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청소년 비만의 원인을 부모의 자녀양육태도의 차원에서 분석해 보고 청소년 비만의 부작용을 자기존중감의 차원에서 분석해 보는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은 부모의 자녀 양육태도와 청소년 비만과의 관계이다. 그리하여 청소년 비만의 원인의 한 축이 밝혀지고, 청소년비만과 자기존중감간의 관계도 밝혀짐으로써, 그 결과 보다 나은 부모-자녀관계 형성 및 학교현장에서 비만관리시 정서적 측면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생들의 비만도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학생들의 비만도와 자기존중감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생들의 자기존중감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경상남도 시 군 지역에 재학 중인 남?여중학생 28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부모양육태도측정과 자기존중감 측정은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고 비만상태는 2008년 4월-5월 실시한 자료를 토대로 연구자가 계산하였다. 비만과 청소년기 자녀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혜영(2000)이 제작한 질문지를 이용하였다. 김혜영은 김지신(1999)의 양육행동척도와 부모의 자녀에 대한 심리적 통제를 측정하기 위해서 개발한 Barber(1997)의 척도를 토대로 친밀감, 자율성, 통제에 관한 문항을 보완하여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청소년의 자기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
본 논문은 청소년 비만의 원인을 부모의 자녀양육태도의 차원에서 분석해 보고 청소년 비만의 부작용을 자기존중감의 차원에서 분석해 보는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은 부모의 자녀 양육태도와 청소년 비만과의 관계이다. 그리하여 청소년 비만의 원인의 한 축이 밝혀지고, 청소년비만과 자기존중감간의 관계도 밝혀짐으로써, 그 결과 보다 나은 부모-자녀관계 형성 및 학교현장에서 비만관리시 정서적 측면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생들의 비만도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학생들의 비만도와 자기존중감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생들의 자기존중감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경상남도 시 군 지역에 재학 중인 남?여중학생 28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부모양육태도측정과 자기존중감 측정은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고 비만상태는 2008년 4월-5월 실시한 자료를 토대로 연구자가 계산하였다. 비만과 청소년기 자녀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혜영(2000)이 제작한 질문지를 이용하였다. 김혜영은 김지신(1999)의 양육행동척도와 부모의 자녀에 대한 심리적 통제를 측정하기 위해서 개발한 Barber(1997)의 척도를 토대로 친밀감, 자율성, 통제에 관한 문항을 보완하여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청소년의 자기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self-Esteem Inventory를 강종구(1986)가 번역하여 사용한 것을 이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에 사용된 통계프로그램은 모든 분석은 SPSS 10.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성별과 비만도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존중감의 인식차이를 독립표본 t 검정과 일원변량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으며,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존중감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의 상관계수(r)와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변인간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모든 분석의 유의수준 α=.05이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모의 자녀육태도와 학생들의 비만도 및 자기존중감간의 관계가 어떠한지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태도와 비만도간의 관계를 상관관계분석 및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애정/수용과 자녀의 일상생활에 대한 관심/합리적 지도는 비만도와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심리적 통제와 강압적 통제도 비만도와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영향이 미치지 않았으며, 과잉보호와 방임에서도 비만도와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영향이 미치지 않았다. 앞의 비만아와 부모결합 혹은 양육태도의 선행연구이나 그것을 통해 보면 비만아들에게 있어 부모-자녀 결합에 있어 다소 이상이 있다는 점을 보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부모양육태도와 비만도와의 관계에 유의한 관계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던 결과와는 달리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아 상기 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볼 때 부모양육태도와 비만도와의 관계에서 부모양육태도는 다른 요인과 균형을 이루어 영향을 주는 요인을 작용한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부모양육태도는 단순히 양적인 차원에서의 문제라기보다는 자기개념이 형성되는 청소년기에 부모양육태도 이외의 다른 요인이나 변인들이 작용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는데 비만이 단일 원인으로 설명될 수는 없으며 다양한 변인의 작용 결과로 일어난 것임을 말해준다고 볼 수 있다. 또 다른 견해로는 여성, 고도 비만, 식이요법 경험, 탐식, 체중의 심한 기복, 신체형 때문에 놀림 받은 경험 등 체중과 관련하여 분명히 고통을 받는 위험 집단이 많은데도 비만한 사람에게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는 이유는 이들이 내적인 갈등을 경험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숨기거나, 양가감정, 회피, 왜곡, 심지어는 먹는 것을 사용하여 적응하고 있기 때문으로도 볼 수 있다. 더불어 비만한 사람에 대한 일반인들의 편견이 작용하는 부분도 더불어 생각하면서 신체적, 정신적 및 심리적 변화가 심한 시기인 청소년기에 균형 있는 성장과 발달, 성숙한 인격으로서의 주체성을 확립 할 수 있도록 주변에서의 많은 지지가 필요하다고 보인다. 둘째, 먼저 비만도와 자기존중감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비만도와 자기존중간에는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비만도와 타인과의 관계 및 지도력과 인기에서도 어떤 상관성 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비만도와 자기주장과 불안간에서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비만도가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먼저 비만도는 전체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자기존중과 타인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비만도는 지도력과 인기, 자기주장과 불안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므로 비만 청소년 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함에 있어 비만 그룹 간에 크게 차이를 두지 않으면서 관련 예방 교육 등의 관리프로그램을 운영함도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비만정도가 많이 심한 경우나 여러 선행연구 또 실제현장에서 자아정체감이나 또래와의 관계, 자기존중감이 형성되는 청소년기에 친구들로부터 놀림을 당하고 친구들과 어울리기보다는 고립되는 경우도 흔히 있을 수 있으므로 학교현장의 모든 교사들이 다 같이 비만학생을 세심히 배려하는 정서적 측면의 중재도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셋째, 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존중감간과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보면 부모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더욱 학생의 