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국악교육 활동에서 감상, 노래하기, 연주하기 등은 국악기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 국악기를 이해한 다음 국악활동을 했을 때 유아들은 더욱 구체적이고 심화된 국악활동을 진행 할 수 있다. 이렇듯 유아국악교육 활동에 있어 국악기의 활용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지만 아직까지 국악기의 활용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한 상황이며 실제 유아교육 현장에서도 국악기의 이해를 심도 있게 다루고 있지는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유아와의 접근도, 흥미도, 국악기의 음색과 특징을 고려하여 연주방법에 따라 관악기 생황, 현악기 해금...
유아국악교육 활동에서 감상, 노래하기, 연주하기 등은 국악기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 국악기를 이해한 다음 국악활동을 했을 때 유아들은 더욱 구체적이고 심화된 국악활동을 진행 할 수 있다. 이렇듯 유아국악교육 활동에 있어 국악기의 활용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지만 아직까지 국악기의 활용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한 상황이며 실제 유아교육 현장에서도 국악기의 이해를 심도 있게 다루고 있지는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유아와의 접근도, 흥미도, 국악기의 음색과 특징을 고려하여 연주방법에 따라 관악기 생황, 현악기 해금, 타악기 장구로 악기를 선정하고, 국악기 기초이해와 창의적 국악활동을 바탕으로 4단계의 지도체계를 만들어 국악기를 활용한 단계적 지도방안을 마련하였다.
첫째, 1단계 악기이해 단계에서는 국악기 이야기를 듣고 나누는 활동으로 본 연구자가 창작한 국악기 그림동화를 들으며 앞으로의 수업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며 국악기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도록 세부 지도내용과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2단계 악기탐색 단계에서는 국악기 소리와 악기를 탐색하는 활동으로 유아는 악기를 보고, 만지고, 듣는 감각적 활동을 통하여 악기에 대한 다양한 이미지를 체험할 수 있으며 놀이와 신체활동 등을 통하여 교사의 일방적인 교육이 아닌 유아가 스스로 적극 활동에 참여하여 국악기를 탐색하여 모습과 소리를 이해, 인지하며 나아가 국악기에 대한 친근감이 생기도록 세부 지도내용과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3단계 악기중심 국악활동 단계에서는 국악기 주제의 가창과 감상 활동으로 앞 1, 2 단계에서 활동하고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유아와 함께 학습노래 및 창작국악동요의 가사말을 만들어 불러보고, 자유로운 신체표현 활동을 통해 국악감상 활동을 하며 악기이해 및 탐색의 심화과정이 이루어지도록 세부 지도내용과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4단계에서는 악기 만들기 단계로 쉽게 보거나 연주할 수 없는 국악기를 주위의 물건, 폐품을 활용하여 직접 실물 크기로 만들어 봄으로써 국악기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실제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줌으로써 유아에게 다소 생소할 수 있는 우리 악기에 대한 애착심을 형성하며 또 다른 새로운 국악기에 호기심을 갖고 앞으로의 국악활동이 이어질 수 있도록 세부 지도내용과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단계적 교수-학습법의 교육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업 후 모든 유아가 국악기의 이름과 연주방법을 2~4개 알고 있다고 대답하였으며, 또한 계속적인 국악활동을 하고 싶다고 대답하였다. 이는 유아들의 국악기에 대한 인지도와 국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단계적이고 다양한 국악활동을 통해 유아가 국악기를 이해하고, 우리음악에 관심을 갖으며 앞으로의 지속적 국악활동의 바탕이 됨과 동시에 우리문화를 경험하고 이해함으로써 유아의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유아국악교육 활동에서 감상, 노래하기, 연주하기 등은 국악기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 국악기를 이해한 다음 국악활동을 했을 때 유아들은 더욱 구체적이고 심화된 국악활동을 진행 할 수 있다. 이렇듯 유아국악교육 활동에 있어 국악기의 활용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지만 아직까지 국악기의 활용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한 상황이며 실제 유아교육 현장에서도 국악기의 이해를 심도 있게 다루고 있지는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유아와의 접근도, 흥미도, 국악기의 음색과 특징을 고려하여 연주방법에 따라 관악기 생황, 현악기 해금, 타악기 장구로 악기를 선정하고, 국악기 기초이해와 창의적 국악활동을 바탕으로 4단계의 지도체계를 만들어 국악기를 활용한 단계적 지도방안을 마련하였다.
