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남 지역에 생활하는 중학교 학생들이 학급담임교사의 상담활동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는 지를 알아보고, 원활한 상담활동 운영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급담임 교사와의 상담의 필요성에 대해 중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둘째, 학급담임 교사와의 상담 내용에 대해서 중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셋째, 학급담임 교사와의 상담 운영 전반에 대해서 중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넷째, 중학생들이 학급담임 교사와의 상담으로 얻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 담임교사와의 상담의 필요성에 있어 많은 학생들이 필요없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학년이 낮을수록, 담임선생님과의 친밀도가 낮을수록 상담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다. 담임선생님과 상담이 필요없다는 이유에는 ‘늘 똑같은 대답이 나오므로’,‘상담할 문제가 없어서’,‘나의 문제가 심하지 않아서’ 등의 응답이 나왔다. 둘째, 학급 담임교사와 가장 상담하고 싶은 내용에 관한 질문 결과, 1학년은 성적 문제 2학년은 진로문제 3학년은 진로문제에 높은 응답을 보였다. 셋째, 학급 담임교사와 상담이 필요한 학생은 누구인가에 대한 물음 결과 수업을 방해하는 학생, 왕따를 당하는 학생, ...
본 연구는 경남 지역에 생활하는 중학교 학생들이 학급담임교사의 상담활동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는 지를 알아보고, 원활한 상담활동 운영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급담임 교사와의 상담의 필요성에 대해 중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둘째, 학급담임 교사와의 상담 내용에 대해서 중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셋째, 학급담임 교사와의 상담 운영 전반에 대해서 중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넷째, 중학생들이 학급담임 교사와의 상담으로 얻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 담임교사와의 상담의 필요성에 있어 많은 학생들이 필요없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학년이 낮을수록, 담임선생님과의 친밀도가 낮을수록 상담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다. 담임선생님과 상담이 필요없다는 이유에는 ‘늘 똑같은 대답이 나오므로’,‘상담할 문제가 없어서’,‘나의 문제가 심하지 않아서’ 등의 응답이 나왔다. 둘째, 학급 담임교사와 가장 상담하고 싶은 내용에 관한 질문 결과, 1학년은 성적 문제 2학년은 진로문제 3학년은 진로문제에 높은 응답을 보였다. 셋째, 학급 담임교사와 상담이 필요한 학생은 누구인가에 대한 물음 결과 수업을 방해하는 학생, 왕따를 당하는 학생, 학교 폭력에 관련된 학생 순으로 응답이 나왔다. 또한 학급 담임교사가 주로 상담하는 학생이 누구인가에 대한 물음에 1학년은 수업을 방해하는 학생, 2학년은 수업을 방해하는 학생, 3학년은 성적이 떨어진 학생에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넷째, 학급 담임교사와의 상담 시 담임선생님의 가장 싫은 태도를 묻는 물음에 성적이 높은 편일 경우는 어른의 입장에서 나의 문제를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때에 가장 높은 응답률이 나온 반면 성적인 중간이거나 낮은 경우 학생의 인격을 무시할 때에 가장 높은 응답이 나왔다. 다섯째, 학급담임교사와 가장 상담하기 부담스러운 시간에 대한 물음에 방과 후가 가장 높은 응답이 나왔다. 여섯째, 학급 담임교사와 상담이 고민 해결에 도움이 되었는가에 대한 물음에 담임교사와 친밀도가 매우 높은 학생은 많은 도움이 되었다에 응답이 높았고, 담임교사와 친밀도가 매우 낮은 학생은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에 높은 응답률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급담임교사의 상담활동을 활성하하기 위해 몇 가지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담임교사는 상담의 중요성을 인식함과 동시에 원활한 상담을 진행할 수 있는 상담자로서의 전문적인 지식 습득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둘째, 학생들의 진로와 성적에 대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서 담임교사는 진로 선택에 대한 많은 자료와 지식의 습득 필요하며 성적과 관련 지어 올바른 학습 방법에 관련된 정보를 마련해야 한다. 