specifically language impaired(SL1) children aged 5 and 6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fteen each per group. All subject were presented with six picture cards for six semantic relations("list", "succession", "simultaneity", "causality", "contrast", "condition") were used. After presented with each card, each subject was asked to describe the pictures using appropriate connective endings. All responses were audio tape recorded. The statistic of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t-tests and post-hoc tests were used to t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LI and normal children in total scores connective endings. SLI demonstrated less uses of semantic relations of "simultaneity", "causality", "contrast" and "condition." (2) Both children used only one type of connective endings to reveal of "list" and "condition". While they used several types of connective endings to reveal to "succession" and "causality". But SLI and normal children revealed difference of connective endings of "simultaneity (-myense)" and "contrast(-nuntey)". (3) normal children demonstrated free use of connective endings of "list", "condition", "succession", "causality", "simultaneity" and "contrast", while SLI children demonstrated less use of connective endings except "list" and "succession", above all the use of connective endings "simultaneity" and "condition" was extremely low.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