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현대 국어의 종결어미들이 발화 상황에서 사용될 때 말하는이의 의도에 따라 일정한 의미 체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연구하였다. 지금까지의 종결어미 연구에서는 문장종결법이나 상대높임법으로만 하위분류하던 것을 비판하고, 본 논문에서는 종결어미와 같은 형식 형태소들도 그들이 가지는 기능 외에 의미를 중심으로 연구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2장에서는 종결어미가 문장을 종결하는 기능을 하고 문장종결법과 상대높임법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말하는이의 의도에 따라 일정한 의미 체계를 가지고 있음을 보이고, 종결어미의 기능과 의미를 한데 아울러 ‘기능의미’라고 부를 것을 주장하였다. 3장에서는 종결어미의 형태적 연구를 통해 이 글의 연구 대상인 103개의 종결어미를 분류하였다. 그리고 종결어미의 형태적․통사적 특성인 문장종결법과 통사적․화용적 특성인 상대높임법에 대해 논의하고, 특히 문장종결법은 국어의 형태적․통사적 특성에 따른 것이므로 이를 하위분류할 때 의미적인 기준을 섞지 않아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종결어미와 화행론, 양태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말하는이가 발화 상황에서 종결어미를 선택하는 의도를 중심으로 종결어미의 의미 체계를 세웠다. 말하는이는 의사소통과 감정 표출의 두 가지 의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종결어미에 각각 의사소통적 기능과 표출적 기능으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의사소통적 기능’이란 말하는이가 듣는이와 상호 의사 전달 행위를 하는 것으로, 행위를 지시하거나, 정보를 주고받거나, 지각이나 사유를 통한 인지 작용의 결과를 전달하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를 각각 ‘행위 기능’, ‘정보 기능’, ‘인지 기능’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표출적 기능’이란 말하는이의 감정을 표출하는 것으로 이를 ‘표출 기능’이라고 하였다. 이들은 각각 다음과 같이 하위분류된다.의사소통적 기능: 행위 기능 ― [약속], [의지], [시킴], [요청], [허락], [권유] 정보 기능 ― [...
본 논문은 현대 국어의 종결어미들이 발화 상황에서 사용될 때 말하는이의 의도에 따라 일정한 의미 체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연구하였다. 지금까지의 종결어미 연구에서는 문장종결법이나 상대높임법으로만 하위분류하던 것을 비판하고, 본 논문에서는 종결어미와 같은 형식 형태소들도 그들이 가지는 기능 외에 의미를 중심으로 연구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2장에서는 종결어미가 문장을 종결하는 기능을 하고 문장종결법과 상대높임법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말하는이의 의도에 따라 일정한 의미 체계를 가지고 있음을 보이고, 종결어미의 기능과 의미를 한데 아울러 ‘기능의미’라고 부를 것을 주장하였다. 3장에서는 종결어미의 형태적 연구를 통해 이 글의 연구 대상인 103개의 종결어미를 분류하였다. 그리고 종결어미의 형태적․통사적 특성인 문장종결법과 통사적․화용적 특성인 상대높임법에 대해 논의하고, 특히 문장종결법은 국어의 형태적․통사적 특성에 따른 것이므로 이를 하위분류할 때 의미적인 기준을 섞지 않아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종결어미와 화행론, 양태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말하는이가 발화 상황에서 종결어미를 선택하는 의도를 중심으로 종결어미의 의미 체계를 세웠다. 말하는이는 의사소통과 감정 표출의 두 가지 의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종결어미에 각각 의사소통적 기능과 표출적 기능으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의사소통적 기능’이란 말하는이가 듣는이와 상호 의사 전달 행위를 하는 것으로, 행위를 지시하거나, 정보를 주고받거나, 지각이나 사유를 통한 인지 작용의 결과를 전달하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를 각각 ‘행위 기능’, ‘정보 기능’, ‘인지 기능’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표출적 기능’이란 말하는이의 감정을 표출하는 것으로 이를 ‘표출 기능’이라고 하였다. 이들은 각각 다음과 같이 하위분류된다.의사소통적 기능: 행위 기능 ― [약속], [의지], [시킴], [요청], [허락], [권유] 정보 기능 ― [알림], [서술], [질문], [문제제기] 인지 기능 ― [확인], [추측], [이유], [단정]표출적 기능: 표출 기능 ― [감탄], [불평], [의심], [무관심], [기원], [염려], [강조] 그리고 이와 같은 의미 분류를 통해 각각의 의미들을 종결어미의 다의성을 설명하는 장치로 사용함으로써 어휘부에서 종결어미들의 기능과 의미를 더 쉽게 파악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종결어미와 같은 형식 형태소들에 나타나는 동형 관계와 다의 관계의 구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종결어미에서 동형 관계인지를 살피는 기준은 첫째, 어원을 살피고, 둘째, 문법화의 진행 여부를 알아보고, 셋째, 기능과 의미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동형 관계와 다의 관계를 구분해 낸 뒤, 4장에서 구분한 의미들이 어떻게 다의 관계를 보이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다의 관계를 통해 종결어미도 행위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의미에서 인지나 감정을 나타내는 추상적인 의미로, 말하는이 중심의 사고에서 듣는이 중심으로 의미가 번져 나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어휘 형태소에서 나타나는 다의성과 동일한 것이다.