자기존중감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의 부모양육태도에 따른 자기존중감에 대한 영향력은 친밀감 및 합리성 중 애정/수용, 자녀의 일상생활에 대한 관심/합리적 지도에 대한 인식이 강할수록, 강압적 통제수준이 낮을수록 더욱 자기 존중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존중감과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보면 상당히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볼 때 학교현장에서 비만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실시 부모양육태도향상과 관련 부모를 참여시켜 교육함과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자기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인 환경조성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함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그리고 각종 광고나 언론매체에서 지나치게 마른 체형을 아름다움의 조건으로 제시하는 것을 지양하고 사회의 전반적인 의식에서 아름다움의 기준이 건강과 개성임을 강조하여 건강하고 자기존중감이 높은 성인으로 성장하도록 가정, 학교, 사회에서 보다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본 논문은 청소년 비만의 원인을 부모의 자녀양육태도의 차원에서 분석해 보고 청소년 비만의 부작용을 자기존중감의 차원에서 분석해 보는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은 부모의 자녀 양육태도와 청소년 비만과의 관계이다. 그리하여 청소년 비만의 원인의 한 축이 밝혀지고, 청소년비만과 자기존중감간의 관계도 밝혀짐으로써, 그 결과 보다 나은 부모-자녀관계 형성 및 학교현장에서 비만관리시 정서적 측면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생들의 비만도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학생들의 비만도와 자기존중감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생들의 자기존중감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경상남도 시 군 지역에 재학 중인 남?여중학생 28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부모양육태도측정과 자기존중감 측정은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고 비만상태는 2008년 4월-5월 실시한 자료를 토대로 연구자가 계산하였다. 비만과 청소년기 자녀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혜영(2000)이 제작한 질문지를 이용하였다. 김혜영은 김지신(1999)의 양육행동척도와 부모의 자녀에 대한 심리적 통제를 측정하기 위해서 개발한 Barber(1997)의 척도를 토대로 친밀감, 자율성, 통제에 관한 문항을 보완하여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청소년의 자기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self-Esteem Inventory를 강종구(1986)가 번역하여 사용한 것을 이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에 사용된 통계프로그램은 모든 분석은 SPSS 10.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성별과 비만도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존중감의 인식차이를 독립표본 t 검정과 일원변량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으며,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존중감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의 상관계수(r)와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변인간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모든 분석의 유의수준 α=.05이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모의 자녀육태도와 학생들의 비만도 및 자기존중감간의 관계가 어떠한지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태도와 비만도간의 관계를 상관관계분석 및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애정/수용과 자녀의 일상생활에 대한 관심/합리적 지도는 비만도와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심리적 통제와 강압적 통제도 비만도와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영향이 미치지 않았으며, 과잉보호와 방임에서도 비만도와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영향이 미치지 않았다. 앞의 비만아와 부모결합 혹은 양육태도의 선행연구이나 그것을 통해 보면 비만아들에게 있어 부모-자녀 결합에 있어 다소 이상이 있다는 점을 보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부모양육태도와 비만도와의 관계에 유의한 관계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던 결과와는 달리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아 상기 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볼 때 부모양육태도와 비만도와의 관계에서 부모양육태도는 다른 요인과 균형을 이루어 영향을 주는 요인을 작용한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부모양육태도는 단순히 양적인 차원에서의 문제라기보다는 자기개념이 형성되는 청소년기에 부모양육태도 이외의 다른 요인이나 변인들이 작용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는데 비만이 단일 원인으로 설명될 수는 없으며 다양한 변인의 작용 결과로 일어난 것임을 말해준다고 볼 수 있다. 또 다른 견해로는 여성, 고도 비만, 식이요법 경험, 탐식, 체중의 심한 기복, 신체형 때문에 놀림 받은 경험 등 체중과 관련하여 분명히 고통을 받는 위험 집단이 많은데도 비만한 사람에게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는 이유는 이들이 내적인 갈등을 경험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숨기거나, 양가감정, 회피, 왜곡, 심지어는 먹는 것을 사용하여 적응하고 있기 때문으로도 볼 수 있다. 더불어 비만한 사람에 대한 일반인들의 편견이 작용하는 부분도 더불어 생각하면서 신체적, 정신적 및 심리적 변화가 심한 시기인 청소년기에 균형 있는 성장과 발달, 성숙한 인격으로서의 주체성을 확립 할 수 있도록 주변에서의 많은 지지가 필요하다고 보인다. 둘째, 먼저 비만도와 자기존중감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비만도와 자기존중간에는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비만도와 타인과의 관계 및 지도력과 인기에서도 어떤 상관성 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비만도와 자기주장과 불안간에서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비만도가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먼저 비만도는 전체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자기존중과 타인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비만도는 지도력과 인기, 자기주장과 불안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므로 비만 청소년 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함에 있어 비만 그룹 간에 크게 차이를 두지 않으면서 관련 예방 교육 등의 관리프로그램을 운영함도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비만정도가 많이 심한 경우나 여러 선행연구 또 실제현장에서 자아정체감이나 또래와의 관계, 자기존중감이 형성되는 청소년기에 친구들로부터 놀림을 당하고 친구들과 어울리기보다는 고립되는 경우도 흔히 있을 수 있으므로 학교현장의 모든 교사들이 다 같이 비만학생을 세심히 배려하는 정서적 측면의 중재도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셋째, 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존중감간과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보면 부모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더욱 학생의 자기존중감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의 부모양육태도에 따른 자기존중감에 대한 영향력은 친밀감 및 합리성 중 애정/수용, 자녀의 일상생활에 대한 관심/합리적 지도에 대한 인식이 강할수록, 강압적 통제수준이 낮을수록 더욱 자기 존중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존중감과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보면 