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자연경관을 선호하는 것은 단순히 미적 효과뿐만이 아니라 자연이 인간의 정서순화에 기여하는 바가 크기 때문이다. 우리는 아름다운 자연을 바라보고 있는 것만으로도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육체적 정신적으로 편안함을 느끼며, 환자치료에도 효과적임이 입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정서발달을 위해 자연 환경이 열악한 대도시에서 학교와 학교주변의 식물들을 이용하여 도시학교에서 실천 가능한 다양한 식물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구안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의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첫째, 식물체험활동은 아동의 정서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식물체험활동이 식물과 자연에 대한 아동의 흥미도와 관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3개의 연구가설이 설정되었다. 위의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달성군 소재 N 초등학교 2학년 2개 반을 선정하여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정하고, 4월에서 10월까지 7개월 동안 월 3회씩 아침시간과 재량시간 또는 식물 관련 ‘슬기로운 생활’ 교과 시간을 활용하여 각 회기별 40~60분씩 총 18회기에 걸쳐 실험 반에 식물체험활동을 실시하였다. 식물체험활동이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
인간이 자연경관을 선호하는 것은 단순히 미적 효과뿐만이 아니라 자연이 인간의 정서순화에 기여하는 바가 크기 때문이다. 우리는 아름다운 자연을 바라보고 있는 것만으로도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육체적 정신적으로 편안함을 느끼며, 환자치료에도 효과적임이 입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정서발달을 위해 자연 환경이 열악한 대도시에서 학교와 학교주변의 식물들을 이용하여 도시학교에서 실천 가능한 다양한 식물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구안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의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첫째, 식물체험활동은 아동의 정서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식물체험활동이 식물과 자연에 대한 아동의 흥미도와 관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3개의 연구가설이 설정되었다. 위의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달성군 소재 N 초등학교 2학년 2개 반을 선정하여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정하고, 4월에서 10월까지 7개월 동안 월 3회씩 아침시간과 재량시간 또는 식물 관련 ‘슬기로운 생활’ 교과 시간을 활용하여 각 회기별 40~60분씩 총 18회기에 걸쳐 실험 반에 식물체험활동을 실시하였다. 식물체험활동이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정서지능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연에 대한 흥미도 검사를 실험 반에 사전 사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의도적 표집 방법에 순응하여 연구의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방법을 사용하였고, 정서지능 검사 도구는 문용린(1996)의 정서지능 검사지를 신뢰도 검사를 거쳐 초등학교 저학년에 맞게 3점 척도로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0.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 paired t-검증, 카이제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식물체험활동을 수행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정서지능을 검증한 결과 1% 수준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 식물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정서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다양한 식물체험활동을 수행한 후가 식물체험활동을 수행하기 전보다 정서지능 하위영역 즉, 정서 인지 능력, 정서 표현 능력, 감정 이입 능력, 정서 조절 능력, 정서 활용 능력 향상에 긍정적으로 기여를 하였음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여러 가지 식물체험활동은 초등학생들의 정서발달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다. 셋째, 식물체험활동을 수행 한 후가 수행하기 전보다 자연에 대한 관심도와 흥미도가 전체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음이 입증되었다. 위의 결론을 토대로 이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식물과의 다양한 체험활동이 어린이들의 정서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으므로, 이를 널리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자연환경이 열악한 도시학교에 play garden(놀이 정원)을 조성하여 아동들이 직접 관찰하고 만져보고, 심고, 가꾸고, 수확해볼 수 있는 녹지공간이나 교재원, 실습지를 만들어 생활속에서 늘 가까이 접하고 자연스럽게 식물과 어울릴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아동기의 발달은 정서적 안정에 기초하여 신체발달과 인지발달이 동시에 이루어기 때문에 인지발달이 왕성한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서의 정서발달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때, 어린이들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해서 도시학교에서의 자연환경 조성이 무엇보다 선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과정에서 실험집단에게 식물체험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하면서 아침활동 시간이나 재량시간, 식물과 관련된 ‘슬기로운 생활’ 교과 시간을 할애하긴 하였으나, 교과교육 중심의 학교교육에서 시간확보가 어려웠다. 