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뇌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실어증은 언어 이해와 표현 등 다양한 언어 영역에서 오류를 보여 원활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갖게 한다. 실어증을 대뇌 손상 영역이나 언어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지만, 언어적 특성 중 유창성(fluency)에 따라 비유창성 실어증과 유창성 실어증으로 나눌 수 있다.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두드러진 언어적 특징은 청각적 이해력에 비해 말의 유창성이 크게 저하된다는 것이다. 또한 다른 유형의 실어증 환자에게서도 흔히 관찰될 수 있는 낱말 이름대기(anomia), 또는 낱말 찾기(world finding)에서의 어려움을 보이며, ...
대뇌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실어증은 언어 이해와 표현 등 다양한 언어 영역에서 오류를 보여 원활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갖게 한다. 실어증을 대뇌 손상 영역이나 언어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지만, 언어적 특성 중 유창성(fluency)에 따라 비유창성 실어증과 유창성 실어증으로 나눌 수 있다.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두드러진 언어적 특징은 청각적 이해력에 비해 말의 유창성이 크게 저하된다는 것이다. 또한 다른 유형의 실어증 환자에게서도 흔히 관찰될 수 있는 낱말 이름대기(anomia), 또는 낱말 찾기(world finding)에서의 어려움을 보이며, 문법 형태소를 생략하는 전보식(telegraphic) 문장의 산출을 흔하게 볼 수 있다.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들의 문장 산출의 오류를 줄이고, 표현 능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언어치료 접근법이 제시되었고 그 효과도 검증되었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를 이용한 언어치료를 통해 실어증 환자의 문장 표현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검증하는 선행 연구는 없지만, PDA를 실어증 환자의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도구로서 사용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에게 PDA를 이용하여 기능적 언어 치료를 실시하였을 때 문장 표현 능력이 향상되는지를 검증해 봄으로써 실어증 환자의 언어치료에 있어서 PDA의 유용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비유창성 유형의 실어증 환자 3명을 대상으로 PDA 이토키(e-Talki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장 표현 훈련을 실시하였을 때 문장 표현 능력이 어느 정도 향상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예비연구 단계, 대상자 모집 및 선정 단계, 기초선 단계, 중재 단계, 일반화 단계, 유지 단계로 이루어 졌으며 중재는 주 5회 실시하였다. 실험 장소는 PDA의 이동 가능성 측면을 활용하여 제약을 두지 않고 환자와 직접 상의하여 선정하였다. 실험 설계는 단일대상연구 방법 중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 문장 선정은 기초선 평가 실시 전에 보호자 및 환자와 초기 면담을 통해 환자가 평소 필요성을 느끼고 흥미와, 의욕을 갖고 있는 두 개의 카테고리를 선정한 후 문장 12개를 선정하였다. 중재 전 매 회기 PDA 화면을 통한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중재는 일반 중재와 상황 중재로 구성되어 진행 되었다. 기초선 단계와 중재 단계에서 향상된 문장 표현 능력이 중재 되지 않은 문장에서도 일반화 되어 나타나는지 평가하였다. 유지 단계는 중재 종결 후 2주간의 휴지기간을 거친 후 연속해서 3회기 동안 중재에 대한 유지 효과와 일반화 문장에 대한 유지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DA를 이용한 기능적 언어치료를 실시한 결과 대상자 세 명 모두 문장 표현 능력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PDA 이토키를 이용한 기능적 언어치료가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문장 표현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초선 단계와 중재 단계, 유지 단계에서 일반화를 측정한 결과 중재 되지 않은 문장에서도 반응일반화가 되었다. 따라서 PDA 이토키를 이용한 기능적 언어치료가 중재 되지 않은 문장의 표현 능력 향상에도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재 종결 이후 2주간의 휴지기간을 거친 뒤 실시 된 유지 측정에서 대상자 3명 모두 향상 된 문장 표현 능력이 유지되었고 일반화 문장의 표현 능력도 유지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언어치료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기존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PDA를 이용한 언어치료가 문장 표현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PDA를 이용한 언어치료에 대한 연구와 그 검증이 없는 상황에서 이러한 결과는 임상적으로 의의가 있다. 또한 PDA가 언어치료의 보조적인 도구로서 의미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실어증 환자의 의사소통 및 표현 능력을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 되었던 종이, 그림, 사진 대신 애니메이션, 음성, 텍스트 등의 다중 양식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 문장 표현 능력 향상을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PDA는 언어치료의 효과성을 극대화시키는 도구로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PDA로 언어치료를 할 때 언어치료사의 역할 또한 환자들의 문장 표현 능력 향상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사료되며, PDA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한 기능적이고 개별화된 중재가 실어증 환자의 문장 표현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대뇌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실어증은 언어 이해와 표현 등 다양한 언어 영역에서 오류를 보여 원활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갖게 한다. 