상당히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볼 때 학교현장에서 비만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실시 부모양육태도향상과 관련 부모를 참여시켜 교육함과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자기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인 환경조성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함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그리고 각종 광고나 언론매체에서 지나치게 마른 체형을 아름다움의 조건으로 제시하는 것을 지양하고 사회의 전반적인 의식에서 아름다움의 기준이 건강과 개성임을 강조하여 건강하고 자기존중감이 높은 성인으로 성장하도록 가정, 학교, 사회에서 보다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This study i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s of adolescent obesity in terms of the parents' attitudes in rearing of children and another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ide effects on self-esteem. Therefore, what will be discussed in this study is correlation between obesity ...
This study i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s of adolescent obesity in terms of the parents' attitudes in rearing of children and another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ide effects on self-esteem. Therefore, what will be discussed in this study is correlation between obesity of teenagers and the attitudes of parents in rearing their children. If one of factors which cause adolescent obesity can be revealed in this study, which may be helpful in building better and healthier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also for giving better understanding in terms of emotional aspects in controllring obesity at educational sites. The problems for this study are formulated as following First, How do the students perceive the relation between fatness of students and attitudes of parents in rearing children? Second, what kind of relations exist between the fatness and self-esteem of students? Third, what kind of relations exist between the rearing attitude of parents and self-esteem of students? The data for analysis of this research are acquired from 287 of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ities and counties of Gyeongsangnam province. Resources on rearing attitude of parents and self-esteem of students collected by surveys and the students' fatness is calculated through data which are fulfilled from April to May 2008. A survey made by Kim Hye-young(2000) is carried out for test of fatness and the rearing attitude of parents that had effects on the self-esteem of their children in their adolescence. Kim Hye-young used complimentary reorganization as items on intimacy, self-control and regulation based on standard of Barber(1997) which develop for survey of psychological control for their children and the standard of breed behavior by Kim Ji-sun(1999). Also Self-Esteem Inventory by Coopersmith(1967)-version translated by Kang, Jong Gu(1986)- is used for examining self-esteem of the objects. Statistic software used here in analyzing data is 'SPSS 10.0 for Windows' and the gap between the attitudes of parents in rearing their children and their self-esteem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age levels and different genders is examined through independent-t test and One-way ANOVA.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reaing attitude of parents' the teenagers and self-esteem of the teenager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r) and multiple regression are applied. significance level of all analysis in the study is a.05. The overview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of all, the correlative analysis and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attitude of bringing up children and obesity index shows that there was not only no relation of concern with affection to daily life of offspring and obesity index but also no relation to the impact of mental and oppressive control have nothing to do with obesity index and it has no affect on obesity index Additionally, noninterference also was unrelated to Overprotection and no affection on it.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relation of overweight children with their parents or parental attitude of bringing up children, for the overweight children it showed that some problem has occurred on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However, unlikely the assumption of this study which there would parental attitude of bring up children be related to the obesity the result showed no relation between them. As result, we might think in the way that on the relation parental attitude of bringing up children with obesity parental attitude of bringing up children maintain the proper balance with other factor and become a impact element. in other words, it can be considered that parental attitude of bringing up children is simply not the matter of in a quantitative respect but rather of other variations that would be caused impact during adolescence when build up self-conception so, as obesity alone cannot be explained the whole phenomena but there should be various of other variations to cause the results. On the other hand, some say that although there are precisely many groups in risk of suffering associated by body weight such those with personal experience bullying by people around because of female, serious heavy