셋째, 자신에게 열등감과 소외감을 느끼는 학생일수록 교사의 태도에 더 민감한 반응을 보이므로 담임교사는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소외감을 배려하는 상담이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넷째, 학급 담임교사와의 친밀도는 상담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이끌어 내므로 담임교사는 좀 더 적극적인 학급운영을 통해 학급 학생들과 친밀감 형성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경남 지역에 생활하는 중학교 학생들이 학급담임교사의 상담활동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는 지를 알아보고, 원활한 상담활동 운영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급담임 교사와의 상담의 필요성에 대해 중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둘째, 학급담임 교사와의 상담 내용에 대해서 중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셋째, 학급담임 교사와의 상담 운영 전반에 대해서 중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넷째, 중학생들이 학급담임 교사와의 상담으로 얻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 담임교사와의 상담의 필요성에 있어 많은 학생들이 필요없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학년이 낮을수록, 담임선생님과의 친밀도가 낮을수록 상담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다. 담임선생님과 상담이 필요없다는 이유에는 ‘늘 똑같은 대답이 나오므로’,‘상담할 문제가 없어서’,‘나의 문제가 심하지 않아서’ 등의 응답이 나왔다. 둘째, 학급 담임교사와 가장 상담하고 싶은 내용에 관한 질문 결과, 1학년은 성적 문제 2학년은 진로문제 3학년은 진로문제에 높은 응답을 보였다. 셋째, 학급 담임교사와 상담이 필요한 학생은 누구인가에 대한 물음 결과 수업을 방해하는 학생, 왕따를 당하는 학생, 학교 폭력에 관련된 학생 순으로 응답이 나왔다. 또한 학급 담임교사가 주로 상담하는 학생이 누구인가에 대한 물음에 1학년은 수업을 방해하는 학생, 2학년은 수업을 방해하는 학생, 3학년은 성적이 떨어진 학생에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넷째, 학급 담임교사와의 상담 시 담임선생님의 가장 싫은 태도를 묻는 물음에 성적이 높은 편일 경우는 어른의 입장에서 나의 문제를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때에 가장 높은 응답률이 나온 반면 성적인 중간이거나 낮은 경우 학생의 인격을 무시할 때에 가장 높은 응답이 나왔다. 다섯째, 학급담임교사와 가장 상담하기 부담스러운 시간에 대한 물음에 방과 후가 가장 높은 응답이 나왔다. 여섯째, 학급 담임교사와 상담이 고민 해결에 도움이 되었는가에 대한 물음에 담임교사와 친밀도가 매우 높은 학생은 많은 도움이 되었다에 응답이 높았고, 담임교사와 친밀도가 매우 낮은 학생은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에 높은 응답률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급담임교사의 상담활동을 활성하하기 위해 몇 가지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담임교사는 상담의 중요성을 인식함과 동시에 원활한 상담을 진행할 수 있는 상담자로서의 전문적인 지식 습득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둘째, 학생들의 진로와 성적에 대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서 담임교사는 진로 선택에 대한 많은 자료와 지식의 습득 필요하며 성적과 관련 지어 올바른 학습 방법에 관련된 정보를 마련해야 한다. 셋째, 자신에게 열등감과 소외감을 느끼는 학생일수록 교사의 태도에 더 민감한 반응을 보이므로 담임교사는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소외감을 배려하는 상담이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넷째, 학급 담임교사와의 친밀도는 상담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이끌어 내므로 담임교사는 좀 더 적극적인 학급운영을 통해 학급 학생들과 친밀감 형성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set research issues as follows to gain fundamental data to utilize management of consulting activities smoothly by figuring out how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nam-do recognize consulting activities of a teacher in charge of class. First, how middle school students think...
