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지속가능한 도시개발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 환경친화지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indicators - Focused on the environment-friendly indicators -원문보기
과거 성장위주의 정책과 개발은 지역간, 계층간 격차문제 뿐만 아니라 도시개발 측면에서도 지역개발과 자연환경보전이라는 딜레마 사이에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1992년 브라질 리우에서 유엔환경개발회의가 열린 이후 지속가능한 개발(ESSD) 개념에 대한 논의가 각 계획영역과 자연환경보전 등의 영역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관심은 각종 개발사업 수행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환경친화지표에 대한 수요증대로 이어졌으며, 이러한 지표개발 수요에 의하여 국내외에서 많은 지표들이 개발되었지만, 평가대상의 전체 환경상태를 단일한 지수로 종합화하여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대상이나 계획초기단계에서 여러 대안의 환경특성을 비교하는 방안으로 제시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지 또는 도시를 대상으로 물리적인 환경특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건축물이나 시설을 구분하고, 환경특성을 대변할 수 있는 지표항목을 추출하여 이를 이용한 환경지표와 평가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적용사례를 갖고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도시평가모델을 찾기 위해 선진국의 개발사례나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본 연구의 목적에 가장 적합한 환경평가모델로 일본의 PLATON을 바탕으로 하여, 우리나라의 단지나 도시개발의 상황에 적합한 각종 평가지표나 가중치 등을 도출하여 우리에게 적합한 환경평가모델로 구축하였다.
둘째, 도출되어진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설정하기 위해 도시계획·환경·지역 분야 전문가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
과거 성장위주의 정책과 개발은 지역간, 계층간 격차문제 뿐만 아니라 도시개발 측면에서도 지역개발과 자연환경보전이라는 딜레마 사이에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1992년 브라질 리우에서 유엔환경개발회의가 열린 이후 지속가능한 개발(ESSD) 개념에 대한 논의가 각 계획영역과 자연환경보전 등의 영역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관심은 각종 개발사업 수행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환경친화지표에 대한 수요증대로 이어졌으며, 이러한 지표개발 수요에 의하여 국내외에서 많은 지표들이 개발되었지만, 평가대상의 전체 환경상태를 단일한 지수로 종합화하여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대상이나 계획초기단계에서 여러 대안의 환경특성을 비교하는 방안으로 제시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지 또는 도시를 대상으로 물리적인 환경특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건축물이나 시설을 구분하고, 환경특성을 대변할 수 있는 지표항목을 추출하여 이를 이용한 환경지표와 평가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적용사례를 갖고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도시평가모델을 찾기 위해 선진국의 개발사례나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본 연구의 목적에 가장 적합한 환경평가모델로 일본의 PLATON을 바탕으로 하여, 우리나라의 단지나 도시개발의 상황에 적합한 각종 평가지표나 가중치 등을 도출하여 우리에게 적합한 환경평가모델로 구축하였다.
둘째, 도출되어진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설정하기 위해 도시계획·환경·지역 분야 전문가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AHP 분석기법을 이용, 각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셋째, 신도시 등의 계획을 할 때 도시환경의 좋고 나쁨을 좌우하기 위해서 29개의 개별시설을 평가대상 시설로 설정하였고, 개별시설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도시경관을 구성하는 항목으로 「건물의 통일적 디자인」,「조경 계획」의 2개를 평가대상으로 토지이용계획의 새로운 가치를 창조 가능성 여부에 대해 평가 가능하게 하였다.
넷째, 도출되어진 평가지표와 평가대상시설을 토대로 화성동탄신도시 택지개발 설계안에 직접 적용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첫째, 평가지표는 WHO의 4가지 목표영역에 나타난 환경구성요소(안전성, 보건성, 편리성, 쾌적성)를 조합한 매트릭스형으로 구성하였다. 평가대상시설은 주택, 상업업무시설, 교육·후생·복지시설, 보건위생시설, 환경기초시설, 상징적인 건축물, 도로, 도시공간시설, 농지, 친수공간, 야외스포츠시설, 공급처리시설로 설정하였다. 도시경관을 구성하는 항목으로 건물의 통일적 디자인, 조경계획의 2개를 평가대상으로 하였다.
둘째, 설문과 AHP 분석을 통하여 분석된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보면, 안전성이 0.311로 가장 높았으며, 쾌적성, 보건성, 편리성 순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그 하위평가지표는 녹지·물과의 접근성, 재해방지, 공간적 여유·아름다운 경관 순으로 전체 가중치가 높게 나왔으며, 소프트서비스·정보편리성, 상업·공공시설 편리성 항목이 가장 낮은 가중치로 분석되었다.
