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고등학교 중국어과 교육과정 변천 연구 : 『중국어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nsitional Process of Chinese Language Curriculum of High School: Focusing on 『Chinese LanguageⅠ』원문보기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이어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이 올해 2017년 초등학교 1~2학년에 적용되기 시작해서 내년 2018년부터는 중·고등학교 1학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되게 된다. 본 논문은 곧 시행하게 될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당면한 우리나라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 그 간의 중국어과의 전반적인 교육과정을 큰 틀로써 점검하여 그 흐름과 특징을 분석해 보고, 현 진행되는 제4차 산업혁명의 시기에 고등...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이어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이 올해 2017년 초등학교 1~2학년에 적용되기 시작해서 내년 2018년부터는 중·고등학교 1학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되게 된다. 본 논문은 곧 시행하게 될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당면한 우리나라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 그 간의 중국어과의 전반적인 교육과정을 큰 틀로써 점검하여 그 흐름과 특징을 분석해 보고, 현 진행되는 제4차 산업혁명의 시기에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의 향방을 모색해보고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국가가 교육과정을 제정·공포하는‘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문서로 고시하여 전체적인 교육의 방향을 반영하여 관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제1차 교육과정에서 제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7차례의 큰 교육과정의 개정이 있었고, 제7차 교육과정은 다시 2007년 개정 교육과정과 현행 교육과정인 2009년 개정 교육과정 그리고 2015년 개정 교육과정으로 수정 고시되었다. 이와 같이 교육과정이 수차례 개정되는 동안 우리나라 중국어 교육에 있어 연구 동향은 대부분 교육과정에 따른 발음, 문자, 어휘, 문법 등의 언어재료와 듣기, 말하기, 읽기 그리고 쓰기의 언어 기능, 그리고 문화 등의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 논의해 왔다. 그러나 교육과정 전반 있어서의 관련 연구는 대부분이 2007년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연구로, 이후의 두 차례 더 개정된 2009년 개정 교육과정과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을 모두 포함한 중국어 교육과정의 포괄적인 내용에 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1차 교육과정의 시기에서 제7차 교육과정의 시기를 거쳐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변천을 서술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 및 2018년부터 단계적으로 적용되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중국어 교육과정의 방향을 비교·분석하여 중국어 교육과정의 방향을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으며, 또한 중국어 교육과정 관련 분야 연구에 대한 선행연구로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중국어교육, 교육과정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이어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이 올해 2017년 초등학교 1~2학년에 적용되기 시작해서 내년 2018년부터는 중·고등학교 1학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되게 된다. 본 논문은 곧 시행하게 될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당면한 우리나라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 그 간의 중국어과의 전반적인 교육과정을 큰 틀로써 점검하여 그 흐름과 특징을 분석해 보고, 현 진행되는 제4차 산업혁명의 시기에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의 향방을 모색해보고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국가가 교육과정을 제정·공포하는‘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문서로 고시하여 전체적인 교육의 방향을 반영하여 관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제1차 교육과정에서 제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7차례의 큰 교육과정의 개정이 있었고, 제7차 교육과정은 다시 2007년 개정 교육과정과 현행 교육과정인 2009년 개정 교육과정 그리고 2015년 개정 교육과정으로 수정 고시되었다. 이와 같이 교육과정이 수차례 개정되는 동안 우리나라 중국어 교육에 있어 연구 동향은 대부분 교육과정에 따른 발음, 문자, 어휘, 문법 등의 언어재료와 듣기, 말하기, 읽기 그리고 쓰기의 언어 기능, 그리고 문화 등의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 논의해 왔다. 그러나 교육과정 전반 있어서의 관련 연구는 대부분이 2007년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연구로, 이후의 두 차례 더 개정된 2009년 개정 교육과정과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을 모두 포함한 중국어 교육과정의 포괄적인 내용에 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1차 교육과정의 시기에서 제7차 교육과정의 시기를 거쳐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변천을 서술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 및 2018년부터 단계적으로 적용되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중국어 교육과정의 방향을 비교·분석하여 중국어 교육과정의 방향을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으며, 또한 중국어 교육과정 관련 분야 연구에 대한 선행연구로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Following the current 2009 revised curriculu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as started to be applied to Grade1-2 of elementary school in 2017, and from 2018, it will be gradually applied to Grade1 of middle/high school in order.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eek for the direction of Chinese lan...
Following the current 2009 revised curriculu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as started to be applied to Grade1-2 of elementary school in 2017, and from 2018, it will be gradually applied to Grade1 of middle/high school in order.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eek for the direction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of high school in the period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analyzing the flow and characteristics of overall curriculum of Chinese language of high school in Korea fac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case of the curriculum of Korea, the state organizes/establishes/ proclaims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notifies it in document, and manages it by reflecting the overall direction of education. Korea has gone though total seven major revisions of curriculum. The 7th curriculum has been modified/announced into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he current 2009 revised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Like this, though the numerous revisions of curriculum, most of the researches on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 have discussed the language materials such as pronunciation, letter, vocabulary, and grammar, language functions like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nd concrete/detailed contents like culture. However, most of the researches related to the overall curriculum were limited to the 2007 revised curriculum or before. There are not many additional researches on the comprehensive contents of Chinese language curriculum including both 2009 revised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the basic data as a preceding research on Chinese language curriculum,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Chinese language curriculum, by describing the transition of 2007 revised curriculum from the 1st curriculum to the 7th curriculum, and also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urrent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Chinese language that will be applied in phases from 2018.
keyword: Chinese langunge curriculum, Transitional Process
Following the current 2009 revised curriculu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as started to be applied to Grade1-2 of elementary school in 2017, and from 2018, it will be gradually applied to Grade1 of middle/high school in order.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eek for the direction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of high school in the period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analyzing the flow and characteristics of overall curriculum of Chinese language of high school in Korea fac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case of the curriculum of Korea, the state organizes/establishes/ proclaims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notifies it in document, and manages it by reflecting the overall direction of education. Korea has gone though total seven major revisions of curriculum. The 7th curriculum has been modified/announced into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he current 2009 revised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Like this, though the numerous revisions of curriculum, most of the researches on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 have discussed the language materials such as pronunciation, letter, vocabulary, and grammar, language functions like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nd concrete/detailed contents like culture. However, most of the researches related to the overall curriculum were limited to the 2007 revised curriculum or before. There are not many additional researches on the comprehensive contents of Chinese language curriculum including both 2009 revised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the basic data as a preceding research on Chinese language curriculum,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Chinese language curriculum, by describing the transition of 2007 revised curriculum from the 1st curriculum to the 7th curriculum, and also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urrent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Chinese language that will be applied in phases from 2018.
keyword: Chinese langunge curriculum, Transitional Proces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