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피리를 활용한 국악감상 지도방안 연구 : 초·중·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eaching Appreciation in Korean Traditional Music using Piri : Focused on Music Textbooks of Pramry, Middle, High Schools원문보기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대 영역을 표현, 감상, 생활화로 나누면서 이전보다 감상영역에 좀 더 비중을 두었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국악 감상이나 실기 지도 등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음악의 심미적 체험과 이해를 높이고 국악 감상수업을 통해 국악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국악 기악곡에서 주선율을 담당하는 피리를 활용하여 국악감상 지도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피리는 제례악, 궁중음악, 민간풍류, 민속음악 등 여러 장르의 음악에서 주선율을 담당하며 음색변화가 다양하고 표현력이 넓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 대상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감상의 중요성과 유의점을 알아보고자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은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이며 ...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대 영역을 표현, 감상, 생활화로 나누면서 이전보다 감상영역에 좀 더 비중을 두었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국악 감상이나 실기 지도 등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음악의 심미적 체험과 이해를 높이고 국악 감상수업을 통해 국악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국악 기악곡에서 주선율을 담당하는 피리를 활용하여 국악감상 지도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피리는 제례악, 궁중음악, 민간풍류, 민속음악 등 여러 장르의 음악에서 주선율을 담당하며 음색변화가 다양하고 표현력이 넓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 대상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감상의 중요성과 유의점을 알아보고자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은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이며 교과서 분석을 통해 국악 기악 감상곡의 빈도수를 살펴보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년별로 수록되어 있는 감상곡을 중심으로 제재곡을 선정하여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셋째, 피리가 편성된 국악 기악곡의 음악적 특징과 기악곡에서 피리의 역할 등에 대해 살펴보고,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음악 요소 및 개념 체계를 참고하여 전통음악의 기본요소와 피리의 특징을 중심으로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넷째, 제재곡으로 선정한 국악 기악 감상곡을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년별로 나누어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피리를 활용한 국악 감상 수업의 제재곡으로는 《대취타와 취타》, 《타령》, 《수제천》, 《여민락》, 《영산회상》, 《산조》이며, 각 제재곡들은 악기 편성 및 음색 구별하기, 가락선을 이용하여 피리 선율 비교하기, 시김새 표현해보기, 피리 종류에 따라 연주 형태 및 악곡의 특징 알기, 피리 음색 비교하기, 장단과 빠르기 등을 중심으로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대 영역을 표현, 감상, 생활화로 나누면서 이전보다 감상영역에 좀 더 비중을 두었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국악 감상이나 실기 지도 등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음악의 심미적 체험과 이해를 높이고 국악 감상수업을 통해 국악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국악 기악곡에서 주선율을 담당하는 피리를 활용하여 국악감상 지도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피리는 제례악, 궁중음악, 민간풍류, 민속음악 등 여러 장르의 음악에서 주선율을 담당하며 음색변화가 다양하고 표현력이 넓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 대상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감상의 중요성과 유의점을 알아보고자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은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이며 교과서 분석을 통해 국악 기악 감상곡의 빈도수를 살펴보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년별로 수록되어 있는 감상곡을 중심으로 제재곡을 선정하여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셋째, 피리가 편성된 국악 기악곡의 음악적 특징과 기악곡에서 피리의 역할 등에 대해 살펴보고,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음악 요소 및 개념 체계를 참고하여 전통음악의 기본요소와 피리의 특징을 중심으로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넷째, 제재곡으로 선정한 국악 기악 감상곡을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년별로 나누어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피리를 활용한 국악 감상 수업의 제재곡으로는 《대취타와 취타》, 《타령》, 《수제천》, 《여민락》, 《영산회상》, 《산조》이며, 각 제재곡들은 악기 편성 및 음색 구별하기, 가락선을 이용하여 피리 선율 비교하기, 시김새 표현해보기, 피리 종류에 따라 연주 형태 및 악곡의 특징 알기, 피리 음색 비교하기, 장단과 빠르기 등을 중심으로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e music teaching field is divided into Expression, Appreciation, and Practicing in the living fields, and the appreciation field attained more importance than the previous curricula. But there are no distinct differences in the actual music classrooms. This study...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e music teaching field is divided into Expression, Appreciation, and Practicing in the living fields, and the appreciation field attained more importance than the previous curricula. But there are no distinct differences in the actual music classrooms. This study explores teaching plans for appreciation classes using Piri in order to have the aesthetic experiences and deeper understanding, and in order to have interests and attention in Korean Traditional Music. Piri plays the primary melody part in various kinds of music including Royal Ancestral Rite and Ritual Music, Folk Pung-Ryu, and Folk music, and is widely used because of its mellow timbre and various expressions. The methodology and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appreciation class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figure out the considerations in appreciation class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related literature was studied. Second, three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as chosen and examined in the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pieces. The most frequently treated pieces were Dae-Chita, Chita, Taryung, Sujecheon, Yeminrak, Youngsanwhesang, and Sanjo. Third, the features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which has Piri performances and the roles of Piri in the instrumental music, and was analyzed by the teaching plans focused on features of Piri and basic element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with reference to the important music elements and concepts in 2009 curriculum. Fourth, the teaching plans of the chosen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by the level of students and school were explored. This study includes the teaching plans including recognizing the instruments arrangement, differentiating the timbre, comparing Piri melodies using melodic line, trying grace notes, apprehending the different performance styles and features of pieces depending on the different kinds of Piri, comparing different timbres between different Piries, rhythms and tempo.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e music teaching field is divided into Expression, Appreciation, and Practicing in the living fields, and the appreciation field attained more importance than the previous curricula. But there are no distinct differences in the actual music classrooms. This study explores teaching plans for appreciation classes using Piri in order to have the aesthetic experiences and deeper understanding, and in order to have interests and attention in Korean Traditional Music. Piri plays the primary melody part in various kinds of music including Royal Ancestral Rite and Ritual Music, Folk Pung-Ryu, and Folk music, and is widely used because of its mellow timbre and various expressions. The methodology and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appreciation class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figure out the considerations in appreciation class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related literature was studied. Second, three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as chosen and examined in the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pieces. The most frequently treated pieces were Dae-Chita, Chita, Taryung, Sujecheon, Yeminrak, Youngsanwhesang, and Sanjo. Third, the features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which has Piri performances and the roles of Piri in the instrumental music, and was analyzed by the teaching plans focused on features of Piri and basic element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with reference to the important music elements and concepts in 2009 curriculum. Fourth, the teaching plans of the chosen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by the level of students and school were explored. This study includes the teaching plans including recognizing the instruments arrangement, differentiating the timbre, comparing Piri melodies using melodic line, trying grace notes, apprehending the different performance styles and features of pieces depending on the different kinds of Piri, comparing different timbres between different Piries, rhythms and tempo.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