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3, 4학년 음악 교과서의 감상곡과 활동을 분석하고, 결과 및 시사점을 고려하여 분석적 감상 수업모형과 단계별 전략 및 수업방안 예시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초등학교 3, 4학년 음악 교과서 9종(18권)의 감상 관련 영역을 악곡과 활동으로 구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서양 감상곡 수, 시대 및 장르별 분포, 감상 기반 활동 유형, 음악 요소 및 개념, 인지적 학습단계로 분석한 뒤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후 분석적 감상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분석적 감상 수업모형을 재구성하였고 ...
본 연구는 3, 4학년 음악 교과서의 감상곡과 활동을 분석하고, 결과 및 시사점을 고려하여 분석적 감상 수업모형과 단계별 전략 및 수업방안 예시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초등학교 3, 4학년 음악 교과서 9종(18권)의 감상 관련 영역을 악곡과 활동으로 구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서양 감상곡 수, 시대 및 장르별 분포, 감상 기반 활동 유형, 음악 요소 및 개념, 인지적 학습단계로 분석한 뒤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후 분석적 감상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분석적 감상 수업모형을 재구성하였고 단계별 전략을 구안하여 감상곡 4곡에 예시적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양 감상곡 비율과 유형을 분석한 결과 3학년 7.5%~18.8%, 4학년 8.8%~25.0%에 이르렀으며 시대별로는 낭만과 근·현대 시대에, 장르별로는 모음곡과 춤곡, 대중음악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가 음악에 대한 폭 넓은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서양 감상곡 비율이 10% 미만인 교과서에서 비중이 확대될 필요가 있으며, 시대 및 장르별 악곡을 보다 균형 있게 수록하여야 한다.
둘째, 감상 기반 활동을 영역별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7가지 유형으로 분석한 결과 생각표현, 신체표현, 맥락 활동이 도합 전체의 약 70%를 차지하였다. 학습자는 다양한 예술적 경험을 통해 음악적 배움을 형성해가고 현행 교육과정은 표현, 감상, 생활화 영역간의 연계를 강조하므로, 생각표현, 신체표현 이외에 연주 및 창작 활동, 생활화 활동 등 감상 활동을 보다 넓은 범위에서 수록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개념 학습활동을 음악 요소 및 개념과 인지적 학습단계로 분석한 결과 7가지 음악 개념 중 형식, 셈여림, 화성에서 각각 10% 미만으로, 인지적 학습단계는 분석, 평가에서 각각 5%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같은 단계 내에서도 유사한 학습활동이 반복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인지적 학습단계별로 감상 학습이 균형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분석적 감상 수업모형과 단계별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분석적 감상 전략과 자료 개발 연구가 활발히 실시되고 교수방법, 교육자료 등이 공유되기 위한 환경이 지원되어,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감상 수업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3, 4학년 음악 교과서의 감상곡과 활동을 분석하고, 결과 및 시사점을 고려하여 분석적 감상 수업모형과 단계별 전략 및 수업방안 예시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초등학교 3, 4학년 음악 교과서 9종(18권)의 감상 관련 영역을 악곡과 활동으로 구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서양 감상곡 수, 시대 및 장르별 분포, 감상 기반 활동 유형, 음악 요소 및 개념, 인지적 학습단계로 분석한 뒤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후 분석적 감상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분석적 감상 수업모형을 재구성하였고 단계별 전략을 구안하여 감상곡 4곡에 예시적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양 감상곡 비율과 유형을 분석한 결과 3학년 7.5%~18.8%, 4학년 8.8%~25.0%에 이르렀으며 시대별로는 낭만과 근·현대 시대에, 장르별로는 모음곡과 춤곡, 대중음악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가 음악에 대한 폭 넓은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서양 감상곡 비율이 10% 미만인 교과서에서 비중이 확대될 필요가 있으며, 시대 및 장르별 악곡을 보다 균형 있게 수록하여야 한다.
둘째, 감상 기반 활동을 영역별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7가지 유형으로 분석한 결과 생각표현, 신체표현, 맥락 활동이 도합 전체의 약 70%를 차지하였다. 학습자는 다양한 예술적 경험을 통해 음악적 배움을 형성해가고 현행 교육과정은 표현, 감상, 생활화 영역간의 연계를 강조하므로, 생각표현, 신체표현 이외에 연주 및 창작 활동, 생활화 활동 등 감상 활동을 보다 넓은 범위에서 수록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개념 학습활동을 음악 요소 및 개념과 인지적 학습단계로 분석한 결과 7가지 음악 개념 중 형식, 셈여림, 화성에서 각각 10% 미만으로, 인지적 학습단계는 분석, 평가에서 각각 5%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같은 단계 내에서도 유사한 학습활동이 반복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인지적 학습단계별로 감상 학습이 균형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분석적 감상 수업모형과 단계별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분석적 감상 전략과 자료 개발 연구가 활발히 실시되고 교수방법, 교육자료 등이 공유되기 위한 환경이 지원되어,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감상 수업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Keyword
#초등음악교육 교과서 분석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적 감상 지도방안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