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초등학교 학교경영에서 교감의 역할 수행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교감의 역할 수행 개선방안을 제안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구체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교경영에서 교감의 역할 수행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학교경영에서 교감의 역할 수행 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학교경영의 영역을 교육목표 관리, 교육조직 관리, 교육과정 관리, 교육조건 관리, 교육성과 관리 등 다섯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경상북도 ○○군 초등학교의 교감 18명 전원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빈도와 ...
이 연구는 초등학교 학교경영에서 교감의 역할 수행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교감의 역할 수행 개선방안을 제안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구체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교경영에서 교감의 역할 수행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학교경영에서 교감의 역할 수행 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학교경영의 영역을 교육목표 관리, 교육조직 관리, 교육과정 관리, 교육조건 관리, 교육성과 관리 등 다섯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경상북도 ○○군 초등학교의 교감 18명 전원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빈도와 내용 분석을 통해 해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계획 수립 절차는 부장교사 중심으로 학교교육계획을 작성하고 있어 교감주도하에 전교직원의 참여가 필요하고, 학교경영조직은 교육행정 중심의 교무분장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어 교육과정 중심의 교육지도조직이 효율적이라고 나타났다. 둘째, 학교교육과정운영은 연구(교무)부장이 학교교육과정을 운영하고 교감이 지도·조언하고 있으나 학교 규모와 특성에 따라 교사들의 자발적 참여와 교감의 적극적 역할이 강조되었다. 셋째, 학교예산편성은 담당업무보다는 교육과정 운영에 예산을 편성하고, 학교경영평가는 학교자체평가단을 구성하여 계획-실행-평가의 전 과정을 총괄 평가해야한다고 나타났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얻어진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목표 관리에서 교감은 전 교직원 의견을 수렴하여 교육목표를 정하고 학교의 특성과 학교장의 경영방침에 따라 학교교육계획 초안을 작성하고 학교교육계획수립위원회의 협의를 거쳐 체계적으로 학교교육계획이 수립되도록 한다.
둘째, 교육조직 관리에서 교감은 학교의 특성이나 규모, 지역여건 등을 고려하여 구성원들이 학교경영조직을 결정하도록 의견을 수렴하고, 교육조직의 핵심으로서 조직이 원만하게 운영되도록 한다. 교내인사위원회를 통하여 학급이나 업무에 대한 공정한 인사관리를 하고 학교운영위원회, 동창회, 학부모회, 지역사회가 자발적으로 학교경영에 관심을 갖고 지원하도록 유도하며 각종 평생교육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관계가 유지되도록 대외활동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과정 관리에서 교감은 학교교육과정위원회를 비롯한 동학년 협의회, 동교과 협의회, 부장교사 협의회 등 교사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여 단위학교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특색 있는 학교교육과정이 운영한다. 또한 여러 형태의 수업장학 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하여 실천할 수 있도록 지도·조언하고, 교감 자신도 수업의 전문성 신장에 노력한다.