This study has set research issues as follows to gain fundamental data to utilize management of consulting activities smoothly by figuring out how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nam-do recognize consulting activities of a teacher in charge of class. First, how middle school students think the necessity of consulting with a homeroom teacher? Second, how middle school students think the contents of consulting with a teacher in charge of class? Third, how middle school students think the entire management of consulting with a homeroom teacher? Fourth, what middle school students would like to gain from consulting with a teacher in charge of class? The result of the study is like this if summarized. First, in the necessity of consulting with a homeroom teacher, an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think it as no need and this trend has been more strengthened in girl students than boy students, lower grades than higher grades, having a lower degree of intimacy with a homeroom teacher than having a higher degree of intimacy with a homeroom teacher. The reason that consulting with a homeroom teacher is not needed led to the response that 'Because it comes out the same answer all the time,' 'Because there is no problem to consult,' and 'Because my problem is not severe' and so on. Second, the question of what the contents of consulting with a homeroom teacher is led to a high response on record problems by the first grade, record problems by the second grade, and course problems by the third grade. Third, the question of who the most needy for consulting with a homeroom teacher is led to a response in order on students disturbing the class, students being bullied, students related with school violence as a result. Furthermore, the question of who the most frequent for consulting with a homeroom teacher is led to a high response on students disturbing the class by the first grade, students disturbing the class by the second grade, and students having fallen records by the third grade. Fourth, the question of what the most hateful attitude of your homeroom teacher during consulting with him or her is led to the higher response that in case of having high records, the homeroom teacher may think my problem a trivial one as such an adult and that in case of having middle or low records, the homeroom teacher may ignore the student's character. Fifth, the question of when the most burdensome time of consulting with your teacher in charge of class is led to the higher response on the time after school. Six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onsulting with your homeroom teacher helps solving the concerns led to the higher response that students who had a very high degree of intimacy with a teacher in charge of class were helped a lot and vise versa, that students who had a very low degree of intimacy with a teacher in charge of class were highly helped. Based on the outcome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several plans to vitalize consulting activities of a teacher in charge of class as follows. First, a homeroom teacher should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onsulting and at the same time, should be necessary to acquire professional knowledge as a consultant to proceed smooth consulting. Second, in order to solve the concerns on courses and records of students, a teacher in charge of class should learn more data and knowledge over the selection of courses and prepare for information related with right learning method regarding to records. Third, as the students who feel inferiority and a sense of alienation to themselves show more sensitive response to the attitude of teachers, a homeroom teacher has to try proceeding consulting on students' stress and a sense of alienation with a considerate mind. Fourth, a homeroom teacher should make an effort on forming a degree of intimacy with class mates through more aggressive management on class, as it with a teacher in charge of class positively draws the effect of consulting.
This study has set research issues as follows to gain fundamental data to utilize management of consulting activities smoothly by figuring out how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nam-do recognize consulting activities of a teacher in charge of class. First, how middle school students think the necessity of consulting with a homeroom teacher? Second, how middle school students think the contents of consulting with a teacher in charge of class? Third, how middle school students think the entire management of consulting with a homeroom teacher? Fourth, what middle school students would like to gain from consulting with a teacher in charge of class? The result of the study is like this if summarized. First, in the necessity of consulting with a homeroom teacher, an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think it as no need and this trend has been more strengthened in girl students than boy students, lower grades than higher grades, having a lower degree of intimacy with a homeroom teacher than having a higher degree of intimacy with a homeroom teacher. The reason that consulting with a homeroom teacher is not needed led to the response that 'Because it comes out the same answer all the time,' 'Because there is no problem to consult,' and 'Because my problem is not severe' and so on. Second, the question of what the contents of consulting with a homeroom teacher is led to a high response on record problems by the first grade, record problems by the second grade, and course problems by the third grade. Third, the question of who the most needy for consulting with a homeroom teacher is led to a response in order on students disturbing the class, students being bullied, students related with school violence as a result. Furthermore, the question of who the most frequent for consulting with a homeroom teacher is led to a high response on students disturbing the class by the first grade, students disturbing the class by the second grade, and students having fallen records by the third grade. Fourth, the question of what the most hateful attitude of your homeroom teacher during consulting with him or her is led to the higher response that in case of having high records, the homeroom teacher may think my problem a trivial one as such an adult and that in case of having middle or low records, the homeroom teacher may ignore the student's character. Fifth, the question of when the most burdensome time of consulting with your teacher in charge of class is led to the higher response on the time after school. Six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onsulting with your homeroom teacher helps solving the concerns led to the higher response that students who had a very high degree of intimacy with a teacher in charge of class were helped a lot and vise versa, that students who had a very low degree of intimacy with a teacher in charge of class were highly helped. Based on the outcome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several plans to vitalize consulting activities of a teacher in charge of class as follows. First, a homeroom teacher should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onsulting and at the same time, should be necessary to acquire professional knowledge as a consultant to proceed smooth consulting. Second, in order to solve the concerns on courses and records of students, a teacher in charge of class should learn more data and knowledge over the selection of courses and prepare for information related with right learning method regarding to records. Third, as the students who feel inferiority and a sense of alienation to themselves show more sensitive response to the attitude of teachers, a homeroom teacher has to try proceeding consulting on students' stress and a sense of alienation with a considerate mind. Fourth, a homeroom teacher should make an effort on forming a degree of intimacy with class mates through more aggressive management on class, as it with a teacher in charge of class positively draws the effect of consulting.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