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원문보기
본 연구는 유아가 지리교육 전 영역에 걸쳐 획득한 정보를 표상하는 활동에 중점을 둔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선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1〕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1-3.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은 어떠한가? 1-4.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 2〕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지도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정보 표상 중심 유아 지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보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4.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 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문제 1〕의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선행연구와 문헌을 기초로 본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설정하였다. 전문가 협의를 통해 지리학개념 및 기능, 지리영역별 주제를 선정하여 지리교육내용요소를 구성하고 활동을 구안한 후, 현장교사 30인의 ...
본 연구는 유아가 지리교육 전 영역에 걸쳐 획득한 정보를 표상하는 활동에 중점을 둔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선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1〕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1-3.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은 어떠한가? 1-4.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 2〕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지도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정보 표상 중심 유아 지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보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4.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 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문제 1〕의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선행연구와 문헌을 기초로 본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설정하였다. 전문가 협의를 통해 지리학개념 및 기능, 지리영역별 주제를 선정하여 지리교육내용요소를 구성하고 활동을 구안한 후, 현장교사 30인의 내용타당도 검증, 유아교육전문가 5인의 내용타당도 검토, 생활주제와 관련 적용가능성 검토를 거쳐 최종 활동을 선정하였다. 그 다음, 정보 표상 유형을 선정하고, 정보 표상 중심 유아 지리교육 프로그램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한 후 프로그램 평가 방법 선정의 절차를 통하여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의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유아의 공간능력, 지도 읽기능력, 정보 표상능력 및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 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J 광역시에 위치한 2개 유치원 만 5세 유아 108명(실험집단: 54명, 비교집단: 54명)이며, 프로그램 적용기간은 2008년 4월26일~6월 28일까지 총 10주이다. 실험집단에는 본 프로그램의 활동을 주 2~3회씩 총 22회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같은 활동 소재의 경험 관련 활동을 일반수업과정에 따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도구는 홍혜경(2001)의 공간능력 검사도구, 본 연구자가 개발한 지도 읽기능력 검사도구 및 정보 표상능력 분석 도구, 곽아정(2006)이 개발한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척도(K-LRSS)를 사용하였다. 지도 읽기능력 검사 도구는 최종 16문항으로 만 5세 유아 225명을 대상으로 요인 분석한 결과 방향읽기, 거리읽기, 기호읽기, 조망읽기의 4요인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과 검사도구 간의 상관관계는 .504~.660으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공인 타당도 r= .494, 문항 내적 합치도 Cronbach α는 전체에서 .713, 검사-재검사 신뢰도 전체의 r= .827로 매우 강한 관련성을 보였다. 다음 정보 표상능력 분석 도구는 문헌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지도, 그래프, 벤다이어그램의 평가 요소를 추출하고 각 요소별 능력을 상, 중, 하로 나누어 평가 기준을 구안하고 유아교육전문가 5인의 내용타당도 검토를 거쳐 수정·보완하여 완성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공간능력, 지도 읽기능력,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은 각 집단별 사전, 사후 평균에 대해 독립표본 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고, 정보 표상능력은 초기, 중기, 후기의 표상 결과물을 평가 기준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연구문제 1〕의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하여 유아 지리교육 목적에 따른 목표 요소로 공간능력, 지도 읽기능력, 정보 표상능력,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 지리탐구활동에 대한 관심과 흥미, 주변 환경에 대한관심의 6개로 설정하였다. 지리학 기본개념 및 기능 6개(위치·방향, 장소·지역, 변화·이동, 인간, 자연·환경, 지도화)를 지리교육영역별 주제 5개(기후, 지형, 산업유통, 교통·통신, 마을)와 상호결합하여 30개의 지리교육내용요소를 구성하고, 활동을 구안하여 최종 22개를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모형은 문제파악하기, 탐색하기, 표상하기, 해석하기, 평가하기의 5단계로 구안하였으며 정보 표상 유형은 지도, 그래프, 벤다이어그램으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주로 교수-학습과정에서 유아는지식, 기술, 태도를, 교사는 교수활동에 관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둘째,〔연구문제 2〕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유아의 공간능력, 지도읽기능력,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 사전검사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후 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의 정보 표상능력 변화 분석 결과, 지도, 그래프, 벤다이어그램 표상능력이 초기에서 중기, 후기로 갈수록 높은 수준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공간능력, 지도 읽기능력, 정보 표상능력 및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은 만 5세 유아의 공간능력, 지도 읽기능력, 정보 표상능력,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가 지리교육 전 영역에 걸쳐 획득한 정보를 표상하는 활동에 중점을 둔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선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1〕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1-3.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은 어떠한가? 1-4.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 2〕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지도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정보 표상 중심 유아 지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보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4.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 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문제 1〕의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선행연구와 문헌을 기초로 본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설정하였다. 전문가 협의를 통해 지리학개념 및 기능, 지리영역별 주제를 선정하여 지리교육내용요소를 구성하고 활동을 구안한 후, 현장교사 30인의 내용타당도 검증, 유아교육전문가 5인의 내용타당도 검토, 생활주제와 관련 적용가능성 검토를 거쳐 최종 활동을 선정하였다. 