weight, diet experience in the past and constant weight fluctuation etc. there was no similar result showed for the overweight people is due to despite these are experiencing of inner difficulty they try not to bring out, avoid or distort the problem and even solve it by eating more. In addition, with concern bias on the overweight people from the public as a part of cause, lots of support from around demanded during adolescence for them to develop grow on balance and establish their subjecthood as a mature individuality. Secondly, on the relationship and effect between obesity and self-esteem there was no relationship or effect appeared and also, the relation obesity on others, leadership and popularity showed nothing related and influenced. Besides, it showed that obesity was not interrelated with self-assertion and feeling of uneasiness. Futhermore, for the influence obesity on self-esteem, first obesity was not influenced on the overall self-esteem as well as on self-esteem and relationship with others. it had also no connection with leadership, popularity, self-assertion and feeling of uneasiness. Therefore, there need to apply appropriate preventive education without giving difference among the obesity index groups on practice for the adolescent obesity index care program. Yet, for the case with those who are seriously overweight or the case of being bullied or left out by friends during adolescence building up self-esteem, relationship with the age and identity in various studies of good deed or in actual situation can often be happened. hence, mediation in terms of emotional aspect can be required as to all teachers in schools together pay close attention to them deliberately. Thirdl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 student of parental attitude of bringing up children and self esteem, the result presented that more the former is positive and more the latter is developed. Influenced self-esteem on a student of parental attitude of bringing up children intimacy and rationality affection and receptiveness. It appeared that more concern about their children's daily life and rational disciplinary and lower control level lead to higher self-esteem. Thus, As statistically regard on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a student of parental attitude of bringing up children and self-esteem it suggests that when practice care programs for obese students their parents also need to participate for the program for them to be educated improving their parental attitude of bringing up children and also mak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reate and apply diverse programs to improve self-esteem to be needed. And slim figure as the image of beauty in the eye of today's media or entertainment world but, the general view of society should emphasize good health and individuality as the image of beauty to people so that the children can be grown up with good health and high self-esteem. In order to do so, more regard on the children needed from home, school and society.
This study i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s of adolescent obesity in terms of the parents' attitudes in rearing of children and another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ide effects on self-esteem. Therefore, what will be discussed in this study is correlation between obesity of teenagers and the attitudes of parents in rearing their children. If one of factors which cause adolescent obesity can be revealed in this study, which may be helpful in building better and healthier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also for giving better understanding in terms of emotional aspects in controllring obesity at educational sites. The problems for this study are formulated as following First, How do the students perceive the relation between fatness of students and attitudes of parents in rearing children? Second, what kind of relations exist between the fatness and self-esteem of students? Third, what kind of relations exist between the rearing attitude of parents and self-esteem of students? The data for analysis of this research are acquired from 287 of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ities and counties of Gyeongsangnam province. Resources on rearing attitude of parents and self-esteem of students collected by surveys and the students' fatness is calculated through data which are fulfilled from April to May 2008. A survey made by Kim Hye-young(2000) is carried out for test of fatness and the rearing attitude of parents that had effects on the self-esteem of their children in their adolescence. Kim Hye-young used complimentary reorganization as items on intimacy, self-control and regulation based on standard of Barber(1997) which develop for survey of psychological control for their children and the standard of breed behavior by Kim Ji-sun(1999). Also Self-Esteem Inventory by Coopersmith(1967)-version translated by Kang, Jong Gu(1986)- is used for examining self-esteem of the objects. Statistic software used here in analyzing data is 'SPSS 10.0 for Windows' and the gap between the attitudes of parents in rearing their children and their self-esteem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age levels and different genders is examined through independent-t test and One-way ANOVA.