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사회적 문제로 주목되는 또래에 의한 따돌림 행동이 학령기 아동뿐 아니라 유아에게서도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따돌림 행동을 유형별로 살펴보고 성별에 따른 따돌림 행동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유아의 따돌림 행동과 또래수용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유아들의 따돌림 행동 연구에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5세 유아의 따돌림 행동은 어떠한가? 2. 만 5세 유아의 따돌림 행동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만 5세 유아의 따돌림 행동과 또래수용도는 어떠한가?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4곳의 만 5세아 92명을 면접하였다. 유아의 따돌림 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Perren(2000)의 유아용 따돌림 질문지를 참고로 설문지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따돌림 행동의 유형은 언어적, 물리적, 신체적, 소외적 행동으로 구분하여 문항을 구성하였다. 또래수용도는 Asher, Singleton, Tinsley와 Hymel(1979)의 또래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
최근 사회적 문제로 주목되는 또래에 의한 따돌림 행동이 학령기 아동뿐 아니라 유아에게서도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따돌림 행동을 유형별로 살펴보고 성별에 따른 따돌림 행동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유아의 따돌림 행동과 또래수용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유아들의 따돌림 행동 연구에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5세 유아의 따돌림 행동은 어떠한가? 2. 만 5세 유아의 따돌림 행동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만 5세 유아의 따돌림 행동과 또래수용도는 어떠한가?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4곳의 만 5세아 92명을 면접하였다. 유아의 따돌림 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Perren(2000)의 유아용 따돌림 질문지를 참고로 설문지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따돌림 행동의 유형은 언어적, 물리적, 신체적, 소외적 행동으로 구분하여 문항을 구성하였다. 또래수용도는 Asher, Singleton, Tinsley와 Hymel(1979)의 또래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12.0)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을, X^(2), 1-test ,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유아의 따돌림 행동을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유아 92명 중 64명(69.6%)이 따돌림 행동의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고 28명(30.4%)이 가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과반수이상이 따돌림 행동의 피해를 경험하였으며 1/3가량이 가해를 경험했다는 결과는 만 5세 유아에게서 따돌림 행동이 일어나고 있으며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돌림 행동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피해와 가해 모두에서 언어적, 소외적 따돌림 행동과 관련한 경험이 많았으며 신체적, 물리적 따돌림 행동은 다소 낮은 경험을 보였다. 각 유형별 따돌림 행동에 대한 피해경험의 내용을 살펴보면 언어적 따돌림 행동의 피해경험은 놀림을 받는 행동과 상대유아가 큰소리로 화내는 행동이 많았으며 소외적 따돌림 행동의 피해경험은 놀이에 끼워주지 않는 행동이 많았다. 또한 물리적 따돌림 행동의 피해경험은 상대유아에게 물건을 빼앗기거나 물건을 부수는 행동이 많았으며, 신체적 따돌림 행동의 피해경험에서는 상대유아가 피해유아를 때리는 행동이 많았다. 각 유형별 따돌림 행동에 대한 가해경험의 내용을 살펴보면 언어적 따돌림 행동의 가해경험은 큰소리로 상대방에게 화를 내는 행동이, 소외적 따돌림 행동의 가해경험은 놀이에 끼워주지 않는 행동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물리적 따돌림 행동의 가해경험은 다른 유아의 물건을 감추는 행동이 많았으며 신체적 따돌림 행동의 가해경험은 때리는 행동이 많았다. 유아가 최근 한 달 동안 경험한 따돌림 행동의 빈도를 피해와 가해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언어적 따돌림 행동이 피해와 가해 모두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만5세 유아가 경험한 따돌림 행동의 차이를 피해와 가해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남아가 여아보다 물리적 따돌림 행동에 있어 피해를 많이 경험하였으며 신체적 따돌림 행동에 있어 가해를 많이 경험하였다. 따돌림 행동의 경험빈도에 있어 남아의 빈도가 여아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만 5세 유아의 따돌림 행동과 또래수용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따돌림 행동의 피해 및 가해 경험이 없는 유아가 높은 또래수용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따돌림 행동의 피해 및 가해빈도와 또래평정점수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따돌림 행동의 피해 및 가해빈도와 유아의 또래수용도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또래수용도가 높을수록 따돌림 행동을 경험한 빈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지만 이들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즉 유아의 따돌림 행동의 경험 유·무와 따돌림 행동에 대한 경험의 빈도 모두 또래수용도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에 따돌림 행동을 유형별로 나누어 그 실태를 알아보고 성별에 따른 차이와 또래수용도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따돌림 행동에 대한 연구에 기초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지금까지 선행연구들에서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따돌림 행동을 살핀 것에 반해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에게서 나타나는 따돌림의 행동을 각각의 유형별로 살펴봄으로써 또래에게서 발생하는 따돌림 행동을 세밀하게 규명할 수 있었다. 또한 유아를 대상으로 연구함으로써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따돌림 행동에 대한 규명과 예방에 유용한 참고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용적인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가 따돌림 행동에 대한 사전 인식과 그에 따른 정확한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면접이 이루어졌다. 이에 단순한 또래간의 갈등이나 의도성 없이 이루어진 공격적인 행동이 포함되어 답변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점이 제한점으로 제기된다. 