넷째, 교육조건 관리에서 교감은 학급 실태를 파악하여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교수·학습 자료는 수시로 담임, 담당교사, 행정실장, 학교장과 협의 후에 개선 및 확충에 노력하여야 하고, 학교예산편성은 교육과정 중심으로 편성되도록 하며, 학교의 예산은 반드시 전 교직원이 참여하여 예산을 각각 산정하고 요구한 예산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교육성과 관리에서 교감은 학교자체평가단을 구성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학교경영평가가 이루어지도록 관리하고,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학생의 학업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학력관리책임제 등 학력향상에 지도·조언한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학교경영에서 교감의 역할 수행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교감의 역할 수행 개선방안을 제안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구체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교경영에서 교감의 역할 수행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학교경영에서 교감의 역할 수행 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학교경영의 영역을 교육목표 관리, 교육조직 관리, 교육과정 관리, 교육조건 관리, 교육성과 관리 등 다섯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경상북도 ○○군 초등학교의 교감 18명 전원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빈도와 내용 분석을 통해 해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계획 수립 절차는 부장교사 중심으로 학교교육계획을 작성하고 있어 교감주도하에 전교직원의 참여가 필요하고, 학교경영조직은 교육행정 중심의 교무분장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어 교육과정 중심의 교육지도조직이 효율적이라고 나타났다. 둘째, 학교교육과정운영은 연구(교무)부장이 학교교육과정을 운영하고 교감이 지도·조언하고 있으나 학교 규모와 특성에 따라 교사들의 자발적 참여와 교감의 적극적 역할이 강조되었다. 셋째, 학교예산편성은 담당업무보다는 교육과정 운영에 예산을 편성하고, 학교경영평가는 학교자체평가단을 구성하여 계획-실행-평가의 전 과정을 총괄 평가해야한다고 나타났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얻어진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목표 관리에서 교감은 전 교직원 의견을 수렴하여 교육목표를 정하고 학교의 특성과 학교장의 경영방침에 따라 학교교육계획 초안을 작성하고 학교교육계획수립위원회의 협의를 거쳐 체계적으로 학교교육계획이 수립되도록 한다.
둘째, 교육조직 관리에서 교감은 학교의 특성이나 규모, 지역여건 등을 고려하여 구성원들이 학교경영조직을 결정하도록 의견을 수렴하고, 교육조직의 핵심으로서 조직이 원만하게 운영되도록 한다. 교내인사위원회를 통하여 학급이나 업무에 대한 공정한 인사관리를 하고 학교운영위원회, 동창회, 학부모회, 지역사회가 자발적으로 학교경영에 관심을 갖고 지원하도록 유도하며 각종 평생교육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관계가 유지되도록 대외활동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과정 관리에서 교감은 학교교육과정위원회를 비롯한 동학년 협의회, 동교과 협의회, 부장교사 협의회 등 교사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여 단위학교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특색 있는 학교교육과정이 운영한다. 또한 여러 형태의 수업장학 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하여 실천할 수 있도록 지도·조언하고, 교감 자신도 수업의 전문성 신장에 노력한다.
넷째, 교육조건 관리에서 교감은 학급 실태를 파악하여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교수·학습 자료는 수시로 담임, 담당교사, 행정실장, 학교장과 협의 후에 개선 및 확충에 노력하여야 하고, 학교예산편성은 교육과정 중심으로 편성되도록 하며, 학교의 예산은 반드시 전 교직원이 참여하여 예산을 각각 산정하고 요구한 예산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교육성과 관리에서 교감은 학교자체평가단을 구성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학교경영평가가 이루어지도록 관리하고,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학생의 학업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학력관리책임제 등 학력향상에 지도·조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anagerial role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assistant principals in a bid to suggest ways of improving their role performance.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state of the role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assistant principals 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anagerial role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assistant principals in a bid to suggest ways of improving their role performance.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state of the role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assistant principals in terms of management?
2. What are the ways to enhance their role performance in terms of management?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study were implement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every elementary school principal in a selected county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who numbered 18. They were interviewed to find out their role performance in five selected section of school management that involved manage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management of an educational system, curriculum management, management of educational conditions and management of educational outcome. As for data analysis, a frequency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planning was actually led by head teachers, but assistant principals should take the initiative in that, and the teaching staff should be involved in it as well. The managerial organization was administration-centered and formed by focusing on division of duties, but a curriculum-centered organization were found to be more effective.
Second, the chiefs of the educational affairs sections were responsible for curriculum management through the guidance or advice of the assistant principals, but the assistant principals should play more active roles in that regard in consideration of school size and circumstances, and teachers should be urged to be spontaneously involved in it.
Third, drafting of the budget should be done by focusing on curriculum management. In regard to management evaluation, an internal assessment team should be organized to make a summative evaluation of every process including planning and act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First, as for manage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assistant principals should gather extensive opinions from the teaching staff to set up educational objectives. They should make out a draft of an educational plan in accordance with school characteristics and the management principles of principals, and an educational planning committee should deliberate on the draft to ensure successful and systematic educational planning.
