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에 대한 관련기업 및 기관과 소비자와의 인식도 및 신뢰도 조사 Comparison of reliability and recognition among customers, enterprises and government on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rket of Korea원문보기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의 전반적인 시장현황에 대해 2009년 4월 5일부터 5월 1일까지 약 1개월간 20세 이상 성인 남·녀의 직업군을 식품·의약품업계군(식품·의약품관련 기업, 식품·의약품 관련 공무원)과 소비자군(회사원, 자영업, 주부, 서비스직, 기타)으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설문지는 630부 중 식품·의약품관련업계군 300부, 소비자군에 330부를 서울,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지역으로 각각 배포하여, 그 중 605부만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증분석은 ...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의 전반적인 시장현황에 대해 2009년 4월 5일부터 5월 1일까지 약 1개월간 20세 이상 성인 남·녀의 직업군을 식품·의약품업계군(식품·의약품관련 기업, 식품·의약품 관련 공무원)과 소비자군(회사원, 자영업, 주부, 서비스직, 기타)으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설문지는 630부 중 식품·의약품관련업계군 300부, 소비자군에 330부를 서울,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지역으로 각각 배포하여, 그 중 605부만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증분석은 유의수준 p<.05, p<.01, p<.001에서 검증 하였다.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집단 간의 인식의 차이를 확인 하였으며,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신뢰도, 건강기능식품 구입처별 신뢰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건강기능식품의 구매 경험은 식품·의약품업계군은 57%, 소비자군은 42.2%로 식품·의약품업계군의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차이에 대한 인식은 식품·의약품업계군은 84.5%, 소비자군의 경우 47.9%로 식품·의약품업계군이 더 높게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는 그 차이를 대부분 인식하고 있었다. 이밖에 향후 바뀌게 될 건강기능식품의 제형(형태) 확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해본 결과 식품·의약품업계군이 76.7%, 소비자군이 59.5%로 제품이 다양해져서 긍정적이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건강기능식품의 정보가 제공되는 홈페이지(hfoodi.kfda.go.kr)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식품·의약품업계군은 37.5%, 소비자군은 9.4%로 홈페이지에 대한 인식률은 크게 낮았다.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홍보 및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식품·의약품업계군은 36.5%, 소비자군은 12.3%만이 교육에 대해 보거나 들은 경험이 있다고 나타나,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효율적인 홍보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같이 본 연구를 통해 건강기능식품의 인식과 신뢰도는 식품·의약품업계군이 소비자군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인식이 높을수록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홍보 및 교육을 통한 인식의 개선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할 것으로 요구된다. 이로 인해 국내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최소화하고 건강긴능식품이 소비자들에겐 보다 체계적인 관리로 제공되어져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식품, 의약품과 명확히 구분되어진 하나의 전문분야로 성장되어지길 기대해본다.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의 전반적인 시장현황에 대해 2009년 4월 5일부터 5월 1일까지 약 1개월간 20세 이상 성인 남·녀의 직업군을 식품·의약품업계군(식품·의약품관련 기업, 식품·의약품 관련 공무원)과 소비자군(회사원, 자영업, 주부, 서비스직, 기타)으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설문지는 630부 중 식품·의약품관련업계군 300부, 소비자군에 330부를 서울,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지역으로 각각 배포하여, 그 중 605부만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증분석은 유의수준 p<.05, p<.01, p<.001에서 검증 하였다.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집단 간의 인식의 차이를 확인 하였으며,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신뢰도, 건강기능식품 구입처별 신뢰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건강기능식품의 구매 경험은 식품·의약품업계군은 57%, 소비자군은 42.2%로 식품·의약품업계군의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차이에 대한 인식은 식품·의약품업계군은 84.5%, 소비자군의 경우 47.9%로 식품·의약품업계군이 더 높게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는 그 차이를 대부분 인식하고 있었다. 이밖에 향후 바뀌게 될 건강기능식품의 제형(형태) 확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해본 결과 식품·의약품업계군이 76.7%, 소비자군이 59.5%로 제품이 다양해져서 긍정적이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건강기능식품의 정보가 제공되는 홈페이지(hfoodi.kfda.go.kr)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식품·의약품업계군은 37.5%, 소비자군은 9.4%로 홈페이지에 대한 인식률은 크게 낮았다.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홍보 및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식품·의약품업계군은 36.5%, 소비자군은 12.3%만이 교육에 대해 보거나 들은 경험이 있다고 나타나,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효율적인 홍보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같이 본 연구를 통해 건강기능식품의 인식과 신뢰도는 식품·의약품업계군이 소비자군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인식이 높을수록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홍보 및 교육을 통한 인식의 개선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할 것으로 요구된다. 이로 인해 국내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최소화하고 건강긴능식품이 소비자들에겐 보다 체계적인 관리로 제공되어져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식품, 의약품과 명확히 구분되어진 하나의 전문분야로 성장되어지길 기대해본다.