그 다음, 정보 표상 유형을 선정하고, 정보 표상 중심 유아 지리교육 프로그램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한 후 프로그램 평가 방법 선정의 절차를 통하여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의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유아의 공간능력, 지도 읽기능력, 정보 표상능력 및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 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J 광역시에 위치한 2개 유치원 만 5세 유아 108명(실험집단: 54명, 비교집단: 54명)이며, 프로그램 적용기간은 2008년 4월26일~6월 28일까지 총 10주이다. 실험집단에는 본 프로그램의 활동을 주 2~3회씩 총 22회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같은 활동 소재의 경험 관련 활동을 일반수업과정에 따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도구는 홍혜경(2001)의 공간능력 검사도구, 본 연구자가 개발한 지도 읽기능력 검사도구 및 정보 표상능력 분석 도구, 곽아정(2006)이 개발한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척도(K-LRSS)를 사용하였다. 지도 읽기능력 검사 도구는 최종 16문항으로 만 5세 유아 225명을 대상으로 요인 분석한 결과 방향읽기, 거리읽기, 기호읽기, 조망읽기의 4요인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과 검사도구 간의 상관관계는 .504~.660으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공인 타당도 r= .494, 문항 내적 합치도 Cronbach α는 전체에서 .713, 검사-재검사 신뢰도 전체의 r= .827로 매우 강한 관련성을 보였다. 다음 정보 표상능력 분석 도구는 문헌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지도, 그래프, 벤다이어그램의 평가 요소를 추출하고 각 요소별 능력을 상, 중, 하로 나누어 평가 기준을 구안하고 유아교육전문가 5인의 내용타당도 검토를 거쳐 수정·보완하여 완성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공간능력, 지도 읽기능력,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은 각 집단별 사전, 사후 평균에 대해 독립표본 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고, 정보 표상능력은 초기, 중기, 후기의 표상 결과물을 평가 기준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연구문제 1〕의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하여 유아 지리교육 목적에 따른 목표 요소로 공간능력, 지도 읽기능력, 정보 표상능력,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 지리탐구활동에 대한 관심과 흥미, 주변 환경에 대한관심의 6개로 설정하였다. 지리학 기본개념 및 기능 6개(위치·방향, 장소·지역, 변화·이동, 인간, 자연·환경, 지도화)를 지리교육영역별 주제 5개(기후, 지형, 산업유통, 교통·통신, 마을)와 상호결합하여 30개의 지리교육내용요소를 구성하고, 활동을 구안하여 최종 22개를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모형은 문제파악하기, 탐색하기, 표상하기, 해석하기, 평가하기의 5단계로 구안하였으며 정보 표상 유형은 지도, 그래프, 벤다이어그램으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주로 교수-학습과정에서 유아는지식, 기술, 태도를, 교사는 교수활동에 관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둘째,〔연구문제 2〕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유아의 공간능력, 지도읽기능력,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 사전검사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후 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의 정보 표상능력 변화 분석 결과, 지도, 그래프, 벤다이어그램 표상능력이 초기에서 중기, 후기로 갈수록 높은 수준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공간능력, 지도 읽기능력, 정보 표상능력 및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은 만 5세 유아의 공간능력, 지도 읽기능력, 정보 표상능력,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which is focused on the activity of represent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all areas of geography education, and to test the effects of the program. For the purpose, t...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which is focused on the activity of represent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all areas of geography education, and to test the effects of the program. For the purpose, this study set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Question 1〕 How is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composed? 1-1. What are the objectives and goals of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1-2. What are the contents of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1-3. What ar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1-4. How is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assessed? 〔Question 2〕 How are the effects of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2-1. What effect does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have on young children’s spatial ability? 2-2. What effect does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have on young children’s map-reading ability. 2-3. What effect does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have on young children’s information representation ability? 2-4. What effect does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have on young children’s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With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procedure as follows. In order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according to〔Question 1〕, we composed the contents and activities of geography education by defining the concepts and functions of geography and selecting themes for each area of geography through consultation with specialists, and tested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with 30 field teachers, reviewed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with 5 specialis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the contents related to life theme, and then selected final activities. Then, we selected the types of information representation, designed a teaching-learning model of information representation centered young children geography education program, and selected the program valuation method. Through this procedure, the structure of the program was established. In order to test the effects of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according to 〔Question 2〕, w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young children’s spatial ability, map-reading ability, information representation ability and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8 five-year-old children (experimental group: 54, control group: 54) at two kindergartens in J Metropolitan City, and the program was applied for 10 weeks from April 21 to June 28, 2008.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activities of the program were executed through a total of 22 sessions and 2~3 sessions per week. For the control group, activities related to the same subjects were executed according to the ordinary curriculum.