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압 처리가 고려 홍삼의 ginsenoside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한국 강화에서 재배된 6년근 고려 인삼을 상온에서 1분간 초고압 처리 (200, 400, 600 MPa)하고 98±1oC에서 3시간 동안 증삼하여 홍삼을 제조하였으며, 기존의 방법으로 제조한 홍삼과 비교를 하였다. 모든 초고압 처리를 거친 홍삼의 경우 인삼을 초고압 처리를 하기 전, ...
초고압 처리가 고려 홍삼의 ginsenoside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한국 강화에서 재배된 6년근 고려 인삼을 상온에서 1분간 초고압 처리 (200, 400, 600 MPa)하고 98±1oC에서 3시간 동안 증삼하여 홍삼을 제조하였으며, 기존의 방법으로 제조한 홍삼과 비교를 하였다. 모든 초고압 처리를 거친 홍삼의 경우 인삼을 초고압 처리를 하기 전,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여 진공 포장을 하였다.조사포닌의 함량은 기존 홍삼의 경우 20.4 mgg 였으며 초고압 처리한 경우 27.6 mgg 이었다. 10 종의 주요 ginsenoside (Rb1, Rb2, Rc, Rd, Re, Rf, Rg1, Rg2, Rg3 and Rh1) 함량에 대하여 HPLC를 통한 정량 분석을 하였다. 증삼 전 초고압 처리를 한 경우에 10종의 총 사포닌 함량이 45% 증가하였고, protopanaxadiol 형태의 ginsenoside 중 4가지 성분이 34-43% 증가하였으며, protopanaxatriol 형태의 ginsenoside 중 5가지 성분이 45-66% 증가하였다. 이때 홍삼의 특이적인 ginsenoside Rg3의 ?량은 변화하지 않았다.비열 가공 기술 중 초고압 처리와 같은 기술은 세포막 투과성과 관련하여 식물 원료를 변형시켜 활용하는 것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변화는 특정 식물의 대사 산물에 대한 세포 외부 방출 및 물질의 이동을 의미한다. 따라서 초고압 처리가 홍삼의 엑기스와 조사포닌 자체에 대해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홍삼으로부터 추출한 조사포닌을 물에 용해시켜 두 가지로 나누어 그대로 분석한 것과 상온에서 1분간 600 MPa의 압력에서 초고압 처리한 것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초고압 처리한 조사포닌과 일반 홍삼으로부터 추출한 조사포닌 간의 10종의 주요 ginsenoside 개별 성분 변화는 없었다. 또한 홍삼 엑기스에 대한 초고압 처리가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도 엑기스를 상온에서 1분간 600 MPa의 압력에서 초고압 처리를 한 경우와 엑기스에서 그대로 ginsenoside 추출한 경우에 총 사포닌 및 개별 ginsenoside의 함량 변화는 없었다.인삼의 식물 세포 및 조직에 대한 초고압 처리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주사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인삼 그대로 관찰한 경우에 세포 들이 치밀하고 원형이 유지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반면, 초고압 처리를 거친 인삼의 경우 세포와 조직이 손상되고 형태가 변형된 결과를 나타냈다.초고압 처리가 홍삼의 ginsenoside 함량에 미치는 효과를 증명하기 위하여 쌍체 비교를 통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인삼을 각각 수직으로 절단 하여 한 쌍씩 진공 포장하여 증삼한 홍삼과 초고압 처리를 거친 후 증삼하여 제조한 홍삼을 비교하였다. 조사포닌 및 총 사포닌의 함량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고 10종의 주요 ginsenoside 중 ginsenoside Re를 제외한 9종의 ginsenoside 개별 성분 역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초고압 처리는 홍삼의 조사포닌, 총 사포닌 그리고 개별 ginsenoside 성분의 수율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초고압 처리가 고려 홍삼의 ginsenoside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한국 강화에서 재배된 6년근 고려 인삼을 상온에서 1분간 초고압 처리 (200, 400, 600 MPa)하고 98±1oC에서 3시간 동안 증삼하여 홍삼을 제조하였으며, 기존의 방법으로 제조한 홍삼과 비교를 하였다. 모든 초고압 처리를 거친 홍삼의 경우 인삼을 초고압 처리를 하기 전,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여 진공 포장을 하였다.조사포닌의 함량은 기존 홍삼의 경우 20.4 mgg 였으며 초고압 처리한 경우 27.6 mgg 이었다. 10 종의 주요 ginsenoside (Rb1, Rb2, Rc, Rd, Re, Rf, Rg1, Rg2, Rg3 and Rh1) 함량에 대하여 HPLC를 통한 정량 분석을 하였다. 증삼 전 초고압 처리를 한 경우에 10종의 총 사포닌 함량이 45% 증가하였고, protopanaxadiol 형태의 ginsenoside 중 4가지 성분이 34-43% 증가하였으며, protopanaxatriol 형태의 ginsenoside 중 5가지 성분이 45-66% 증가하였다. 이때 홍삼의 특이적인 ginsenoside Rg3의 ?량은 변화하지 않았다.비열 가공 기술 중 초고압 처리와 같은 기술은 세포막 투과성과 관련하여 식물 원료를 변형시켜 활용하는 것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변화는 특정 식물의 대사 산물에 대한 세포 외부 방출 및 물질의 이동을 의미한다. 따라서 초고압 처리가 홍삼의 엑기스와 조사포닌 자체에 대해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홍삼으로부터 추출한 조사포닌을 물에 용해시켜 두 가지로 나누어 그대로 분석한 것과 상온에서 1분간 600 MPa의 압력에서 초고압 처리한 것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초고압 처리한 조사포닌과 일반 홍삼으로부터 추출한 조사포닌 간의 10종의 주요 ginsenoside 개별 성분 변화는 없었다. 또한 홍삼 엑기스에 대한 초고압 처리가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도 엑기스를 상온에서 1분간 600 MPa의 압력에서 초고압 처리를 한 경우와 엑기스에서 그대로 ginsenoside 추출한 경우에 총 사포닌 및 개별 ginsenoside의 함량 변화는 없었다.인삼의 식물 세포 및 조직에 대한 초고압 처리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주사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인삼 그대로 관찰한 경우에 세포 들이 치밀하고 원형이 유지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반면, 초고압 처리를 거친 인삼의 경우 세포와 조직이 손상되고 형태가 변형된 결과를 나타냈다.