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기업 지원 사업은 ‘04년부터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산업발전은 물론, 교육 및 연구발전에 틀을 구성하고 경쟁력을 갖추어 가는데 기여할 수 있는 우수인재 양성과 산업체 등으로의 기술이전을 촉진하고 학교기업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을 통한 대학의 재정수익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많은 지원이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학교기업 운영에 필요한 조직, 재정, 사업내용 및 결과에 대한 현황을 파악한 후 분석,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 및 지원 방안을 도출하여 이론적인 논리와 더불어 학교기업 현장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여러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까지 각각의 학교기업의 목적 및 운영형태에 따라 교육에 목표를 우선에 둔 유형과 경제적 목표에 우선을 둔 유형을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학교기업의 의의와 유형, 국내·외 학교기업 사례, 학교기업 지원사업을 위한 재정 및 정부 지원 현황과 운영방향을 순차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증분석의 대상 자료로는 교육과학기술부, 평생직업교육국 등의 정부기관의 자료와 국내 대학에 재직하고 있는 교수 및 학생들을 통해 어려운 사항들을 발췌하여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학교기업의 운영 모델을 교육형과 수익형을 중심으로 구분하였으며 이에 따른 문제점 개선 대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우선 학교기업이 학교에서 흥미 있는 프로젝트가 되기 위해서 교육과 일에 대한 새로운 비젼을 제시하여야 하고, 교사와 교과과정에 대한 투자와 융통성을 가질 수 있는 관련 행정규제를 정비하며, 수행평가를 위한 엄정한 기준과 절차의 마련 등이 요구된다. 둘째, 학교기업은 직업기술교육을 수행하는 학교 교육의 전체적인 맥락에서 고려하여 개설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학교기업에서의 교육적 효과는 학교의 전체 교육과정의 일부분으로서 적절한 균형과 조화를 이루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셋째, 학교기업은 도입목적이나 도입하고자 하는 교육기관의 성격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을 수 있다. 대체적으로 고등학교 수준에서는 학생들에게 ...
학교기업 지원 사업은 ‘04년부터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산업발전은 물론, 교육 및 연구발전에 틀을 구성하고 경쟁력을 갖추어 가는데 기여할 수 있는 우수인재 양성과 산업체 등으로의 기술이전을 촉진하고 학교기업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을 통한 대학의 재정수익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많은 지원이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학교기업 운영에 필요한 조직, 재정, 사업내용 및 결과에 대한 현황을 파악한 후 분석,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 및 지원 방안을 도출하여 이론적인 논리와 더불어 학교기업 현장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여러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까지 각각의 학교기업의 목적 및 운영형태에 따라 교육에 목표를 우선에 둔 유형과 경제적 목표에 우선을 둔 유형을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학교기업의 의의와 유형, 국내·외 학교기업 사례, 학교기업 지원사업을 위한 재정 및 정부 지원 현황과 운영방향을 순차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증분석의 대상 자료로는 교육과학기술부, 평생직업교육국 등의 정부기관의 자료와 국내 대학에 재직하고 있는 교수 및 학생들을 통해 어려운 사항들을 발췌하여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학교기업의 운영 모델을 교육형과 수익형을 중심으로 구분하였으며 이에 따른 문제점 개선 대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우선 학교기업이 학교에서 흥미 있는 프로젝트가 되기 위해서 교육과 일에 대한 새로운 비젼을 제시하여야 하고, 교사와 교과과정에 대한 투자와 융통성을 가질 수 있는 관련 행정규제를 정비하며, 수행평가를 위한 엄정한 기준과 절차의 마련 등이 요구된다. 둘째, 학교기업은 직업기술교육을 수행하는 학교 교육의 전체적인 맥락에서 고려하여 개설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학교기업에서의 교육적 효과는 학교의 전체 교육과정의 일부분으로서 적절한 균형과 조화를 이루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셋째, 학교기업은 도입목적이나 도입하고자 하는 교육기관의 성격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을 수 있다. 대체적으로 고등학교 수준에서는 학생들에게 현장실습 경험을 제공하는데 일차적 목적을 둔 학교기업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대학 수준에서도 학생의 현장실습 교육이 강조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교육기관에 따라서는 재정적 수입이 중요한 동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앞에서 말한 연구결과는 그동안 학교기업 발전방안 및 제도개선 등의 많은 논의가 학문적으로 전개되었으며,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으나, 아직 우리나라의 학교기업지원사업은 기초단계에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이번 연구는 학교기업지원사업의 운영현황을 전반적으로 분석하여 학교기업과 관련한 관계자 모두에게 실용적 자료로 제공되었다는 의미도 부각되고 있어 학교기업의 효율적인 운영 및 발전에 초석이 될 것이다.
