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는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을 구조화한 교수 및 학습활동의 기본 도서이다. 교과서가 다른 학술 서적이나 대중도서 등과 다른 점은 저자의 의사가 아니라 국가가 정한 교육과정에 충실하게 제작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통제 하에 이루어지는 획일화된 지식을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밖에 없다는 비판의 여지가 있다. 그렇지만 교과서는 역사적 지식 체계를 쉽고 명확하고 간결하게 편집하여 만든 것으로서, 교육현장에서 수많은 역사적 사실들을 짧은 시간 내에 체계적으로 가르칠 수 없다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극...
교과서는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을 구조화한 교수 및 학습활동의 기본 도서이다. 교과서가 다른 학술 서적이나 대중도서 등과 다른 점은 저자의 의사가 아니라 국가가 정한 교육과정에 충실하게 제작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통제 하에 이루어지는 획일화된 지식을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밖에 없다는 비판의 여지가 있다. 그렇지만 교과서는 역사적 지식 체계를 쉽고 명확하고 간결하게 편집하여 만든 것으로서, 교육현장에서 수많은 역사적 사실들을 짧은 시간 내에 체계적으로 가르칠 수 없다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매우 유용한 것 또한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과서가 아닌 다른 대체자원을 찾는 것보다 주어진 교과서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 제시가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 17세기정치를 이끈 주요 사건 내지 쟁점인 인조반정, 북벌론, 예송논쟁을 중심으로 7차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서술을 분석을 하고 이에 따라 서술개선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17세기 정치 중 인조~현종까지가 비교적 서인과 남인의 공론이 잘 지켜졌다는 긍정적인 시대라고 볼 때, 인조반정은 그 서막을 알리는 사건이었고 예송논쟁은 그 공론의 중심에 있었던 대표적인 쟁점이었다. 그리고 북벌론은 호란에 의해 일정부분 퇴색되었던 친명배금이라는 인조반정의 명분을 지키고자 시도했던 것으로 의미가 있다. 우선 7차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에 나타난 인조반정, 북벌론, 예송논쟁의 서술 체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치사에서 사건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에서는 이를 소홀이 다루고 있으며, 그 내용 또한 흩어져 있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이 사건 들은 하나의 주제아래 묶어야할 필요가 있었다. 다음으로 인조반정, 북벌론, 예송논쟁에 대한 현 단계까지의 연구 성과를 기초로 하여 교과서 서술내용을 분석하였는데 이들 내용을 각각 살펴보면 대체로 단순한 사실만 나열하여 역사적 사고력을 요구하는 역사교육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교과서 서술이 하나의 설득력 있는 해석으로 보여 지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매우 부족한 서술을 보였다. 이에 대한 서술개선은 종합적인 서술을 지향하고 역사적 사고력과 설득력 있는 내용구성이라는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즉 흩어져 있던 내용을 하나의 주제아래 묶어 서술했고, 역사적사고력을 위해 인과관계적인 서술을 지향했으며, <생각해봅시다!!>라는 것을 만들어 학생 스스로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설득력 있는 내용구성을 위해 최신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한 시대에 허용되는 각각의 개별적인 사건들은 그 시대를 아우르는 공통된 시대적 의미와 성격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사건의 인과관계, 서로간의 관련성이 이러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정치사가 전근대사회에서 그 시대를 종합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는 부분이라고 할 때 사건은 그 중심이기 때문에 비중 있게 다루어져야 한다. 중요한 역사적 사건을 학생들에게 제대로 전달하려면 우선 국사교과서의 서술이 사건의 원인과 결과를 제시하고 그 속에서 의미와 가치를 찾을 수 있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그리고 교사는 단순히 이러한 각각의 개별적인 사건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데서 그칠 것이 아니라 각 개별 사건들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관련성, 인과관계를 설명해야 할 것이다.