Second, regarding management of a school organization, assistant principals should empower school members to form a managerial organization in light of school characteristics, school size and local circumstances, and they should try to make the organization work properly as key personnels of it. They should supervise an internal personnel administration committee to guarantee impartial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urge a school board, alumni association, parent association and local community to back up school management with interest. Besides, they should provide a variety of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ies to maintain an amicable relationship with outside people.
Third, as to curriculum management, vice-principals should consider the opinions of teachers as much as possible and offer various kinds of differentiated programs to ensure the school-specific, successful management of curriculum in collaboration with curriculum boards, grade councils, subject-matter councils and councils of head teachers. They should give advice on instructional supervision planning and try to enhance their own teaching professionalism.
Fourth, concerning management of educational conditions, assistant principals should try to keep track of the state of every class to prepare requir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by having a discussion with homeroom teachers, teachers concerned, the chiefs of the administration division and principals. They should draw up a curriculum-centered budget and try to address the needs of teachers by having them involved in budgeting.
Fifth, as for management of educational outcome, vice-principals should make up an internal assessment team to guarantee an objective and rational managerial evaluation, and get an accurate grip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students to give advice on how to boost their academic achievement. One of the best ways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ll be to hold a particular person accountable for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anagerial role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assistant principals in a bid to suggest ways of improving their role performance.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state of the role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assistant principals in terms of management?
2. What are the ways to enhance their role performance in terms of management?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study were implement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every elementary school principal in a selected county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who numbered 18. They were interviewed to find out their role performance in five selected section of school management that involved manage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management of an educational system, curriculum management, management of educational conditions and management of educational outcome. As for data analysis, a frequency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planning was actually led by head teachers, but assistant principals should take the initiative in that, and the teaching staff should be involved in it as well. The managerial organization was administration-centered and formed by focusing on division of duties, but a curriculum-centered organization were found to be more effective.
Second, the chiefs of the educational affairs sections were responsible for curriculum management through the guidance or advice of the assistant principals, but the assistant principals should play more active roles in that regard in consideration of school size and circumstances, and teachers should be urged to be spontaneously involved in it.
Third, drafting of the budget should be done by focusing on curriculum management. In regard to management evaluation, an internal assessment team should be organized to make a summative evaluation of every process including planning and act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First, as for manage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assistant principals should gather extensive opinions from the teaching staff to set up educational objectives. They should make out a draft of an educational plan in accordance with school characteristics and the management principles of principals, and an educational planning committee should deliberate on the draft to ensure successful and systematic educational planning.
Second, regarding management of a school organization, assistant principals should empower school members to form a managerial organization in light of school characteristics, school size and local circumstances, and they should try to make the organization work properly as key personnels of it. They should supervise an internal personnel administration committee to guarantee impartial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urge a school board, alumni association, parent association and local community to back up school management with interest. Besides, they should provide a variety of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ies to maintain an amicable relationship with outside people.
Third, as to curriculum management, vice-principals should consider the opinions of teachers as much as possible and offer various kinds of differentiated programs to ensure the school-specific, successful management of curriculum in collaboration with curriculum boards, grade councils, subject-matter councils and councils of head teachers. They should give advice on instructional supervision planning and try to enhance their own teaching professionalism.
Fourth, concerning management of educational conditions, assistant principals should try to keep track of the state of every class to prepare requir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by having a discussion with homeroom teachers, teachers concerned, the chiefs of the administration division and principals. They should draw up a curriculum-centered budget and try to address the needs of teachers by having them involved in budgeting.
Fifth, as for management of educational outcome, vice-principals should make up an internal assessment team to guarantee an objective and rational managerial evaluation, and get an accurate grip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students to give advice on how to boost their academic achievement. One of the best ways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ll be to hold a particular person accountable for tha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