학교기업 지원 사업은 ‘04년부터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산업발전은 물론, 교육 및 연구발전에 틀을 구성하고 경쟁력을 갖추어 가는데 기여할 수 있는 우수인재 양성과 산업체 등으로의 기술이전을 촉진하고 학교기업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을 통한 대학의 재정수익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많은 지원이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학교기업 운영에 필요한 조직, 재정, 사업내용 및 결과에 대한 현황을 파악한 후 분석,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 및 지원 방안을 도출하여 이론적인 논리와 더불어 학교기업 현장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여러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까지 각각의 학교기업의 목적 및 운영형태에 따라 교육에 목표를 우선에 둔 유형과 경제적 목표에 우선을 둔 유형을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학교기업의 의의와 유형, 국내·외 학교기업 사례, 학교기업 지원사업을 위한 재정 및 정부 지원 현황과 운영방향을 순차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증분석의 대상 자료로는 교육과학기술부, 평생직업교육국 등의 정부기관의 자료와 국내 대학에 재직하고 있는 교수 및 학생들을 통해 어려운 사항들을 발췌하여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학교기업의 운영 모델을 교육형과 수익형을 중심으로 구분하였으며 이에 따른 문제점 개선 대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우선 학교기업이 학교에서 흥미 있는 프로젝트가 되기 위해서 교육과 일에 대한 새로운 비젼을 제시하여야 하고, 교사와 교과과정에 대한 투자와 융통성을 가질 수 있는 관련 행정규제를 정비하며, 수행평가를 위한 엄정한 기준과 절차의 마련 등이 요구된다. 둘째, 학교기업은 직업기술교육을 수행하는 학교 교육의 전체적인 맥락에서 고려하여 개설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학교기업에서의 교육적 효과는 학교의 전체 교육과정의 일부분으로서 적절한 균형과 조화를 이루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셋째, 학교기업은 도입목적이나 도입하고자 하는 교육기관의 성격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을 수 있다. 대체적으로 고등학교 수준에서는 학생들에게 현장실습 경험을 제공하는데 일차적 목적을 둔 학교기업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대학 수준에서도 학생의 현장실습 교육이 강조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교육기관에 따라서는 재정적 수입이 중요한 동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앞에서 말한 연구결과는 그동안 학교기업 발전방안 및 제도개선 등의 많은 논의가 학문적으로 전개되었으며,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으나, 아직 우리나라의 학교기업지원사업은 기초단계에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이번 연구는 학교기업지원사업의 운영현황을 전반적으로 분석하여 학교기업과 관련한 관계자 모두에게 실용적 자료로 제공되었다는 의미도 부각되고 있어 학교기업의 효율적인 운영 및 발전에 초석이 될 것이다.
Since 2004, School-based enterprise has been much supported in a way to contribute to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it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which can form the framework of education and research improvements, and to the industry of South Korea. It has also helped to accelerate the tech...
Since 2004, School-based enterprise has been much supported in a way to contribute to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it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which can form the framework of education and research improvements, and to the industry of South Korea. It has also helped to accelerate the technology transfer to industry and increase the revenue for universities. In this study, we take approaches to the problems of School-based enterprise through identifying the status of its organizations, finances, contents and results of projects, which are needed for the operation. Then we show the measures for improvement and support plan with theoretical background, which can be used practically in a field of School-based enterprise.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wo types of the enterprise, depending on whether the main purpose of it is finance or education, were separately analyz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we inquired into the types, practices, and revenue of the School-based enterprise, as well as the support status and the operating direction of government. We used the publications issued by government organiza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s the research material for a demonstration analysis. We also listened attentively to the opinions of the professors and stud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the ways for improvement of the problems on each types of the School-based enterprise, education type and finance type,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based enterprise needs to suggest the new visions for education and work in order to be attractive. In addition, investment on teachers and academic programs, maintenance of administrative regulations with enhanced flexibility, preparation of strict standards and procedures for evaluation system are required. Second, the School-based enterprise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on the basis of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Its educational effect should be organized in harmony with the overall academic programs of the school. Finally, there are various types of the School-based enterprise depending on the introduction purpose and the nature of educational institution. On the whole, the School-based enterprise in high school should provide its students with more access to the experience of fieldwork as a primary purpose. In university, on the other hand, although fieldwork education is still important, the School-based enterprise may be introduced on financial grounds. The School-based enterprise of South Korea is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while a lot of issues including reformation of the system and improvement plan have been discussed academically so far. Since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hrough the overall investigation on the status of operation, we expect it is helpful for those who concerns School-based enterprise to take little steps forward.
Since 2004, School-based enterprise has been much supported in a way to contribute to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it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which can form the framework of education and research improvements, and to the industry of South Korea. It has also helped to accelerate the technology transfer to industry and increase the revenue for universities. In this study, we take approaches to the problems of School-based enterprise through identifying the status of its organizations, finances, contents and results of projects, which are needed for the operation. Then we show the measures for improvement and support plan with theoretical background, which can be used practically in a field of School-based enterprise.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wo types of the enterprise, depending on whether the main purpose of it is finance or education, were separately analyz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we inquired into the types, practices, and revenue of the School-based enterprise, as well as the support status and the operating direction of government. We used the publications issued by government organiza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s the research material for a demonstration analysis. We also listened attentively to the opinions of the professors and stud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the ways for improvement of the problems on each types of the School-based enterprise, education type and finance type,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based enterprise needs to suggest the new visions for education and work in order to be attractive. In addition, investment on teachers and academic programs, maintenance of administrative regulations with enhanced flexibility, preparation of strict standards and procedures for evaluation system are required. Second, the School-based enterprise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on the basis of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Its educational effect should be organized in harmony with the overall academic programs of the school. Finally, there are various types of the School-based enterprise depending on the introduction purpose and the nature of educational institution. On the whole, the School-based enterprise in high school should provide its students with more access to the experience of fieldwork as a primary purpose. In university, on the other hand, although fieldwork education is still important, the School-based enterprise may be introduced on financial grounds. The School-based enterprise of South Korea is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while a lot of issues including reformation of the system and improvement plan have been discussed academically so far. Since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hrough the overall investigation on the status of operation, we expect it is helpful for those who concerns School-based enterprise to take little steps forwar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