본 논문은 현대 국어의 종결어미들이 발화 상황에서 사용될 때 말하는이의 의도에 따라 일정한 의미 체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연구하였다. 지금까지의 종결어미 연구에서는 문장종결법이나 상대높임법으로만 하위분류하던 것을 비판하고, 본 논문에서는 종결어미와 같은 형식 형태소들도 그들이 가지는 기능 외에 의미를 중심으로 연구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2장에서는 종결어미가 문장을 종결하는 기능을 하고 문장종결법과 상대높임법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말하는이의 의도에 따라 일정한 의미 체계를 가지고 있음을 보이고, 종결어미의 기능과 의미를 한데 아울러 ‘기능의미’라고 부를 것을 주장하였다. 3장에서는 종결어미의 형태적 연구를 통해 이 글의 연구 대상인 103개의 종결어미를 분류하였다. 그리고 종결어미의 형태적․통사적 특성인 문장종결법과 통사적․화용적 특성인 상대높임법에 대해 논의하고, 특히 문장종결법은 국어의 형태적․통사적 특성에 따른 것이므로 이를 하위분류할 때 의미적인 기준을 섞지 않아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종결어미와 화행론, 양태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말하는이가 발화 상황에서 종결어미를 선택하는 의도를 중심으로 종결어미의 의미 체계를 세웠다. 말하는이는 의사소통과 감정 표출의 두 가지 의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종결어미에 각각 의사소통적 기능과 표출적 기능으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의사소통적 기능’이란 말하는이가 듣는이와 상호 의사 전달 행위를 하는 것으로, 행위를 지시하거나, 정보를 주고받거나, 지각이나 사유를 통한 인지 작용의 결과를 전달하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를 각각 ‘행위 기능’, ‘정보 기능’, ‘인지 기능’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표출적 기능’이란 말하는이의 감정을 표출하는 것으로 이를 ‘표출 기능’이라고 하였다. 이들은 각각 다음과 같이 하위분류된다.의사소통적 기능: 행위 기능 ― [약속], [의지], [시킴], [요청], [허락], [권유] 정보 기능 ― [알림], [서술], [질문], [문제제기] 인지 기능 ― [확인], [추측], [이유], [단정]표출적 기능: 표출 기능 ― [감탄], [불평], [의심], [무관심], [기원], [염려], [강조] 그리고 이와 같은 의미 분류를 통해 각각의 의미들을 종결어미의 다의성을 설명하는 장치로 사용함으로써 어휘부에서 종결어미들의 기능과 의미를 더 쉽게 파악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종결어미와 같은 형식 형태소들에 나타나는 동형 관계와 다의 관계의 구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종결어미에서 동형 관계인지를 살피는 기준은 첫째, 어원을 살피고, 둘째, 문법화의 진행 여부를 알아보고, 셋째, 기능과 의미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동형 관계와 다의 관계를 구분해 낸 뒤, 4장에서 구분한 의미들이 어떻게 다의 관계를 보이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다의 관계를 통해 종결어미도 행위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의미에서 인지나 감정을 나타내는 추상적인 의미로, 말하는이 중심의 사고에서 듣는이 중심으로 의미가 번져 나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어휘 형태소에서 나타나는 다의성과 동일한 것이다.
Keyword
#종결어미 문장종결법 상대높임법 기능의미 행위 기능 정보 기능 인지 기능 표출 기능 동형 관계 다의성
학위논문 정보
저자
이종희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국어국문학과
지도교수
임용기
발행연도
2004
총페이지
vi, 214 p.
키워드
종결어미 문장종결법 상대높임법 기능의미 행위 기능 정보 기능 인지 기능 표출 기능 동형 관계 다의성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