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지역 노인복지관 이용자 만족도에 차이를 가져오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수집된 설문자료에 대하여 SPSS 18.0을 이용하여 신뢰성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노인복지관의 프로그램, 시설 및 환경, 직원 및 서비스를 개선하고 노인복지관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기존의 연구 자료들을 검토하고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였으며 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실증 분석하였다. 기본변수로는 사회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사용하였으며 독립변수로는 프로그램 영역, 시설 및 환경 영역, 직원 및 서비스 영역을, 종속변수로는 노인복지관 이용자 만족도를 중심으로 분석 하였다. 본 연구는 60세 이상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에게 설문지를 통한 실증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지역 노인복지관 이용자 만족도에 차이를 가져오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수집된 설문자료에 대하여 SPSS 18.0을 이용하여 신뢰성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노인복지관의 프로그램, 시설 및 환경, 직원 및 서비스를 개선하고 노인복지관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기존의 연구 자료들을 검토하고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였으며 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실증 분석하였다. 기본변수로는 사회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사용하였으며 독립변수로는 프로그램 영역, 시설 및 환경 영역, 직원 및 서비스 영역을, 종속변수로는 노인복지관 이용자 만족도를 중심으로 분석 하였다. 본 연구는 60세 이상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에게 설문지를 통한 실증적 비교·분석방법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3곳의 노인복지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기간은 2011년 4월 1일에서 4월 13일까지 연구자와 조사원이 본 연구를 위해 3곳 노인복지관에 총 24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240부 모두를 회수함으로 총 240부가 최종 연구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의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프로그램(요인종합)은 연령, 건강상태에서 프로그램(다양성)은 연령, 경제적 상태, 건강상태에서 프로그램(가치성)은 성별에서 프로그램(적합성)은 건강상태에서 프로그램(만족도)는 연령, 학력, 종교, 건강상태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시설 및 환경(요인종합)은 연령, 학력, 종교에서 시설 및 환경(접근성)은 학력, 건강상태에서 시설 및 환경(적절성)은 수급여부, 경제적 상태, 건강상태에서 시설 및 환경(편의성)은 학력, 경제적 상태에서 시설 및 환경(안정성)은 학력, 종교, 경제적 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시설 및 환경(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직원 및 서비스(요인종합)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직원 및 서비스 (친절성)은 연령, 학력, 건강상태에서 직원 및 서비스(대응성)은 학력에서 직원 및 서비스(신속성)은 연령, 학력에서 직원 및 서비스(참여성)은 학력에서 직원 및 서비스(만족도)는 성별, 연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노인복지관 프로그램 영역요인과 이용자 만족도와의 회귀분석 결과는 프로그램 다양성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성 있는 결과를 보였다. 이 같은 분석 결과는 고객만족 향상을 위하여 프로그램 영역요인들을 개선하고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는 결과이다. 셋째, 노인복지관 시설 및 환경 영역요인과 이용자 만족도는 모두 유의성을 보였으며, 시설 및 환경 영역요인도 프로그램 영역요인과 동일하게 고객만족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으며, 보다나은 시설 확충과 내·외부 환경을 보수하고 개선함으로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넷째, 직원 및 서비스와 이용자 만족도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모두 유의성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가치성, 적합성, 효과성을 증가할 수 있는 내용을 개발하고 시설 및 환경의 접근성, 적절성, 편의성, 안정성의 개선과 직원 및 서비스의 친절성, 대응성, 신속성, 참여성을 향상시키므로 이용자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지역 노인복지관 이용자 만족도에 차이를 가져오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수집된 설문자료에 대하여 SPSS 18.0을 이용하여 신뢰성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노인복지관의 프로그램, 시설 및 환경, 직원 및 서비스를 개선하고 노인복지관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기존의 연구 자료들을 검토하고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였으며 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실증 분석하였다. 기본변수로는 사회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사용하였으며 독립변수로는 프로그램 영역, 시설 및 환경 영역, 직원 및 서비스 영역을, 종속변수로는 노인복지관 이용자 만족도를 중심으로 분석 하였다. 본 연구는 60세 이상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에게 설문지를 통한 실증적 비교·분석방법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3곳의 노인복지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기간은 2011년 4월 1일에서 4월 13일까지 연구자와 조사원이 본 연구를 위해 3곳 노인복지관에 총 24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240부 모두를 회수함으로 총 240부가 최종 연구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의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프로그램(요인종합)은 연령, 건강상태에서 프로그램(다양성)은 연령, 경제적 상태, 건강상태에서 프로그램(가치성)은 성별에서 프로그램(적합성)은 건강상태에서 프로그램(만족도)는 연령, 학력, 종교, 건강상태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시설 및 환경(요인종합)은 연령, 학력, 종교에서 시설 및 환경(접근성)은 학력, 건강상태에서 시설 및 환경(적절성)은 수급여부, 경제적 상태, 건강상태에서 시설 및 환경(편의성)은 학력, 경제적 상태에서 시설 및 환경(안정성)은 학력, 종교, 경제적 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시설 및 환경(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직원 및 서비스(요인종합)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직원 및 서비스 (친절성)은 연령, 학력, 건강상태에서 직원 및 서비스(대응성)은 학력에서 직원 및 서비스(신속성)은 연령, 학력에서 직원 및 서비스(참여성)은 학력에서 직원 및 서비스(만족도)는 성별, 연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노인복지관 프로그램 영역요인과 이용자 만족도와의 회귀분석 결과는 프로그램 다양성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성 있는 결과를 보였다. 이 같은 분석 결과는 고객만족 향상을 위하여 프로그램 영역요인들을 개선하고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는 결과이다. 셋째, 노인복지관 시설 및 환경 영역요인과 이용자 만족도는 모두 유의성을 보였으며, 시설 및 환경 영역요인도 프로그램 영역요인과 동일하게 고객만족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으며, 보다나은 시설 확충과 내·외부 환경을 보수하고 개선함으로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넷째, 직원 및 서비스와 이용자 만족도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모두 유의성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가치성, 적합성, 효과성을 증가할 수 있는 내용을 개발하고 시설 및 환경의 접근성, 적절성, 편의성, 안정성의 개선과 직원 및 서비스의 친절성, 대응성, 신속성, 참여성을 향상시키므로 이용자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grams, facilities and environments, employees and services of the senior welfare centers and to enhance the user satisfaction of the senior welfare centers. In order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the factors that bring about differences in the user sa...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grams, facilities and environments, employees and services of the senior welfare centers and to enhance the user satisfaction of the senior welfare centers. In order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the factors that bring about differences in the user satisfaction with senior welfare center in Seoul empirically,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ve analysis and regressive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SPSS 18.0 on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existing research materials were examined, theoretical backgrounds were searched and they were analyzed setting up hypotheses. Socio-demographic features were used as basic variables; the areas of programs, facilities and environments, and employees and service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user satisfaction of senior welfare centers as 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selected the method of empirical comparison and analysis through questionnaires for the elderly using senior welfare centers at their 60s and old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users of three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The period of the survey was from April 1 through 13, 2011; for this, the researcher and the investigators distributed 240 copies in the three senior