따라서 저학년에도 정규교과와 병행하여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원예 관련 교과목의 신설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식물체험 활동 프로그램을 단기에 걸쳐 적용하였으므로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도 유지될 수 있도록 가정과 지역사회와 연계한 프로그램의 계발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인간이 자연경관을 선호하는 것은 단순히 미적 효과뿐만이 아니라 자연이 인간의 정서순화에 기여하는 바가 크기 때문이다. 우리는 아름다운 자연을 바라보고 있는 것만으로도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육체적 정신적으로 편안함을 느끼며, 환자치료에도 효과적임이 입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정서발달을 위해 자연 환경이 열악한 대도시에서 학교와 학교주변의 식물들을 이용하여 도시학교에서 실천 가능한 다양한 식물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구안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의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첫째, 식물체험활동은 아동의 정서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식물체험활동이 식물과 자연에 대한 아동의 흥미도와 관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3개의 연구가설이 설정되었다. 위의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달성군 소재 N 초등학교 2학년 2개 반을 선정하여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정하고, 4월에서 10월까지 7개월 동안 월 3회씩 아침시간과 재량시간 또는 식물 관련 ‘슬기로운 생활’ 교과 시간을 활용하여 각 회기별 40~60분씩 총 18회기에 걸쳐 실험 반에 식물체험활동을 실시하였다. 식물체험활동이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정서지능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연에 대한 흥미도 검사를 실험 반에 사전 사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의도적 표집 방법에 순응하여 연구의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방법을 사용하였고, 정서지능 검사 도구는 문용린(1996)의 정서지능 검사지를 신뢰도 검사를 거쳐 초등학교 저학년에 맞게 3점 척도로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0.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 paired t-검증, 카이제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식물체험활동을 수행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정서지능을 검증한 결과 1% 수준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 식물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정서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다양한 식물체험활동을 수행한 후가 식물체험활동을 수행하기 전보다 정서지능 하위영역 즉, 정서 인지 능력, 정서 표현 능력, 감정 이입 능력, 정서 조절 능력, 정서 활용 능력 향상에 긍정적으로 기여를 하였음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여러 가지 식물체험활동은 초등학생들의 정서발달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다. 셋째, 식물체험활동을 수행 한 후가 수행하기 전보다 자연에 대한 관심도와 흥미도가 전체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음이 입증되었다. 위의 결론을 토대로 이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식물과의 다양한 체험활동이 어린이들의 정서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으므로, 이를 널리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자연환경이 열악한 도시학교에 play garden(놀이 정원)을 조성하여 아동들이 직접 관찰하고 만져보고, 심고, 가꾸고, 수확해볼 수 있는 녹지공간이나 교재원, 실습지를 만들어 생활속에서 늘 가까이 접하고 자연스럽게 식물과 어울릴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아동기의 발달은 정서적 안정에 기초하여 신체발달과 인지발달이 동시에 이루어기 때문에 인지발달이 왕성한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서의 정서발달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때, 어린이들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해서 도시학교에서의 자연환경 조성이 무엇보다 선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과정에서 실험집단에게 식물체험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하면서 아침활동 시간이나 재량시간, 식물과 관련된 ‘슬기로운 생활’ 교과 시간을 할애하긴 하였으나, 교과교육 중심의 학교교육에서 시간확보가 어려웠다. 따라서 저학년에도 정규교과와 병행하여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원예 관련 교과목의 신설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식물체험 활동 프로그램을 단기에 걸쳐 적용하였으므로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도 유지될 수 있도록 가정과 지역사회와 연계한 프로그램의 계발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Human favor a nature view not only because of aesthetic effect but also contribution of nature to human emotion purification. It is proved we solve stresses and comfort our body and soul by just watching the nature.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possible practice using p...