첫째, 1단계 악기이해 단계에서는 국악기 이야기를 듣고 나누는 활동으로 본 연구자가 창작한 국악기 그림동화를 들으며 앞으로의 수업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며 국악기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도록 세부 지도내용과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2단계 악기탐색 단계에서는 국악기 소리와 악기를 탐색하는 활동으로 유아는 악기를 보고, 만지고, 듣는 감각적 활동을 통하여 악기에 대한 다양한 이미지를 체험할 수 있으며 놀이와 신체활동 등을 통하여 교사의 일방적인 교육이 아닌 유아가 스스로 적극 활동에 참여하여 국악기를 탐색하여 모습과 소리를 이해, 인지하며 나아가 국악기에 대한 친근감이 생기도록 세부 지도내용과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3단계 악기중심 국악활동 단계에서는 국악기 주제의 가창과 감상 활동으로 앞 1, 2 단계에서 활동하고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유아와 함께 학습노래 및 창작국악동요의 가사말을 만들어 불러보고, 자유로운 신체표현 활동을 통해 국악감상 활동을 하며 악기이해 및 탐색의 심화과정이 이루어지도록 세부 지도내용과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4단계에서는 악기 만들기 단계로 쉽게 보거나 연주할 수 없는 국악기를 주위의 물건, 폐품을 활용하여 직접 실물 크기로 만들어 봄으로써 국악기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실제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줌으로써 유아에게 다소 생소할 수 있는 우리 악기에 대한 애착심을 형성하며 또 다른 새로운 국악기에 호기심을 갖고 앞으로의 국악활동이 이어질 수 있도록 세부 지도내용과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단계적 교수-학습법의 교육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업 후 모든 유아가 국악기의 이름과 연주방법을 2~4개 알고 있다고 대답하였으며, 또한 계속적인 국악활동을 하고 싶다고 대답하였다. 이는 유아들의 국악기에 대한 인지도와 국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단계적이고 다양한 국악활동을 통해 유아가 국악기를 이해하고, 우리음악에 관심을 갖으며 앞으로의 지속적 국악활동의 바탕이 됨과 동시에 우리문화를 경험하고 이해함으로써 유아의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s for appreciation, performances, and singing in 'Gukak'(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activities for infants, it is primarily important to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After they learn about Gukak instruments and then do activities, infants can go on more concrete an...
As for appreciation, performances, and singing in 'Gukak'(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activities for infants, it is primarily important to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After they learn about Gukak instruments and then do activities, infants can go on more concrete and deepening musical activities. Likewise, using Gukak instruments is very important in Gukak education for infants. However, the study for making use of the Gukak instruments is not sufficient and even in educational scenes, infants hardly get a chance to learn about the instruments.
Considering the accessibility and interest that infants can have and the tone color and characteristics of specific Gukak instruments, I chose 'Sanghwang'(a Korean wind instrument), 'Haegeum'(a Korean string instrument) and 'Janggu'(a Korean percussion) for my study. And I came up with four step instructions based on basic understanding and creative Gukak activities, and for each step I presented specific contents and instructions that teachers can conduct during lessons.
The first step is to understand gukak instruments. In this stage infants would listen to a story, which I created to enhance their motivation in gukak instruments. This is to help infants understand comprehensive knowledge of the instruments.