후속연구에서는 유아의 따돌림 행동에 대한 인식 연구와 더불어 또래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유아뿐 아니라 교사나 부모를 통한 다양한 자료를 활용한 연구가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사회적 문제로 주목되는 또래에 의한 따돌림 행동이 학령기 아동뿐 아니라 유아에게서도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따돌림 행동을 유형별로 살펴보고 성별에 따른 따돌림 행동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유아의 따돌림 행동과 또래수용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유아들의 따돌림 행동 연구에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5세 유아의 따돌림 행동은 어떠한가? 2. 만 5세 유아의 따돌림 행동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만 5세 유아의 따돌림 행동과 또래수용도는 어떠한가?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4곳의 만 5세아 92명을 면접하였다. 유아의 따돌림 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Perren(2000)의 유아용 따돌림 질문지를 참고로 설문지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따돌림 행동의 유형은 언어적, 물리적, 신체적, 소외적 행동으로 구분하여 문항을 구성하였다. 또래수용도는 Asher, Singleton, Tinsley와 Hymel(1979)의 또래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12.0)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을, X^(2), 1-test ,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유아의 따돌림 행동을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유아 92명 중 64명(69.6%)이 따돌림 행동의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고 28명(30.4%)이 가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과반수이상이 따돌림 행동의 피해를 경험하였으며 1/3가량이 가해를 경험했다는 결과는 만 5세 유아에게서 따돌림 행동이 일어나고 있으며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돌림 행동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피해와 가해 모두에서 언어적, 소외적 따돌림 행동과 관련한 경험이 많았으며 신체적, 물리적 따돌림 행동은 다소 낮은 경험을 보였다. 각 유형별 따돌림 행동에 대한 피해경험의 내용을 살펴보면 언어적 따돌림 행동의 피해경험은 놀림을 받는 행동과 상대유아가 큰소리로 화내는 행동이 많았으며 소외적 따돌림 행동의 피해경험은 놀이에 끼워주지 않는 행동이 많았다. 또한 물리적 따돌림 행동의 피해경험은 상대유아에게 물건을 빼앗기거나 물건을 부수는 행동이 많았으며, 신체적 따돌림 행동의 피해경험에서는 상대유아가 피해유아를 때리는 행동이 많았다. 각 유형별 따돌림 행동에 대한 가해경험의 내용을 살펴보면 언어적 따돌림 행동의 가해경험은 큰소리로 상대방에게 화를 내는 행동이, 소외적 따돌림 행동의 가해경험은 놀이에 끼워주지 않는 행동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물리적 따돌림 행동의 가해경험은 다른 유아의 물건을 감추는 행동이 많았으며 신체적 따돌림 행동의 가해경험은 때리는 행동이 많았다. 유아가 최근 한 달 동안 경험한 따돌림 행동의 빈도를 피해와 가해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언어적 따돌림 행동이 피해와 가해 모두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만5세 유아가 경험한 따돌림 행동의 차이를 피해와 가해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남아가 여아보다 물리적 따돌림 행동에 있어 피해를 많이 경험하였으며 신체적 따돌림 행동에 있어 가해를 많이 경험하였다. 따돌림 행동의 경험빈도에 있어 남아의 빈도가 여아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만 5세 유아의 따돌림 행동과 또래수용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따돌림 행동의 피해 및 가해 경험이 없는 유아가 높은 또래수용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따돌림 행동의 피해 및 가해빈도와 또래평정점수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따돌림 행동의 피해 및 가해빈도와 유아의 또래수용도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또래수용도가 높을수록 따돌림 행동을 경험한 빈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지만 이들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즉 유아의 따돌림 행동의 경험 유·무와 따돌림 행동에 대한 경험의 빈도 모두 또래수용도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에 따돌림 행동을 유형별로 나누어 그 실태를 알아보고 성별에 따른 차이와 또래수용도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따돌림 행동에 대한 연구에 기초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지금까지 선행연구들에서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따돌림 행동을 살핀 것에 반해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에게서 나타나는 따돌림의 행동을 각각의 유형별로 살펴봄으로써 또래에게서 발생하는 따돌림 행동을 세밀하게 규명할 수 있었다. 또한 유아를 대상으로 연구함으로써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따돌림 행동에 대한 규명과 예방에 유용한 참고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용적인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가 따돌림 행동에 대한 사전 인식과 그에 따른 정확한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면접이 이루어졌다. 이에 단순한 또래간의 갈등이나 의도성 없이 이루어진 공격적인 행동이 포함되어 답변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점이 제한점으로 제기된다. 후속연구에서는 유아의 따돌림 행동에 대한 인식 연구와 더불어 또래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유아뿐 아니라 교사나 부모를 통한 다양한 자료를 활용한 연구가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ullying behaviors and the type of bullying in five years old children and to examine the gender differences in bullying behaviors. Also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 involved bulling and peer acceptance. These are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ullying behaviors and the type of bullying in five years old children and to examine the gender differences in bullying behaviors. Also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 involved bulling and peer acceptance. These are the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the types of the bullying behaviors in five years old children? 