Human favor a nature view not only because of aesthetic effect but also contribution of nature to human emotion purification. It is proved we solve stresses and comfort our body and soul by just watching the nature.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possible practice using plants in schools and around schools. We will see how the possible practice effects emotional development of lower classes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in big cities where have destroyed nature. Following experimental problems are established on this experimental purpose. First, how the plant experience activity effects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Second, how the plant experience activity effects on children's degree of interest on nature and plant? Two of 2nd grade classes, located in a N elementary school in Dal Shung-gun, Daegu, were sampled as a experiment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to conduct the experiment. From April to October, for 7 months, the experiment were conducted for 18 times of children's morning time, discretionary time, or the wise livelihood class. Each experiment took about 40minutes to 60minutes of the class period. To verify effect of plant experience activity to the children, put both of the classes in operational tes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o see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changes. The experimental plan of this experiment us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ttiest design for designed collection method and Moon Young-lin's(1997) emotional intelligence after changing it to 3 degree scare to fit for lower elementary school class students. To analyze data, SPSS/WIN 10.0 was utilized to conduct t-test and χ2 test. The followings are my achievements from this experiment. First, the plan experience activity effected the elementary student positively. After plant experience act, there was 1% degree of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test and this fact proves the positive effect.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ntribution of various plant experience activity in lower domain of emotional intelligence, like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emotional expression ability, emotional empathy ability, and emotion control ability. Therefore, plant experience activity highly positively effects elementary students emotional development. Third, students' interest rate on nature is meaningly more increased after the plant experience activity then before the activity. Following plans are suggested to continue the experiment from the upper conclusion. First, because the positive effectiveness of plant experience activity on children has been proved, to generalize this, the play garden in elementary schools in urban area, where the nature was destroyed, should be reconstructed. Building nature harmonized environment where elementary students can observe, touch, plant, care, and harvest is necessary. Development in childhood is based on emotional comfort. Intelligence development has extremely important meaning to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tudent. Therefore, we need to create natural environment in big city schools. Second, children's morning time, discretionary time, or the wise livelihood class is used for this experiment, however securing the time was difficult in subject focused educational system. Therefor, creating new establishment of planting class is needed for lower class elementary students to go abreast their plant activities with main courses. Third, this experiment was applied in a short period time, therefore more following experiments are needed to remain this useful experience in home and local society.
Human favor a nature view not only because of aesthetic effect but also contribution of nature to human emotion purification. It is proved we solve stresses and comfort our body and soul by just watching the nature.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possible practice using plants in schools and around schools. We will see how the possible practice effects emotional development of lower classes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in big cities where have destroyed nature. Following experimental problems are established on this experimental purpose. First, how the plant experience activity effects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Second, how the plant experience activity effects on children's degree of interest on nature and plant? Two of 2nd grade classes, located in a N elementary school in Dal Shung-gun, Daegu, were sampled as a experiment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to conduct the experiment. From April to October, for 7 months, the experiment were conducted for 18 times of children's morning time, discretionary time, or the wise livelihood class. Each experiment took about 40minutes to 60minutes of the class period. To verify effect of plant experience activity to the children, put both of the classes in operational tes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o see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changes. The experimental plan of this experiment us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ttiest design for designed collection method and Moon Young-lin's(1997) emotional intelligence after changing it to 3 degree scare to fit for lower elementary school class students. To analyze data, SPSS/WIN 10.0 was utilized to conduct t-test and χ2 test. The followings are my achievements from this experiment. First, the plan experience activity effected the elementary student positively. After plant experience act, there was 1% degree of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test and this fact proves the positive effect.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ntribution of various plant experience activity in lower domain of emotional intelligence, like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emotional expression ability, emotional empathy ability, and emotion control ability. Therefore, plant experience activity highly positively effects elementary students emotional development. Third, students' interest rate on nature is meaningly more increased after the plant experience activity then before the activity. Following plans are suggested to continue the experiment from the upper conclusion. First, because the positive effectiveness of plant experience activity on children has been proved, to generalize this, the play garden in elementary schools in urban area, where the nature was destroyed, should be reconstructed. Building nature harmonized environment where elementary students can observe, touch, plant, care, and harvest is necessary. Development in childhood is based on emotional comfort. Intelligence development has extremely important meaning to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tudent. Therefore, we need to create natural environment in big city schools. Second, children's morning time, discretionary time, or the wise livelihood class is used for this experiment, however securing the time was difficult in subject focused educational system. Therefor, creating new establishment of planting class is needed for lower class elementary students to go abreast their plant activities with main courses. Third, this experiment was applied in a short period time, therefore more following experiments are needed to remain this useful experience in home and local socie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