셋째, 분석되어진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화성동탄 신도시 설계안에 직접 적용하여 시설별, 기능별 평가를 해본 결과 시설별 평가에서는 보행 및 자전거 전용도로가 가장 높은 평가치를 받았으며, 간선도로가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기능별 평가에서는 쾌적성과 안전성 부분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쾌적성에서는 녹지·물과의 접근성, 공간적 여유·아름다움, 경관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안전성에서는 교통안전과 약자에 대한 배려가 높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PLATON 모델을 이용하여 WHO의 공중위생목표영역에 있는 안전성, 보건성, 편리성, 쾌적성의 4개 기본항목을 바탕으로 환경친화지표를 설정·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평가지표를 실제 계획안(화성동탄신도시 계획안)에 적용하여 환경친화성을 평가하였다. 이렇게 제시되어진 환경친화지표는 특정 신도시 또는 도시개발사업에 있어서 복수의 토지이용계획안에 대하여 어떤 대안이 더욱 환경친화적인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유의할 것이며, 계획안이 어느 정도 환경친화성을 가지는가를 판단하는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기능별, 시설별 지표의 평가치 부여방법에서 기존연구와 참고문헌을 통해 파악하여 정리하였으나 다소 부족한 면이 없지 않음은 부인할 수 없다. 또한 평가지표의 사례지역에 대한 검증에서 사례지역에 대한 자료의 부족으로 다소 자의적인 판단과 개인적 소견이 들어갈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는 더 많은 선행연구와 참고문헌을 바탕으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추후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과거 성장위주의 정책과 개발은 지역간, 계층간 격차문제 뿐만 아니라 도시개발 측면에서도 지역개발과 자연환경보전이라는 딜레마 사이에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1992년 브라질 리우에서 유엔환경개발회의가 열린 이후 지속가능한 개발(ESSD) 개념에 대한 논의가 각 계획영역과 자연환경보전 등의 영역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관심은 각종 개발사업 수행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환경친화지표에 대한 수요증대로 이어졌으며, 이러한 지표개발 수요에 의하여 국내외에서 많은 지표들이 개발되었지만, 평가대상의 전체 환경상태를 단일한 지수로 종합화하여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대상이나 계획초기단계에서 여러 대안의 환경특성을 비교하는 방안으로 제시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지 또는 도시를 대상으로 물리적인 환경특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건축물이나 시설을 구분하고, 환경특성을 대변할 수 있는 지표항목을 추출하여 이를 이용한 환경지표와 평가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적용사례를 갖고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도시평가모델을 찾기 위해 선진국의 개발사례나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본 연구의 목적에 가장 적합한 환경평가모델로 일본의 PLATON을 바탕으로 하여, 우리나라의 단지나 도시개발의 상황에 적합한 각종 평가지표나 가중치 등을 도출하여 우리에게 적합한 환경평가모델로 구축하였다.
둘째, 도출되어진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설정하기 위해 도시계획·환경·지역 분야 전문가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AHP 분석기법을 이용, 각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셋째, 신도시 등의 계획을 할 때 도시환경의 좋고 나쁨을 좌우하기 위해서 29개의 개별시설을 평가대상 시설로 설정하였고, 개별시설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도시경관을 구성하는 항목으로 「건물의 통일적 디자인」,「조경 계획」의 2개를 평가대상으로 토지이용계획의 새로운 가치를 창조 가능성 여부에 대해 평가 가능하게 하였다.
넷째, 도출되어진 평가지표와 평가대상시설을 토대로 화성동탄신도시 택지개발 설계안에 직접 적용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첫째, 평가지표는 WHO의 4가지 목표영역에 나타난 환경구성요소(안전성, 보건성, 편리성, 쾌적성)를 조합한 매트릭스형으로 구성하였다. 평가대상시설은 주택, 상업업무시설, 교육·후생·복지시설, 보건위생시설, 환경기초시설, 상징적인 건축물, 도로, 도시공간시설, 농지, 친수공간, 야외스포츠시설, 공급처리시설로 설정하였다. 도시경관을 구성하는 항목으로 건물의 통일적 디자인, 조경계획의 2개를 평가대상으로 하였다.
둘째, 설문과 AHP 분석을 통하여 분석된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보면, 안전성이 0.311로 가장 높았으며, 쾌적성, 보건성, 편리성 순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그 하위평가지표는 녹지·물과의 접근성, 재해방지, 공간적 여유·아름다운 경관 순으로 전체 가중치가 높게 나왔으며, 소프트서비스·정보편리성, 상업·공공시설 편리성 항목이 가장 낮은 가중치로 분석되었다.
