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초의 기능성 해명과 유용 기능성 성분을 찾으려는 일환으로 신선초의 지상부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을 분리하여 구조해석하고 이들 화합물의 활성평가를 시도하였다. 신선초 지상부를 열수와 EtOH로 추출하여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을 측정한 결과 EtOH 추출물과 열수추출물이 비슷한 활성을 보였고, 시료로부터의 추출은 EtOH보다 열수를 이용하였을 때 훨씬 더 높은 회수율을 보였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열수 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 ...
신선초의 기능성 해명과 유용 기능성 성분을 찾으려는 일환으로 신선초의 지상부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을 분리하여 구조해석하고 이들 화합물의 활성평가를 시도하였다. 신선초 지상부를 열수와 EtOH로 추출하여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을 측정한 결과 EtOH 추출물과 열수추출물이 비슷한 활성을 보였고, 시료로부터의 추출은 EtOH보다 열수를 이용하였을 때 훨씬 더 높은 회수율을 보였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열수 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 활성 물질의 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신선초 지상부 열수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ethyl acetate 가용 산성획분과 ethyl acetate 가용 중성 획분의 두 획분에서 항산화 활성이 인정되었다. 이중 ethyl acetate 가웅 중성 획분으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 6종을 단리·정제하고, 그들 각각의 화합물을 기기분석하여 luteolin 3-O-β-D-rhamnopyranosyl(1→6)-7-O-α-L-glucopyranoside, luteolin 7-O-β-D-glucopyranoside, quercetin 3-O-β-D-glucopyranoside, quercetin 3-O-β-D-galactopyranoside, quercetin 3-O-α-D-arabinopyranoside, 그리고 kaempferol 3-O-α-D-arabinopyranoside로 동정하였다. 분리된 이들 화합물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어 신선초 지상부의 식품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이 크게 기대된다.
신선초의 기능성 해명과 유용 기능성 성분을 찾으려는 일환으로 신선초의 지상부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을 분리하여 구조해석하고 이들 화합물의 활성평가를 시도하였다. 신선초 지상부를 열수와 EtOH로 추출하여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을 측정한 결과 EtOH 추출물과 열수추출물이 비슷한 활성을 보였고, 시료로부터의 추출은 EtOH보다 열수를 이용하였을 때 훨씬 더 높은 회수율을 보였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열수 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 활성 물질의 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신선초 지상부 열수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ethyl acetate 가용 산성획분과 ethyl acetate 가용 중성 획분의 두 획분에서 항산화 활성이 인정되었다. 이중 ethyl acetate 가웅 중성 획분으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 6종을 단리·정제하고, 그들 각각의 화합물을 기기분석하여 luteolin 3-O-β-D-rhamnopyranosyl(1→6)-7-O-α-L-glucopyranoside, luteolin 7-O-β-D-glucopyranoside, quercetin 3-O-β-D-glucopyranoside, quercetin 3-O-β-D-galactopyranoside, quercetin 3-O-α-D-arabinopyranoside, 그리고 kaempferol 3-O-α-D-arabinopyranoside로 동정하였다. 분리된 이들 화합물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어 신선초 지상부의 식품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이 크게 기대된다.
This paper describes the isolation and structural elucida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the aerial parts of Angelica keiskei. Hot water extracts were solvent fractionated with ethyl acetate and various buffers to obtain EtOAc-soluble acidic and neutral fractions. The EtOAc-solubie acidic and neut...
This paper describes the isolation and structural elucida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the aerial parts of Angelica keiskei. Hot water extracts were solvent fractionated with ethyl acetate and various buffers to obtain EtOAc-soluble acidic and neutral fractions. The EtOAc-solubie acidic and neutral fractions showed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Six antioxidative compounds were purified and isolated by assay-guided separation with various chromatographic procedures. The isol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luteolin 3-O-β-D-rhamnopyranosyl(1→6)-7-O-α-L-glucopyranoside, luteolin 7-O-β-D-glucopyranoside, quercetin 3-O-D-D-glucopyranoside, quercetin 3-O-β-D-galactopyranoside, quercetin 3-O-α-D-arabinopyranoside, and kaempferol 3-O-α-D-arabinopyranoside by FAB-MS and NMR analyses. One molecule of quercetin-3-galactoside, quercetin 3-O-β-D-glucoside and quercetin-3-arabinoside scavenged 4.2 molecule DPPH radical,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one molecule of luteolin-7-lutinoside, luteolin-7-glucoside, kaempferol-3-arabinoside scavenged 2.5, 2.2, 1.4 molecule DPPH radical, respectiveiy.
This paper describes the isolation and structural elucida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the aerial parts of Angelica keiskei. Hot water extracts were solvent fractionated with ethyl acetate and various buffers to obtain EtOAc-soluble acidic and neutral fractions. The EtOAc-solubie acidic and neutral fractions showed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Six antioxidative compounds were purified and isolated by assay-guided separation with various chromatographic procedures. The isol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luteolin 3-O-β-D-rhamnopyranosyl(1→6)-7-O-α-L-glucopyranoside, luteolin 7-O-β-D-glucopyranoside, quercetin 3-O-D-D-glucopyranoside, quercetin 3-O-β-D-galactopyranoside, quercetin 3-O-α-D-arabinopyranoside, and kaempferol 3-O-α-D-arabinopyranoside by FAB-MS and NMR analyses. One molecule of quercetin-3-galactoside, quercetin 3-O-β-D-glucoside and quercetin-3-arabinoside scavenged 4.2 molecule DPPH radical,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one molecule of luteolin-7-lutinoside, luteolin-7-glucoside, kaempferol-3-arabinoside scavenged 2.5, 2.2, 1.4 molecule DPPH radical, respectivei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