The second step is to explore Gukak instruments. In this stage, infants get a change to explore Gukak instruments. They experience various aspects of Gukak instruments by listening to, watching and touching them. I show some specific ways and present teaching guidelines to help infants get voluntarily involved in the activities by inducing them to do some physical activities and play with Gukak instruments.
The third step is to do instrument-oriented activities. In this phase, infants sing and appreciate pieces of Gukak. Based on activities and experiences from the previous two steps, in class teachers sing some Gukak songs and even make lyrics for Gukak songs with infants. Teachers guide infants to do Gukak appreciation and understand Gukak instruments through free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The fourth step is to make an instrument. This is the stage where infants make a Gukak instruments, which are rare to be seen or played with in real life. So infants themselves make a life sized one using wastes. With this they can take more interest in Gukak instruments and have chances to experience them. In addition, I showed some detailed instructions and teaching methods to help infants to become more curious about Gukak instruments and continue to carry on the activities.
Last, I conducted a survey to find out the educational effects of Teaching-Learning by stages. As a result, all of the infants respondents said that they know the names and the way to play two to four Gukak instruments after they have taken a GuKak lesson. Also they added that they want to continue their activities with Gukak instruments. It indicates that there have been changes in their understanding of Gukak and their attitudes toward it.
In conclusion, I hope that this study is to show infants can understand and take more interest in Gukak through step-by-step and diverse Gukak activities, which will be the ground of continuous Gukak activities of infants. I also wish that the guidelines shown in this study will help infants experience and understand Korean culture to establish their cultural identity.
As for appreciation, performances, and singing in 'Gukak'(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activities for infants, it is primarily important to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After they learn about Gukak instruments and then do activities, infants can go on more concrete and deepening musical activities. Likewise, using Gukak instruments is very important in Gukak education for infants. However, the study for making use of the Gukak instruments is not sufficient and even in educational scenes, infants hardly get a chance to learn about the instruments.
Considering the accessibility and interest that infants can have and the tone color and characteristics of specific Gukak instruments, I chose 'Sanghwang'(a Korean wind instrument), 'Haegeum'(a Korean string instrument) and 'Janggu'(a Korean percussion) for my study. And I came up with four step instructions based on basic understanding and creative Gukak activities, and for each step I presented specific contents and instructions that teachers can conduct during lessons.
The first step is to understand gukak instruments. In this stage infants would listen to a story, which I created to enhance their motivation in gukak instruments. This is to help infants understand comprehensive knowledge of the instruments.
The second step is to explore Gukak instruments. In this stage, infants get a change to explore Gukak instruments. They experience various aspects of Gukak instruments by listening to, watching and touching them. I show some specific ways and present teaching guidelines to help infants get voluntarily involved in the activities by inducing them to do some physical activities and play with Gukak instruments.
The third step is to do instrument-oriented activities. In this phase, infants sing and appreciate pieces of Gukak. Based on activities and experiences from the previous two steps, in class teachers sing some Gukak songs and even make lyrics for Gukak songs with infants. Teachers guide infants to do Gukak appreciation and understand Gukak instruments through free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The fourth step is to make an instrument. This is the stage where infants make a Gukak instruments, which are rare to be seen or played with in real life. So infants themselves make a life sized one using wastes. With this they can take more interest in Gukak instruments and have chances to experience them. In addition, I showed some detailed instructions and teaching methods to help infants to become more curious about Gukak instruments and continue to carry on the activities.
Last, I conducted a survey to find out the educational effects of Teaching-Learning by stages. As a result, all of the infants respondents said that they know the names and the way to play two to four Gukak instruments after they have taken a GuKak lesson. Also they added that they want to continue their activities with Gukak instruments. It indicates that there have been changes in their understanding of Gukak and their attitudes toward it.
In conclusion, I hope that this study is to show infants can understand and take more interest in Gukak through step-by-step and diverse Gukak activities, which will be the ground of continuous Gukak activities of infants. I also wish that the guidelines shown in this study will help infants experience and understand Korean culture to establish their cultural ident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