This study conducted and compared the survey of the present health functional food market status by classifying the men/women 20 ages over as the food/drug business area group (food/drug companies,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the customer group (business man, self-employed man, housewife...
This study conducted and compared the survey of the present health functional food market status by classifying the men/women 20 ages over as the food/drug business area group (food/drug companies,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the customer group (business man, self-employed man, housewife, services etc) for a month from April 5, 2009 to May 1, 2009. 300 survey copies of 630 were distributed to the food/drug related group and the other 330 copies were distributed to the customer group as Seoul, Kyungkido, Kangwondo, Choongchungnamdo, Choongchungbukdo, Kyungsangbukdo. Only 605 survey copies of 630 were used for analysis. The statistic was analyzed by SPSSWIN 12.0 software and the data verification were verified by the level of significance p<.05, p<.01, p<.001. I examined th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by using the analysis methods which are the Frequency Analysis, the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chose the One-way ANOVA in order to check the reliability rate for the functional food and providers. The experience rate for the functional food purchasing is 57% in the food/drug group and 42.2% in the general customer group so the food/drug group recorded the higher rate. Also 84.5% in the food/drug group recognized the differences of the functional food and the drug supplies, and 47.9% in the general customer recognized them. The most people in the groups still recognized the differences. For the extension of the functional food kind, 76.7% in the food/drug group and 59.5% in the general group have the affirmative view as the result in this study. However the recognition rate of the homepage (hfoodi.kfda.go.kr) is much low as 37.5% in the food/drug group and 9.4% in the general customer group. I believe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do the active supports and effective promotion and education because only 36.5% in the food/drug group and 12.3% in the general customer group experienced for the education or promotion of the functional food provided by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s a result, the recognition and reliability rate of the functional food were recorded higher in the food/drug group than the general customer group, and given that the higher recognition makes the better views for the functional food, I believe that the promotion and education activities have to be done more. By these results, I expect that by reducing the negative view for the local functional food, providing with the effective management to the customers, the functional food market is to be expended as a specific area separated from the food/drug market.
This study conducted and compared the survey of the present health functional food market status by classifying the men/women 20 ages over as the food/drug business area group (food/drug companies,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the customer group (business man, self-employed man, housewife, services etc) for a month from April 5, 2009 to May 1, 2009. 300 survey copies of 630 were distributed to the food/drug related group and the other 330 copies were distributed to the customer group as Seoul, Kyungkido, Kangwondo, Choongchungnamdo, Choongchungbukdo, Kyungsangbukdo. Only 605 survey copies of 630 were used for analysis. The statistic was analyzed by SPSSWIN 12.0 software and the data verification were verified by the level of significance p<.05, p<.01, p<.001. I examined th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by using the analysis methods which are the Frequency Analysis, the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chose the One-way ANOVA in order to check the reliability rate for the functional food and providers. The experience rate for the functional food purchasing is 57% in the food/drug group and 42.2% in the general customer group so the food/drug group recorded the higher rate. Also 84.5% in the food/drug group recognized the differences of the functional food and the drug supplies, and 47.9% in the general customer recognized them. The most people in the groups still recognized the differences. For the extension of the functional food kind, 76.7% in the food/drug group and 59.5% in the general group have the affirmative view as the result in this study. However the recognition rate of the homepage (hfoodi.kfda.go.kr) is much low as 37.5% in the food/drug group and 9.4% in the general customer group. I believe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do the active supports and effective promotion and education because only 36.5% in the food/drug group and 12.3% in the general customer group experienced for the education or promotion of the functional food provided by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s a result, the recognition and reliability rate of the functional food were recorded higher in the food/drug group than the general customer group, and given that the higher recognition makes the better views for the functional food, I believe that the promotion and education activities have to be done more. By these results, I expect that by reducing the negative view for the local functional food, providing with the effective management to the customers, the functional food market is to be expended as a specific area separated from the food/drug marke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