welfare centers, all of which were collected and used for the final research and analysi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results drawn from socio-demographic featur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gram itself by age and health status; in program diversity by age and financial status and health status; in program value by sex; in program appropriateness by health condition; in program satisfaction by age, schooling, religion and health statu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ilities and environments by age, schooling and religion; in the accessibility to the facilities and environments by schooling and health status; in the adequacy of the facilities and environments by income, financial status and health status; in the convenience of the facilities and environments by schooling and financial status; in the stability of the facilities and environments by schooling, religion and financial statu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with the facilities and environme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indness of the employees and services by age, schooling and health status; in the responsiveness of the employees and services by schooling; in the fastness of the employees and services by age and schooling; in the participation of the employees and services by school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employees and services by sex and age. Second, the results of the regressive analysis of the senior welfare center program area factors with user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except for program diversity. These results of analysis will be helpful for improving program area factors for the enhancement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for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programs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Third, both the area factors of senior welfare center facilities and environments and user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ce while also the area factors of the facilities and environments were helpful for the enhancement of user satisfaction in the same way as those of program area, and expanding better facilities and repairing and improving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user satisfaction. Fourth, as a result of the regressive analysis of the employees and services and user satisfaction, all the results of user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ce. This study observed improving and enhancing the values,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the accessibility to, adequacy and stability of the facilities and environments; and kindness, responsiveness, fastness and participation of the employees and services affect the user satisfaction positively.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grams, facilities and environments, employees and services of the senior welfare centers and to enhance the user satisfaction of the senior welfare centers. In order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the factors that bring about differences in the user satisfaction with senior welfare center in Seoul empirically,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ve analysis and regressive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SPSS 18.0 on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existing research materials were examined, theoretical backgrounds were searched and they were analyzed setting up hypotheses. Socio-demographic features were used as basic variables; the areas of programs, facilities and environments, and employees and service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user satisfaction of senior welfare centers as 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selected the method of empirical comparison and analysis through questionnaires for the elderly using senior welfare centers at their 60s and old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users of three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The period of the survey was from April 1 through 13, 2011; for this, the researcher and the investigators distributed 240 copies in the three senior welfare centers, all of which were collected and used for the final research and analysi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results drawn from socio-demographic featur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gram itself by age and health status; in program diversity by age and financial status and health status; in program value by sex; in program appropriateness by health condition; in program satisfaction by age, schooling, religion and health statu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ilities and environments by age, schooling and religion; in the accessibility to the facilities and environments by schooling and health status; in the adequacy of the facilities and environments by income, financial status and health status; in the convenience of the facilities and environments by schooling and financial status; in the stability of the facilities and environments by schooling, religion and financial statu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with the facilities and environme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indness of the employees and services by age, schooling and health status; in the responsiveness of the employees and services by schooling; in the fastness of the employees and services by age and schooling; in the participation of the employees and services by school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employees and services by sex and age. Second, the results of the regressive analysis of the senior welfare center program area factors with user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except for program diversity. These results of analysis will be helpful for improving program area factors for the enhancement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for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programs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Third, both the area factors of senior welfare center facilities and environments and user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ce while also the area factors of the facilities and environments were helpful for the enhancement of user satisfaction in the same way as those of program area, and expanding better facilities and repairing and improving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user satisfaction. Fourth, as a result of the regressive analysis of the employees and services and user satisfaction, all the results of user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ce. This study observed improving and enhancing the values,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the accessibility to, adequacy and stability of the facilities and environments; and kindness, responsiveness, fastness and participation of the employees and services affect the user satisfaction positivel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