교과서는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을 구조화한 교수 및 학습활동의 기본 도서이다. 교과서가 다른 학술 서적이나 대중도서 등과 다른 점은 저자의 의사가 아니라 국가가 정한 교육과정에 충실하게 제작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통제 하에 이루어지는 획일화된 지식을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밖에 없다는 비판의 여지가 있다. 그렇지만 교과서는 역사적 지식 체계를 쉽고 명확하고 간결하게 편집하여 만든 것으로서, 교육현장에서 수많은 역사적 사실들을 짧은 시간 내에 체계적으로 가르칠 수 없다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매우 유용한 것 또한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과서가 아닌 다른 대체자원을 찾는 것보다 주어진 교과서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 제시가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 17세기정치를 이끈 주요 사건 내지 쟁점인 인조반정, 북벌론, 예송논쟁을 중심으로 7차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서술을 분석을 하고 이에 따라 서술개선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17세기 정치 중 인조~현종까지가 비교적 서인과 남인의 공론이 잘 지켜졌다는 긍정적인 시대라고 볼 때, 인조반정은 그 서막을 알리는 사건이었고 예송논쟁은 그 공론의 중심에 있었던 대표적인 쟁점이었다. 그리고 북벌론은 호란에 의해 일정부분 퇴색되었던 친명배금이라는 인조반정의 명분을 지키고자 시도했던 것으로 의미가 있다. 우선 7차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에 나타난 인조반정, 북벌론, 예송논쟁의 서술 체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치사에서 사건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에서는 이를 소홀이 다루고 있으며, 그 내용 또한 흩어져 있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이 사건 들은 하나의 주제아래 묶어야할 필요가 있었다. 다음으로 인조반정, 북벌론, 예송논쟁에 대한 현 단계까지의 연구 성과를 기초로 하여 교과서 서술내용을 분석하였는데 이들 내용을 각각 살펴보면 대체로 단순한 사실만 나열하여 역사적 사고력을 요구하는 역사교육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교과서 서술이 하나의 설득력 있는 해석으로 보여 지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매우 부족한 서술을 보였다. 이에 대한 서술개선은 종합적인 서술을 지향하고 역사적 사고력과 설득력 있는 내용구성이라는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즉 흩어져 있던 내용을 하나의 주제아래 묶어 서술했고, 역사적사고력을 위해 인과관계적인 서술을 지향했으며, <생각해봅시다!!>라는 것을 만들어 학생 스스로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설득력 있는 내용구성을 위해 최신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한 시대에 허용되는 각각의 개별적인 사건들은 그 시대를 아우르는 공통된 시대적 의미와 성격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사건의 인과관계, 서로간의 관련성이 이러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정치사가 전근대사회에서 그 시대를 종합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는 부분이라고 할 때 사건은 그 중심이기 때문에 비중 있게 다루어져야 한다. 중요한 역사적 사건을 학생들에게 제대로 전달하려면 우선 국사교과서의 서술이 사건의 원인과 결과를 제시하고 그 속에서 의미와 가치를 찾을 수 있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그리고 교사는 단순히 이러한 각각의 개별적인 사건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데서 그칠 것이 아니라 각 개별 사건들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관련성, 인과관계를 설명해야 할 것이다.
A textbook is basic for teaching and learning by organizing, which is in the learning course, in order to achieve student’s learning goals. The textbook differs from academic or public books because it is basically produced by regular leaning courses. Therefore, the textbook doesn’t have an author’s...
A textbook is basic for teaching and learning by organizing, which is in the learning course, in order to achieve student’s learning goals. The textbook differs from academic or public books because it is basically produced by regular leaning courses. Therefore, the textbook doesn’t have an author’s opinion. It just includes standard point that the government makes. This means that it is open to dispute that students receive a standardized educ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learning course from politics. However, the system of historical knowledge is edited more easily, clear, and simple in a textbook. As a matter of fact, it is useful at school because it is hard to teach the systematic historical truths in such a short time. In this case, trying to suggest an alternative to overcome some problems in text books is more important than finding new substitution resources. I try to focus on the analysis of the narration method in the Seventh Curriculum’s national history book for current high-school students, and then I seek for a solution to better the way the writers narrate. The main political events in the 17th century Jose on Dynasty, King Injo Restoration(仁祖反正), Plan of an Expedition to Conquer the North(北伐論), Argument of Yesong(禮訟論爭) are the main focus of study. When we evaluate politics in the 17th century Joseon Dynasty, in the years from Injo to Hyeonjong they were able to maintain a high public opinion for Seo-In(西人) and Nam-In(南人). King Injo Restoration is a prelude to the main event in the 17th century Joseon Dynasty, and an Argument of Yesong is the representative issue on public opinion. The plan of an Expedition to Conquer the North also has an important historical meaning that politicians try to keep again. Their justification of King Injo Restoration, which is that Joseon must maintain friendly relations with Myeong but it could exclude Geum ,and faded due to Manchu.(親明排金) First, I checked the system of narration about King Injo Restoration, Plan of an Expedition to Conquer the North, and an Argument of Yesong. Although those are really important parts of the political history, they are neglected in the Seventh Curriculum’s national history book. Besides, all of the content is spread in whole book so we need to collect it into one category. Secondly, I analyzed the contents of narration in the textbook. The analysis is based on current research on King Injo Restoration, Plan of an Expedition to Conquer the North, and Argument of Yesong. After my investigation on each of them, we recognized that every topic is now listed in less detail. It’s not as good at achieving historical education goals, such as, inquiring historical thinking. In addition, even the textbook looks like a more persuasive interpretation; it must have a more detailed explanation. Despite including persuasive reasoning, it doesn’t have enough content to explain the important event. In this case, we need to aim for an overall narration to help to enlarge historical thinking for students, and make more persuasive content. In other words, I attempt to gather and spread information into one category, I also aim to narrate cause-and-effect in order to improve historical thinking, and to give more opportunities to reflect on what they learned by creating a section called “Let’s Think!!”