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reaing attitude of parents' the teenagers and self-esteem of the teenager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r) and multiple regression are applied. significance level of all analysis in the study is a.05. The overview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of all, the correlative analysis and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attitude of bringing up children and obesity index shows that there was not only no relation of concern with affection to daily life of offspring and obesity index but also no relation to the impact of mental and oppressive control have nothing to do with obesity index and it has no affect on obesity index Additionally, noninterference also was unrelated to Overprotection and no affection on it.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relation of overweight children with their parents or parental attitude of bringing up children, for the overweight children it showed that some problem has occurred on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However, unlikely the assumption of this study which there would parental attitude of bring up children be related to the obesity the result showed no relation between them. As result, we might think in the way that on the relation parental attitude of bringing up children with obesity parental attitude of bringing up children maintain the proper balance with other factor and become a impact element. in other words, it can be considered that parental attitude of bringing up children is simply not the matter of in a quantitative respect but rather of other variations that would be caused impact during adolescence when build up self-conception so, as obesity alone cannot be explained the whole phenomena but there should be various of other variations to cause the results. On the other hand, some say that although there are precisely many groups in risk of suffering associated by body weight such those with personal experience bullying by people around because of female, serious heavy weight, diet experience in the past and constant weight fluctuation etc. there was no similar result showed for the overweight people is due to despite these are experiencing of inner difficulty they try not to bring out, avoid or distort the problem and even solve it by eating more. In addition, with concern bias on the overweight people from the public as a part of cause, lots of support from around demanded during adolescence for them to develop grow on balance and establish their subjecthood as a mature individuality. Secondly, on the relationship and effect between obesity and self-esteem there was no relationship or effect appeared and also, the relation obesity on others, leadership and popularity showed nothing related and influenced. Besides, it showed that obesity was not interrelated with self-assertion and feeling of uneasiness. Futhermore, for the influence obesity on self-esteem, first obesity was not influenced on the overall self-esteem as well as on self-esteem and relationship with others. it had also no connection with leadership, popularity, self-assertion and feeling of uneasiness. Therefore, there need to apply appropriate preventive education without giving difference among the obesity index groups on practice for the adolescent obesity index care program. Yet, for the case with those who are seriously overweight or the case of being bullied or left out by friends during adolescence building up self-esteem, relationship with the age and identity in various studies of good deed or in actual situation can often be happened. hence, mediation in terms of emotional aspect can be required as to all teachers in schools together pay close attention to them deliberately. Thirdl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 student of parental attitude of bringing up children and self esteem, the result presented that more the former is positive and more the latter is developed. Influenced self-esteem on a student of parental attitude of bringing up children intimacy and rationality affection and receptiveness. It appeared that more concern about their children's daily life and rational disciplinary and lower control level lead to higher self-esteem. Thus, As statistically regard on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a student of parental attitude of bringing up children and self-esteem it suggests that when practice care programs for obese students their parents also need to participate for the program for them to be educated improving their parental attitude of bringing up children and also mak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reate and apply diverse programs to improve self-esteem to be needed. And slim figure as the image of beauty in the eye of today's media or entertainment world but, the general view of society should emphasize good health and individuality as the image of beauty to people so that the children can be grown up with good health and high self-esteem. In order to do so, more regard on the children needed from home, school and socie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