초고압 처리가 홍삼의 ginsenoside 함량에 미치는 효과를 증명하기 위하여 쌍체 비교를 통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인삼을 각각 수직으로 절단 하여 한 쌍씩 진공 포장하여 증삼한 홍삼과 초고압 처리를 거친 후 증삼하여 제조한 홍삼을 비교하였다. 조사포닌 및 총 사포닌의 함량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고 10종의 주요 ginsenoside 중 ginsenoside Re를 제외한 9종의 ginsenoside 개별 성분 역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초고압 처리는 홍삼의 조사포닌, 총 사포닌 그리고 개별 ginsenoside 성분의 수율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Effects of high-hydrostatic pressure on ginsenoside composition of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were investigated. Six-year old Korean ginsengs cultivated in Kangwha, Korea were trea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min with high-hydrostatic pressure (200, 400, 600 MPa) and steamed at ...
Effects of high-hydrostatic pressure on ginsenoside composition of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were investigated. Six-year old Korean ginsengs cultivated in Kangwha, Korea were trea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min with high-hydrostatic pressure (200, 400, 600 MPa) and steamed at 98±1ºC for 3 h (pressurized red ginseng). Korean red ginseng produced by a conventional method was compared to pressurized red ginseng. All treated samples were vacuum-packaged in polyethylene film before pressurization.Amounts of crude saponin of non-treated red ginseng and treated red ginseng were 20.4 and 27.6 mgg, respectively. Ten major ginsenosides (Rb1, Rb2, Rc, Rd, Re, Rf, Rg1, Rg2, Rg3 and Rh1) of non-treated and treated red ginseng were analyzed by HPLC, and compared. Total amounts of ten major ginsenosides were increased 45% when samples were pressurized before steaming. Each content of 4 protopanaxadiol type ginsenosides (Rb1, Rb2, Rc, Rd) of treated red ginseng increased 34-43% and 5 protopanaxatriol type ginsenosides (Re, Rf, Rg1, Rg2, Rh1) of treated red ginseng increased 45-66%. Amounts of ginsenoside Rg3 of non-treated and treated samples, red ginseng specific saponin, were not different.Non-thernal processes with cell membrane permeabilizing features such as high-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 can be applied to modify plant materials. Such modifications include the improvement of mass transfer and the release of specific plant metabolites. So effects of high-hydrostatic pressure on crude saponin of red ginseng were investigated. Crude saponin of red ginseng was dissolved in water and divided into non-treated and treated crude saponin (pressurized at 600 MPa for 1min). Ten major ginsenosides (Rb1, Rb2, Rc, Rd, Re, Rf, Rg1, Rg2 Rg3 and Rh1) of non-treated and treated crude saponin were analyzed by HPLC, and compar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ntents of ten major ginsenosides of crude saponin. Also, effects of high-hydrostatic pressure on red ginseng extract were investigated. Red ginseng extract was divided into non-treated and treated extract (pressurized at 600 MPa for 1 min). Amounts of crude saponin, total ginsenosides and ten major ginsenosides of red ginseng extract were analyzed by HPLC, and compared. The ginsenoside compositions of red ginseng extract were not changed by high-hydrostatic pressure.To observe microstructures of ginseng plant cell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 ginseng root was divided into raw ginseng and ginseng pressurized at 600 MPa for 1 mi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the change that ginseng piece undergo after treatment with high-hydrostatic pressure. Ginseng plant cells and tissue of raw ginseng were intact and ordered structure but those of treated ginseng showed damaged structure and permeable membrane.To confirm the effects of high-hydrostatic pressure on ginsenoside composition of red ginseng except for the impact of packaging, paired comparison was investigated. Contents of crude saponin, total ginsenosides and nine ginsenosides among the ten major ginsenosid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content of ginsenoside Re was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paired comparison.High-hydrostatic pressure had effect on the increasing yield of crude saponin, total ginsenosides and ten major ginsenosides of Korean red ginseng.