. Moreover, I will explain history in more detail by making more persuasive content, based on the latest research. All of the events that occurred in history are a useful method to understand the mood, and meaning of their activity at the same period, because being able to see the cause-and-effect and relationships between events are a good way to understand historical events. Most of the historical events are related to politics, and it offers a view for students, to study synthetically so politics should be treated with more importance especially in textbooks. If we want to teach students about historical facts correctly, the national history books must be organized according to causes-and-effects. It should also be examined to find value and meaning through the events. After the problems of the text books are solved, teachers will teach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event not on case-by-case basis.
A textbook is basic for teaching and learning by organizing, which is in the learning course, in order to achieve student’s learning goals. The textbook differs from academic or public books because it is basically produced by regular leaning courses. Therefore, the textbook doesn’t have an author’s opinion. It just includes standard point that the government makes. This means that it is open to dispute that students receive a standardized educ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learning course from politics. However, the system of historical knowledge is edited more easily, clear, and simple in a textbook. As a matter of fact, it is useful at school because it is hard to teach the systematic historical truths in such a short time. In this case, trying to suggest an alternative to overcome some problems in text books is more important than finding new substitution resources. I try to focus on the analysis of the narration method in the Seventh Curriculum’s national history book for current high-school students, and then I seek for a solution to better the way the writers narrate. The main political events in the 17th century Jose on Dynasty, King Injo Restoration(仁祖反正), Plan of an Expedition to Conquer the North(北伐論), Argument of Yesong(禮訟論爭) are the main focus of study. When we evaluate politics in the 17th century Joseon Dynasty, in the years from Injo to Hyeonjong they were able to maintain a high public opinion for Seo-In(西人) and Nam-In(南人). King Injo Restoration is a prelude to the main event in the 17th century Joseon Dynasty, and an Argument of Yesong is the representative issue on public opinion. The plan of an Expedition to Conquer the North also has an important historical meaning that politicians try to keep again. Their justification of King Injo Restoration, which is that Joseon must maintain friendly relations with Myeong but it could exclude Geum ,and faded due to Manchu.(親明排金) First, I checked the system of narration about King Injo Restoration, Plan of an Expedition to Conquer the North, and an Argument of Yesong. Although those are really important parts of the political history, they are neglected in the Seventh Curriculum’s national history book. Besides, all of the content is spread in whole book so we need to collect it into one category. Secondly, I analyzed the contents of narration in the textbook. The analysis is based on current research on King Injo Restoration, Plan of an Expedition to Conquer the North, and Argument of Yesong. After my investigation on each of them, we recognized that every topic is now listed in less detail. It’s not as good at achieving historical education goals, such as, inquiring historical thinking. In addition, even the textbook looks like a more persuasive interpretation; it must have a more detailed explanation. Despite including persuasive reasoning, it doesn’t have enough content to explain the important event. In this case, we need to aim for an overall narration to help to enlarge historical thinking for students, and make more persuasive content. In other words, I attempt to gather and spread information into one category, I also aim to narrate cause-and-effect in order to improve historical thinking, and to give more opportunities to reflect on what they learned by creating a section called “Let’s Think!!”. Moreover, I will explain history in more detail by making more persuasive content, based on the latest research. All of the events that occurred in history are a useful method to understand the mood, and meaning of their activity at the same period, because being able to see the cause-and-effect and relationships between events are a good way to understand historical events. Most of the historical events are related to politics, and it offers a view for students, to study synthetically so politics should be treated with more importance especially in textbooks. If we want to teach students about historical facts correctly, the national history books must be organized according to causes-and-effects. It should also be examined to find value and meaning through the events. After the problems of the text books are solved, teachers will teach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event not on case-by-case basi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