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간안정화란 자세를 유지하고, 기능적 움직임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뇌졸중환자의 체간안정성 약화는 자세조절을 어렵게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체간 안정화 운동 중 교각운동과 복근운동을 통하여 체간근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족저압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를 위해서였다. 뇌졸중으로 인한 ...
체간안정화란 자세를 유지하고, 기능적 움직임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뇌졸중환자의 체간안정성 약화는 자세조절을 어렵게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체간 안정화 운동 중 교각운동과 복근운동을 통하여 체간근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족저압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를 위해서였다.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로 진단을 받은 환자 27명을 무작위로 교각운동군 14명과 복근운동군 13명으로 나누어 주4회, 20분을 반복적용하여 8주동안 실시하였다. 족저압 측정은 부위별 마비측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의 최대압력값을 측정하고, Center of pressure(COP)이동거리를 측정하였고, 균형능력은 동요면적, 동요거리, 동요시 최대등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운동기간에 따른 개체-내 동요면적, 동요거리, 동요시 최대등속도 비교에서 교각운동군과 복근운동군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그룹-간 효과 검정해본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운동기간별 효과 크기는 운동전-운동4주후, 운동4주후-운동8주후, 운동전-운동8주후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2. 운동기간에 따른 개체-내 전족부 최대압력값은 교각운동군과 복근운동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운동기간별 효과의 크기에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중족부 최대압력값은 교각운동군과 복근운동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운동기간별 효과의 크기에서 운동4주후-운동8주후, 운동전-운동8주후에서 유의한 차이는 있었다(p<.05). 후족부 최대압력값은 교각운동군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복근운동군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치료기간별 효과의 크기는 운동전-운동8주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3. 운동기간에 따른 개체-내 압력중심이동거리는 교각운동군과 복근운동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운동기간별 효과의 크기에도 운동전-운동4주후, 운동전-운동8주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그룹간 효과검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상의 결과에서는 교각운동과 복근운동 모두에서 균형과 보행능력의 개선을 가져옴을 볼 수 있었다. 특히 교각운동이 복근운동보다 보행능력의 개선이 더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기에 자세조절과 균형에 연관된 체간안정성과 보행시 안정성을 필요로 하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적용하기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체간안정화란 자세를 유지하고, 기능적 움직임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뇌졸중환자의 체간안정성 약화는 자세조절을 어렵게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체간 안정화 운동 중 교각운동과 복근운동을 통하여 체간근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족저압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를 위해서였다.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로 진단을 받은 환자 27명을 무작위로 교각운동군 14명과 복근운동군 13명으로 나누어 주4회, 20분을 반복적용하여 8주동안 실시하였다. 족저압 측정은 부위별 마비측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의 최대압력값을 측정하고, Center of pressure(COP)이동거리를 측정하였고, 균형능력은 동요면적, 동요거리, 동요시 최대등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운동기간에 따른 개체-내 동요면적, 동요거리, 동요시 최대등속도 비교에서 교각운동군과 복근운동군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그룹-간 효과 검정해본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운동기간별 효과 크기는 운동전-운동4주후, 운동4주후-운동8주후, 운동전-운동8주후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2. 운동기간에 따른 개체-내 전족부 최대압력값은 교각운동군과 복근운동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운동기간별 효과의 크기에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중족부 최대압력값은 교각운동군과 복근운동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운동기간별 효과의 크기에서 운동4주후-운동8주후, 운동전-운동8주후에서 유의한 차이는 있었다(p<.05). 후족부 최대압력값은 교각운동군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복근운동군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치료기간별 효과의 크기는 운동전-운동8주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3. 운동기간에 따른 개체-내 압력중심이동거리는 교각운동군과 복근운동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운동기간별 효과의 크기에도 운동전-운동4주후, 운동전-운동8주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그룹간 효과검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상의 결과에서는 교각운동과 복근운동 모두에서 균형과 보행능력의 개선을 가져옴을 볼 수 있었다. 특히 교각운동이 복근운동보다 보행능력의 개선이 더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기에 자세조절과 균형에 연관된 체간안정성과 보행시 안정성을 필요로 하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적용하기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Core-stabilization is an essential factor for posture control and functional movement execution. Core-stabilization weakness causes difficulty in posture control among stroke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effects on foot pressure and balance by strengthening trunk muscles th...
Core-stabilization is an essential factor for posture control and functional movement execution. Core-stabilization weakness causes difficulty in posture control among stroke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effects on foot pressure and balance by strengthening trunk muscles through bridge exercises(BX) and crunch exercises(CX) in stroke patient's using the core stabilization exercise. A total of 28 subjects(n=28) who were diagnosed with hemiplegic caused by a stroke were randomly divided into groups BX (n=14) and CX(n=13) and each group executed the exercises 20 minutes a day, 4 times per week over an 8 week period. Foot pressure was measured on the fore, mid, and hind foot for peak pressure, and distance of center of pressure(COP). Balance was measured sway area, sway path, and max velo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exercise period(p<.05), sway area, sway path, and max velocity of BX and CX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group results. The effects of each exercise perio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re-after 4weeks, after 4weeks-after 8weeks and pre-after 8weeks(p<.05). 2. Peak pressure on the fore foo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not only for BX and CX but also among the exercise period differences. Peak pressure on the mid foot for BX and CX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exercise period(p<.05). The effects of each exercise perio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fter 4weeks-after 8weeks and pre-after 8weeks(p<.05). Peak pressure on the hind foot of BX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xercise period(p<.05), however there was not CX. The effects of each exercises perio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re-after 8weeks(p<.05). 3. According to exercise period(p<.05), COP distances of BX and CX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effects of each exercise perio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4weeks and pre-after 8weeks(p<.05).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sts of effects on between-groups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both BX and CX verified an improvement in balance and gait ability. Especially, since we confirmed BX is attributed more to gait ability than CX. This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on those stroke patients who need core-stabilization and gait stability.
Core-stabilization is an essential factor for posture control and functional movement execution. Core-stabilization weakness causes difficulty in posture control among stroke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effects on foot pressure and balance by strengthening trunk muscles through bridge exercises(BX) and crunch exercises(CX) in stroke patient's using the core stabilization exercise. A total of 28 subjects(n=28) who were diagnosed with hemiplegic caused by a stroke were randomly divided into groups BX (n=14) and CX(n=13) and each group executed the exercises 20 minutes a day, 4 times per week over an 8 week period. Foot pressure was measured on the fore, mid, and hind foot for peak pressure, and distance of center of pressure(COP). Balance was measured sway area, sway path, and max velo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exercise period(p<.05), sway area, sway path, and max velocity of BX and CX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group results. The effects of each exercise perio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re-after 4weeks, after 4weeks-after 8weeks and pre-after 8weeks(p<.05). 2. Peak pressure on the fore foo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not only for BX and CX but also among the exercise period differences. Peak pressure on the mid foot for BX and CX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exercise period(p<.05). The effects of each exercise perio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fter 4weeks-after 8weeks and pre-after 8weeks(p<.05). Peak pressure on the hind foot of BX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xercise period(p<.05), however there was not CX. The effects of each exercises perio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re-after 8weeks(p<.05). 3. According to exercise period(p<.05), COP distances of BX and CX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effects of each exercise perio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4weeks and pre-after 8weeks(p<.05).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sts of effects on between-groups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both BX and CX verified an improvement in balance and gait ability. Especially, since we confirmed BX is attributed more to gait ability than CX. This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on those stroke patients who need core-stabilization and gait stabil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