셋째, 분석되어진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화성동탄 신도시 설계안에 직접 적용하여 시설별, 기능별 평가를 해본 결과 시설별 평가에서는 보행 및 자전거 전용도로가 가장 높은 평가치를 받았으며, 간선도로가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기능별 평가에서는 쾌적성과 안전성 부분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쾌적성에서는 녹지·물과의 접근성, 공간적 여유·아름다움, 경관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안전성에서는 교통안전과 약자에 대한 배려가 높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PLATON 모델을 이용하여 WHO의 공중위생목표영역에 있는 안전성, 보건성, 편리성, 쾌적성의 4개 기본항목을 바탕으로 환경친화지표를 설정·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평가지표를 실제 계획안(화성동탄신도시 계획안)에 적용하여 환경친화성을 평가하였다. 이렇게 제시되어진 환경친화지표는 특정 신도시 또는 도시개발사업에 있어서 복수의 토지이용계획안에 대하여 어떤 대안이 더욱 환경친화적인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유의할 것이며, 계획안이 어느 정도 환경친화성을 가지는가를 판단하는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기능별, 시설별 지표의 평가치 부여방법에서 기존연구와 참고문헌을 통해 파악하여 정리하였으나 다소 부족한 면이 없지 않음은 부인할 수 없다. 또한 평가지표의 사례지역에 대한 검증에서 사례지역에 대한 자료의 부족으로 다소 자의적인 판단과 개인적 소견이 들어갈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는 더 많은 선행연구와 참고문헌을 바탕으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추후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This research divides buildings and facilities to evaluate the physical feature for the complex and city with the sustainable development view and derives environment-friendly assesment indicators and evaluating method by using indicators which present the environment feature.
The method of this stu...
This research divides buildings and facilities to evaluate the physical feature for the complex and city with the sustainable development view and derives environment-friendly assesment indicators and evaluating method by using indicators which present the environment feature.
The method of this study stands on Japan's PLATON model which is the most suitable environment evaluation model on the intention of this research. First, main indicator system is constructed by the environmental elements(safety, health, amenity, convenience) which confer from 4 target area of WHO.
Second, it is executed by the questions for the urban specialist to give the weight to the environmental elements and derives the weight through the AHP.
Third, I set two evaluate interests ; 「The unified design of building」and 「The Landscape planning」; which consist of 29 facilities and urban landscape to decide the city environment planning the new city.
Fourth, I apply to Housing development project design schema of the Hawsung-Dongtan with the indicators and evaluating facilities and approve it.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safety point is the most high in the weight to the environmental elements. In the weights of sub-evaluation index, it was graded to high point with the accessibility to greens and water, the disaster prevention, the open-space, the beauty, the view but it was graded to low point with convenience of software information service, convenience of commercial and public facility service.
Third, the result of this evaluation adopting the Hawsung- Dongtan design schema is based on evaluation index analyzed, pedestrian road and bicycle lane got highest mark in the evaluation of facilities. amenity and safety got high mark in the evaluation of functions, a green space and accessability to water-front, spacial space, and a beautiful sight was set a high value in that amenity. Traffic-safety and the consideration for a weak person was set a high value in that safety.
In conclusion, the environment-friendly assesment indicators which are presented that the research will be objective tool to evaluate which land use planning is more environmental in the new city and city development project and also it will be a great judging method which planning has a environment-friendliness.
This research divides buildings and facilities to evaluate the physical feature for the complex and city with the sustainable development view and derives environment-friendly assesment indicators and evaluating method by using indicators which present the environment feature.
The method of this study stands on Japan's PLATON model which is the most suitable environment evaluation model on the intention of this research. First, main indicator system is constructed by the environmental elements(safety, health, amenity, convenience) which confer from 4 target area of WHO.
Second, it is executed by the questions for the urban specialist to give the weight to the environmental elements and derives the weight through the AHP.
Third, I set two evaluate interests ; 「The unified design of building」and 「The Landscape planning」; which consist of 29 facilities and urban landscape to decide the city environment planning the new city.
Fourth, I apply to Housing development project design schema of the Hawsung-Dongtan with the indicators and evaluating facilities and approve it.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safety point is the most high in the weight to the environmental elements. In the weights of sub-evaluation index, it was graded to high point with the accessibility to greens and water, the disaster prevention, the open-space, the beauty, the view but it was graded to low point with convenience of software information service, convenience of commercial and public facility service.
Third, the result of this evaluation adopting the Hawsung- Dongtan design schema is based on evaluation index analyzed, pedestrian road and bicycle lane got highest mark in the evaluation of facilities. amenity and safety got high mark in the evaluation of functions, a green space and accessability to water-front, spacial space, and a beautiful sight was set a high value in that amenity. Traffic-safety and the consideration for a weak person was set a high value in that safety.
In conclusion, the environment-friendly assesment indicators which are presented that the research will be objective tool to evaluate which land use planning is more environmental in the new city and city development project and also it will be a great judging method which planning has a environment-friendlines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