실어증을 대뇌 손상 영역이나 언어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지만, 언어적 특성 중 유창성(fluency)에 따라 비유창성 실어증과 유창성 실어증으로 나눌 수 있다.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두드러진 언어적 특징은 청각적 이해력에 비해 말의 유창성이 크게 저하된다는 것이다. 또한 다른 유형의 실어증 환자에게서도 흔히 관찰될 수 있는 낱말 이름대기(anomia), 또는 낱말 찾기(world finding)에서의 어려움을 보이며, 문법 형태소를 생략하는 전보식(telegraphic) 문장의 산출을 흔하게 볼 수 있다.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들의 문장 산출의 오류를 줄이고, 표현 능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언어치료 접근법이 제시되었고 그 효과도 검증되었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를 이용한 언어치료를 통해 실어증 환자의 문장 표현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검증하는 선행 연구는 없지만, PDA를 실어증 환자의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도구로서 사용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에게 PDA를 이용하여 기능적 언어 치료를 실시하였을 때 문장 표현 능력이 향상되는지를 검증해 봄으로써 실어증 환자의 언어치료에 있어서 PDA의 유용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비유창성 유형의 실어증 환자 3명을 대상으로 PDA 이토키(e-Talki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장 표현 훈련을 실시하였을 때 문장 표현 능력이 어느 정도 향상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예비연구 단계, 대상자 모집 및 선정 단계, 기초선 단계, 중재 단계, 일반화 단계, 유지 단계로 이루어 졌으며 중재는 주 5회 실시하였다. 실험 장소는 PDA의 이동 가능성 측면을 활용하여 제약을 두지 않고 환자와 직접 상의하여 선정하였다. 실험 설계는 단일대상연구 방법 중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 문장 선정은 기초선 평가 실시 전에 보호자 및 환자와 초기 면담을 통해 환자가 평소 필요성을 느끼고 흥미와, 의욕을 갖고 있는 두 개의 카테고리를 선정한 후 문장 12개를 선정하였다. 중재 전 매 회기 PDA 화면을 통한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중재는 일반 중재와 상황 중재로 구성되어 진행 되었다. 기초선 단계와 중재 단계에서 향상된 문장 표현 능력이 중재 되지 않은 문장에서도 일반화 되어 나타나는지 평가하였다. 유지 단계는 중재 종결 후 2주간의 휴지기간을 거친 후 연속해서 3회기 동안 중재에 대한 유지 효과와 일반화 문장에 대한 유지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DA를 이용한 기능적 언어치료를 실시한 결과 대상자 세 명 모두 문장 표현 능력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PDA 이토키를 이용한 기능적 언어치료가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문장 표현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초선 단계와 중재 단계, 유지 단계에서 일반화를 측정한 결과 중재 되지 않은 문장에서도 반응일반화가 되었다. 따라서 PDA 이토키를 이용한 기능적 언어치료가 중재 되지 않은 문장의 표현 능력 향상에도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재 종결 이후 2주간의 휴지기간을 거친 뒤 실시 된 유지 측정에서 대상자 3명 모두 향상 된 문장 표현 능력이 유지되었고 일반화 문장의 표현 능력도 유지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언어치료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기존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PDA를 이용한 언어치료가 문장 표현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PDA를 이용한 언어치료에 대한 연구와 그 검증이 없는 상황에서 이러한 결과는 임상적으로 의의가 있다. 또한 PDA가 언어치료의 보조적인 도구로서 의미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실어증 환자의 의사소통 및 표현 능력을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 되었던 종이, 그림, 사진 대신 애니메이션, 음성, 텍스트 등의 다중 양식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 문장 표현 능력 향상을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PDA는 언어치료의 효과성을 극대화시키는 도구로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PDA로 언어치료를 할 때 언어치료사의 역할 또한 환자들의 문장 표현 능력 향상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사료되며, PDA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한 기능적이고 개별화된 중재가 실어증 환자의 문장 표현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Aphasia caused by cerebral damage shows errors in various language areas such as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language, so it has difficulties in smooth communication.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nonfluent aphasia show low speaking fluency compared to auditory understanding, difficulties in ano...