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tested using Hong Hye-gyeong’s (2001) spatial ability test, the present researcher’s map-reading ability test and information representation ability test, and Gwak A-jeong’s (2006)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K-LRSS) test. We selected 16 questions from the map-reading ability test and performed factor analysis, and derived four sub-factors (direction reading, distance reading, sign reading, and view read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ub-factors and the test tools were .504~.660, so all of th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urrent validity was r=.494, and item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 α was .713 as a whole,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r=.827 as a whole showing very strong association. The tool for analyzing information representation ability was prepared by extracting assessment elements of maps, graphs and Venn diagram through reviewing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designing assessment criteria for ability in each element, which was divided into high, middle and low, and testing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with 5 specialis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WIN 12.0. Spatial ability, map-reading ability, and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were analyzed through independent samples t-test for the mean scores of pretest and posttest in each group, and information representation ability was analyzed using th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of the results of representation in the early, middle and late periods according to assessment criteri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the composition of the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according to 〔Question 1〕, we set 6 goals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which are spatial ability, map-reading ability, information representation ability,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interest in geographical inquiry activities, and interest in surrounding environment. The 6 basic concepts and functions of geography (position-direction, place-area, change-movement, human, nature-environment, and mapping) were interconnected with the 5 themes of geography education (climate, topography, industrial distribution, transportation-communication, and village) and formed 30 content elements of geography education, and then activities were designed and 22 of them were selected finally. The teaching-learning of the program was composed of 5 stages: finding problems, exploring, representing, interpreting, and assessing. In addition, map, graph and Venn diagram were selected as the types of information representation. The assessment of the program was made during the classes based on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for young children, and based on teaching activities for teachers. Second, in the pretest of young children’s spatial ability, map reading ability, and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for testing the effects of the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according to 〔Question 2〕 ,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ut in the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when changes in the experimental group’s information representation ability were analyzed, abilities to represent using map, graph and Venn diagram were improved significantly through the proceeding of the program from the early period to the middle period and the late period. Accordingly, the information representation centered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improvement in spatial ability, map-reading ability, information representation ability, and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presented above, it is concluded that the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improving five-year-old children’s spatial ability, map-reading ability, information representation ability, and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which is focused on the activity of represent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all areas of geography education, and to test the effects of the program. For the purpose, this study set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Question 1〕 How is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composed? 1-1. What are the objectives and goals of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1-2. What are the contents of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1-3. What ar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1-4. How is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assessed? 〔Question 2〕 How are the effects of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2-1. What effect does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have on young children’s spatial ability? 2-2. What effect does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have on young children’s map-reading ability. 2-3. What effect does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have on young children’s information representation ability? 