2. Are there any gender differences in their bullying behaviors? 3. Are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 involved bullying and peer acceptance? 92 five years old children (47 girls and 45 boys) were selected from four preschools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Korea. To measure bullying behaviors children were interviewed about four type of bullying behaviors (verbal, object-related, physical, and exclusion). Interview items were adapted from Perren's study (2000) including 32 items. The data were analyzes by frequency, percentage, t-test, x^(2).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ve years old children were experienced as victims (69.6%), bullies (30.4 %) by self realization. The verbal and the exclusion forms of bullying were more often experienced than object-related and physical forms both victims and bullies. 'Laughing at', 'saying mean things' and 'be angered by someone' or 'threaten' were frequently happened in subordinate behaviors of the verbal form. 'Taking something away' and 'destroying' were frequently happened in subordinate behaviors of the object-related form. 'Hitting' and 'not allowing some one to join in' were frequently happened in subordinate behaviors of the physical and exclusion form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the bullying behavior, the verbal form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both victims and bullies. Boys bullied more frequently than girls. Boys bullied more often by physical, but victimized more often object-related means. The 'verbal' and the 'exclusion' were equally likely for boys and girls. generally boys had higher frequency for the forms of bulling behaviors The children who were involved bullying behaviors both victim and bullies slightly show lower peer acceptance. however statistically there is no significantly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 involved bullying and peer accep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ullying behaviors and the type of bullying in five years old children and to examine the gender differences in bullying behaviors. Also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 involved bulling and peer acceptance. These are the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the types of the bullying behaviors in five years old children? 2. Are there any gender differences in their bullying behaviors? 3. Are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 involved bullying and peer acceptance? 92 five years old children (47 girls and 45 boys) were selected from four preschools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Korea. To measure bullying behaviors children were interviewed about four type of bullying behaviors (verbal, object-related, physical, and exclusion). Interview items were adapted from Perren's study (2000) including 32 items. The data were analyzes by frequency, percentage, t-test, x^(2).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ve years old children were experienced as victims (69.6%), bullies (30.4 %) by self realization. The verbal and the exclusion forms of bullying were more often experienced than object-related and physical forms both victims and bullies. 'Laughing at', 'saying mean things' and 'be angered by someone' or 'threaten' were frequently happened in subordinate behaviors of the verbal form. 'Taking something away' and 'destroying' were frequently happened in subordinate behaviors of the object-related form. 'Hitting' and 'not allowing some one to join in' were frequently happened in subordinate behaviors of the physical and exclusion form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the bullying behavior, the verbal form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both victims and bullies. Boys bullied more frequently than girls. Boys bullied more often by physical, but victimized more often object-related means. The 'verbal' and the 'exclusion' were equally likely for boys and girls. generally boys had higher frequency for the forms of bulling behaviors The children who were involved bullying behaviors both victim and bullies slightly show lower peer acceptance. however statistically there is no significantly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 involved bullying and peer acceptanc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