Effects of high-hydrostatic pressure on ginsenoside composition of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were investigated. Six-year old Korean ginsengs cultivated in Kangwha, Korea were trea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min with high-hydrostatic pressure (200, 400, 600 MPa) and steamed at 98±1ºC for 3 h (pressurized red ginseng). Korean red ginseng produced by a conventional method was compared to pressurized red ginseng. All treated samples were vacuum-packaged in polyethylene film before pressurization.Amounts of crude saponin of non-treated red ginseng and treated red ginseng were 20.4 and 27.6 mgg, respectively. Ten major ginsenosides (Rb1, Rb2, Rc, Rd, Re, Rf, Rg1, Rg2, Rg3 and Rh1) of non-treated and treated red ginseng were analyzed by HPLC, and compared. Total amounts of ten major ginsenosides were increased 45% when samples were pressurized before steaming. Each content of 4 protopanaxadiol type ginsenosides (Rb1, Rb2, Rc, Rd) of treated red ginseng increased 34-43% and 5 protopanaxatriol type ginsenosides (Re, Rf, Rg1, Rg2, Rh1) of treated red ginseng increased 45-66%. Amounts of ginsenoside Rg3 of non-treated and treated samples, red ginseng specific saponin, were not different.Non-thernal processes with cell membrane permeabilizing features such as high-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 can be applied to modify plant materials. Such modifications include the improvement of mass transfer and the release of specific plant metabolites. So effects of high-hydrostatic pressure on crude saponin of red ginseng were investigated. Crude saponin of red ginseng was dissolved in water and divided into non-treated and treated crude saponin (pressurized at 600 MPa for 1min). Ten major ginsenosides (Rb1, Rb2, Rc, Rd, Re, Rf, Rg1, Rg2 Rg3 and Rh1) of non-treated and treated crude saponin were analyzed by HPLC, and compar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ntents of ten major ginsenosides of crude saponin. Also, effects of high-hydrostatic pressure on red ginseng extract were investigated. Red ginseng extract was divided into non-treated and treated extract (pressurized at 600 MPa for 1 min). Amounts of crude saponin, total ginsenosides and ten major ginsenosides of red ginseng extract were analyzed by HPLC, and compared. The ginsenoside compositions of red ginseng extract were not changed by high-hydrostatic pressure.To observe microstructures of ginseng plant cell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 ginseng root was divided into raw ginseng and ginseng pressurized at 600 MPa for 1 mi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the change that ginseng piece undergo after treatment with high-hydrostatic pressure. Ginseng plant cells and tissue of raw ginseng were intact and ordered structure but those of treated ginseng showed damaged structure and permeable membrane.To confirm the effects of high-hydrostatic pressure on ginsenoside composition of red ginseng except for the impact of packaging, paired comparison was investigated. Contents of crude saponin, total ginsenosides and nine ginsenosides among the ten major ginsenosid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content of ginsenoside Re was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paired comparison.High-hydrostatic pressure had effect on the increasing yield of crude saponin, total ginsenosides and ten major ginsenosides of Korean red ginseng.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