2-4. What effect does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have on young children’s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With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procedure as follows. In order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according to〔Question 1〕, we composed the contents and activities of geography education by defining the concepts and functions of geography and selecting themes for each area of geography through consultation with specialists, and tested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with 30 field teachers, reviewed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with 5 specialis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the contents related to life theme, and then selected final activities. Then, we selected the types of information representation, designed a teaching-learning model of information representation centered young children geography education program, and selected the program valuation method. Through this procedure, the structure of the program was established. In order to test the effects of an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according to 〔Question 2〕, w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young children’s spatial ability, map-reading ability, information representation ability and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8 five-year-old children (experimental group: 54, control group: 54) at two kindergartens in J Metropolitan City, and the program was applied for 10 weeks from April 21 to June 28, 2008.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activities of the program were executed through a total of 22 sessions and 2~3 sessions per week. For the control group, activities related to the same subjects were executed according to the ordinary curriculum.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tested using Hong Hye-gyeong’s (2001) spatial ability test, the present researcher’s map-reading ability test and information representation ability test, and Gwak A-jeong’s (2006)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K-LRSS) test. We selected 16 questions from the map-reading ability test and performed factor analysis, and derived four sub-factors (direction reading, distance reading, sign reading, and view read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ub-factors and the test tools were .504~.660, so all of th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urrent validity was r=.494, and item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 α was .713 as a whole,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r=.827 as a whole showing very strong association. The tool for analyzing information representation ability was prepared by extracting assessment elements of maps, graphs and Venn diagram through reviewing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designing assessment criteria for ability in each element, which was divided into high, middle and low, and testing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with 5 specialis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WIN 12.0. Spatial ability, map-reading ability, and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were analyzed through independent samples t-test for the mean scores of pretest and posttest in each group, and information representation ability was analyzed using th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of the results of representation in the early, middle and late periods according to assessment criteri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the composition of the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according to 〔Question 1〕, we set 6 goals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which are spatial ability, map-reading ability, information representation ability,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interest in geographical inquiry activities, and interest in surrounding environment. The 6 basic concepts and functions of geography (position-direction, place-area, change-movement, human, nature-environment, and mapping) were interconnected with the 5 themes of geography education (climate, topography, industrial distribution, transportation-communication, and village) and formed 30 content elements of geography education, and then activities were designed and 22 of them were selected finally. The teaching-learning of the program was composed of 5 stages: finding problems, exploring, representing, interpreting, and assessing. In addition, map, graph and Venn diagram were selected as the types of information representation. The assessment of the program was made during the classes based on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for young children, and based on teaching activities for teachers. Second, in the pretest of young children’s spatial ability, map reading ability, and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for testing the effects of the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according to 〔Question 2〕 ,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ut in the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when changes in the experimental group’s information representation ability were analyzed, abilities to represent using map, graph and Venn diagram were improved significantly through the proceeding of the program from the early period to the middle period and the late period. Accordingly, the information representation centered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improvement in spatial ability, map-reading ability, information representation ability, and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presented above, it is concluded that the early childhood geography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improving five-year-old children’s spatial ability, map-reading ability, information representation ability, and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