Aphasia caused by cerebral damage shows errors in various language areas such as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language, so it has difficulties in smooth communication.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nonfluent aphasia show low speaking fluency compared to auditory understanding, difficulties in anomia or word finding, and telegraphic sentences without grammar morpheme. Although various language therapy approaches to reduce errors of sentences of patients with nonfluent aphasia and promote their expression skills are suggested and the effects are verified, there is no precedent study that verifies improvements in sentence expression ability of patients with nonfluent aphasia through speech therapy using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effects of PDA in terms of speech therapy of patients with aphasia by verifying how much sentence expression skills of patients with nonfluent aphasia are improved with functional language treatment using PDA.
It examined improvements in sentence expression ability with the PDA e-Talkie program by targeting three patients with nonfluent aphasia.
This test was conducted five times a week, and the test place was selected under the negotiation with the patients without limitation by considering mobility of PDA. For the test design,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the participants among single subject study methods was used. With regards to intervention sentences, two categories that patients feel the need and interest in were selected through the early interview of caregivers and patients before baseline analysis, and then 12 sentences were selected. Pre-test of intervention was made, and interventions were divided into general intervention and situational intervention. The study evaluated whether improved sentence expression skills are generalized even in the sentences without intervention, as well as maintaining effects of intervention throughout the two-week dead time after interven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functional language therapy using PDA shows that three subjects’ sentence expression skills have been improved.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generalization at the baseline stage, the intervention stage, and the maintaining stage, sentences without intervention become generalized reaction. Third, three subjects maintain improved sentence expression ability at the maintaining measurement throughout a two-week dead time after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findings above, language treatment using PDA is effective in improving sentence expression ability like existing studies. Therefore, the results are empirically meaningful in that there aren’t sufficient studies and verification on language therapy using PDA. Multiple ways such as animation, sound, and text instead of paper, drawing, and photo to promote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skills of patients with aphasia were used, and the result showed improvements in sentence expression skills. Therefore, PDA is meaningful as a tool to maximize the effects of speech therapy and as a support tool of speech therapy. This study finds out that language therapists’ role also affects improvements in patients’ sentence expression skills when treating language therapy using PDA. In addition, functional and individualized intervention using PDA advantages i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sentence expression of patients with aphasia.
Aphasia caused by cerebral damage shows errors in various language areas such as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language, so it has difficulties in smooth communication.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nonfluent aphasia show low speaking fluency compared to auditory understanding, difficulties in anomia or word finding, and telegraphic sentences without grammar morpheme. Although various language therapy approaches to reduce errors of sentences of patients with nonfluent aphasia and promote their expression skills are suggested and the effects are verified, there is no precedent study that verifies improvements in sentence expression ability of patients with nonfluent aphasia through speech therapy using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effects of PDA in terms of speech therapy of patients with aphasia by verifying how much sentence expression skills of patients with nonfluent aphasia are improved with functional language treatment using PDA.
It examined improvements in sentence expression ability with the PDA e-Talkie program by targeting three patients with nonfluent aphasia.
This test was conducted five times a week, and the test place was selected under the negotiation with the patients without limitation by considering mobility of PDA. For the test design,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the participants among single subject study methods was used. With regards to intervention sentences, two categories that patients feel the need and interest in were selected through the early interview of caregivers and patients before baseline analysis, and then 12 sentences were selected. Pre-test of intervention was made, and interventions were divided into general intervention and situational intervention. The study evaluated whether improved sentence expression skills are generalized even in the sentences without intervention, as well as maintaining effects of intervention throughout the two-week dead time after interven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functional language therapy using PDA shows that three subjects’ sentence expression skills have been improved.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generalization at the baseline stage, the intervention stage, and the maintaining stage, sentences without intervention become generalized reaction. Third, three subjects maintain improved sentence expression ability at the maintaining measurement throughout a two-week dead time after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findings above, language treatment using PDA is effective in improving sentence expression ability like existing studies. Therefore, the results are empirically meaningful in that there aren’t sufficient studies and verification on language therapy using PDA. Multiple ways such as animation, sound, and text instead of paper, drawing, and photo to promote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skills of patients with aphasia were used, and the result showed improvements in sentence expression skills. Therefore, PDA is meaningful as a tool to maximize the effects of speech therapy and as a support tool of speech therapy. This study finds out that language therapists’ role also affects improvements in patients’ sentence expression skills when treating language therapy using PDA. In addition, functional and individualized intervention using PDA advantages i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sentence expression of patients with aphasia.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