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국가 간의 교류가 쉬워지고 활발해 짐에 따라 우리나라에는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외국어 학습의 필요성이 점차 확대되었다. 이에 영어 학습의 발전이 우선 이루어 졌으며 점차 제 2외국어 학습의 기회 또한 늘어났다. 이러한 세태 속에서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있는 중국의 언어는 제 2외국어로서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 학교 현장에서의 외국어 학습시행의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에 있다. 이는 제2외국어인 중국어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가장 첫 번째 과정은 듣는 과정...
21세기, 국가 간의 교류가 쉬워지고 활발해 짐에 따라 우리나라에는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외국어 학습의 필요성이 점차 확대되었다. 이에 영어 학습의 발전이 우선 이루어 졌으며 점차 제 2외국어 학습의 기회 또한 늘어났다. 이러한 세태 속에서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있는 중국의 언어는 제 2외국어로서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 학교 현장에서의 외국어 학습시행의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에 있다. 이는 제2외국어인 중국어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가장 첫 번째 과정은 듣는 과정이다. 청자는 화자의 말을 듣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 파악하여 반응하는데 그것이 의사소통의 시작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듣기 학습의 중요성은 이러한 이유로 더욱 강조되고 있다. 듣기 학습을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받아쓰기에 대한 연구는 영어 교과에서 특히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그 효과에 대한 긍정적 결과들이 많이 도출되어왔다. 한국에서 영어 교과를 담당하는 교사들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실험을 한 결과 영어 듣기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학습자들은 받아쓰기를 하고 나서 해당 교과에 대한 흥미도가 높아 졌다고 대답했다. 이를 통해 받아쓰기가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좋은 도구가 됨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토대로 본 논문은 받아쓰기를 중국어 학습 현장에 도입해 보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현직 중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현재 사용하는 교과서의 받아쓰기 문제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는 의견, 받아쓰기를 시행하는 것이 학습자의 중국어 능력을 측정하는데 좋은 지표가 된다는 의견등이 도출되어, 본 논문의 의도를 뒷받침해 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사용되는 교과서의 받아쓰기 문제를 분석함으로써 장점은 받아들이고 단점을 보완하여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받아쓰기 활동을 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현재 고등학생들이 중국어에 대한 흥미가 더 높아지며 의사소통을 위한 듣기 능력이 향상될 수 있기를 기대 한다.
21세기, 국가 간의 교류가 쉬워지고 활발해 짐에 따라 우리나라에는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외국어 학습의 필요성이 점차 확대되었다. 이에 영어 학습의 발전이 우선 이루어 졌으며 점차 제 2외국어 학습의 기회 또한 늘어났다. 이러한 세태 속에서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있는 중국의 언어는 제 2외국어로서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 학교 현장에서의 외국어 학습시행의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에 있다. 이는 제2외국어인 중국어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가장 첫 번째 과정은 듣는 과정이다. 청자는 화자의 말을 듣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 파악하여 반응하는데 그것이 의사소통의 시작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듣기 학습의 중요성은 이러한 이유로 더욱 강조되고 있다. 듣기 학습을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받아쓰기에 대한 연구는 영어 교과에서 특히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그 효과에 대한 긍정적 결과들이 많이 도출되어왔다. 한국에서 영어 교과를 담당하는 교사들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실험을 한 결과 영어 듣기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학습자들은 받아쓰기를 하고 나서 해당 교과에 대한 흥미도가 높아 졌다고 대답했다. 이를 통해 받아쓰기가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좋은 도구가 됨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토대로 본 논문은 받아쓰기를 중국어 학습 현장에 도입해 보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현직 중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현재 사용하는 교과서의 받아쓰기 문제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는 의견, 받아쓰기를 시행하는 것이 학습자의 중국어 능력을 측정하는데 좋은 지표가 된다는 의견등이 도출되어, 본 논문의 의도를 뒷받침해 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사용되는 교과서의 받아쓰기 문제를 분석함으로써 장점은 받아들이고 단점을 보완하여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받아쓰기 활동을 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현재 고등학생들이 중국어에 대한 흥미가 더 높아지며 의사소통을 위한 듣기 능력이 향상될 수 있기를 기대 한다.
As international exchanges become increasingly easier and grow in volume in the 21st century, the need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as a tool for smooth communication is growing as well. English has become the language of choice for many people, while opportunity to learn other languages has expan...
As international exchanges become increasingly easier and grow in volume in the 21st century, the need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as a tool for smooth communication is growing as well. English has become the language of choice for many people, while opportunity to learn other languages has expanded as well. Chinese has recently emerged as the most popular language to learn other than English, as China is the nearest country to South Korea both geographically and economically. The objective of language education in schools is to elevate students’ communication capability. The same is true to Chinese language education. The first step of communication capability development is to listen. Human communication starts in earnest when a listener listens to what a speaker says and responds to the person after understanding its meaning. Due to this reason, the importance of listing exercises has been increasingly stressed these days.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on the effective listening education. Among them, studies on the dictation as an effective listing practice tool have been active especially in English education, with plenty of positive outcomes confirmed in those studies. According to a survey and experiment on students conducted by English teachers in South Korea, the surveyed subjects showed a marked improvement in their listening capability after dictation exercises.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became more interested in English classes after dictation exercises. The study proved the effectiveness of dictation exercises as a promising tool to improve students’ listening capability. Based on this result, this researcher suggests that schools introduce dictation exercises to Chinese language classes. This study aims to improve effectiveness of dictation education in schools by analyzing the current dictation education practices presented in textbooks, and by keeping good examples while improving defective practices.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students’ interest in Chinese language, and improve their listening capability, which is the foundation of effective communication.
As international exchanges become increasingly easier and grow in volume in the 21st century, the need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as a tool for smooth communication is growing as well. English has become the language of choice for many people, while opportunity to learn other languages has expanded as well. Chinese has recently emerged as the most popular language to learn other than English, as China is the nearest country to South Korea both geographically and economically. The objective of language education in schools is to elevate students’ communication capability. The same is true to Chinese language education. The first step of communication capability development is to listen. Human communication starts in earnest when a listener listens to what a speaker says and responds to the person after understanding its meaning. Due to this reason, the importance of listing exercises has been increasingly stressed these days.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on the effective listening education. Among them, studies on the dictation as an effective listing practice tool have been active especially in English education, with plenty of positive outcomes confirmed in those studies. According to a survey and experiment on students conducted by English teachers in South Korea, the surveyed subjects showed a marked improvement in their listening capability after dictation exercises.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became more interested in English classes after dictation exercises. The study proved the effectiveness of dictation exercises as a promising tool to improve students’ listening capability. Based on this result, this researcher suggests that schools introduce dictation exercises to Chinese language classes. This study aims to improve effectiveness of dictation education in schools by analyzing the current dictation education practices presented in textbooks, and by keeping good examples while improving defective practices.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students’ interest in Chinese language, and improve their listening capability, which is the foundation of effective communi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