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조직 몰입과의 관계에서 팔로워십 유형의 조절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개인특성에 따른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조직 몰입 및 팔로워십 유형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조직 몰입 및 팔로워십 유형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조직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조직 몰입과의 관계에서 팔로워십 유형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등이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조선업종의 기업 중 대표기업인 D 대기업의 정규직 직원 3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을 위해 ...
본 연구는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조직 몰입과의 관계에서 팔로워십 유형의 조절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개인특성에 따른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조직 몰입 및 팔로워십 유형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조직 몰입 및 팔로워십 유형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조직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조직 몰입과의 관계에서 팔로워십 유형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등이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조선업종의 기업 중 대표기업인 D 대기업의 정규직 직원 3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을 위해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회수된 자료에 대한 개인특성과 변수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 통계 분석을 하였고,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위해 요인분석과 Cronbach's alpha에 의한 신뢰도 검정을 하였으며,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 위계적 조절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조사와 분석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특성 분석에 의해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은 성별, 연령, 직위, 직책, 근속 연수, 담당업무에 따라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과 직위에 따라 팔로워십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은 조직 몰입과 팔로워십 유형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 중 학습 및 과제해결 촉진 역량이 높을수록 지속적 몰입에, 의사소통 촉진 역량이 높을수록 정서적 몰입에, 팀 활성화 촉진 역량이 높을수록 규범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조직 몰입 관계에서 팔로워십 유형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 독립적·비판적 사고는 리더의 학습 및 과제해결 촉진, 팀 활성화 촉진과 정서적 몰입 간의 조절 효과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리더의 학습 및 과제해결 촉진과 규범적 몰입 간의 조절 효과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적극적·능동적 사고는 리더의 학습 및 과제해결 촉진, 팀 활성화 촉진과 정서적 몰입 간의 조절 효과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리더의 학습 및 과제해결 촉진과 규범적 몰입 간의 조절 효과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팔로워십 유형은 리더의 의사소통 촉진과 정서적 몰입 간의 조절 효과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지속적 몰입 간의 조절 효과와 리더의 의사소통 촉진, 팀 활성화 촉진과 규범적 몰입 간의 조절 효과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분석을 통해 팀 조직의 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할 및 역량군은 학습 및 과제해결 촉진, 의사소통 촉진, 팀 활성화 촉진 등 3가지로 정의되었으며 각 역할 및 역량 군에 따른 필요 역량은 21가지로 정리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은 성별, 연령, 직위, 직책, 근속 연수, 담당업무에 따라 조직몰입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팀 리더는 조직 몰입이 낮은 조직 구성원들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퍼실리테이션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성별과 직위에 따라 팔로워십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기 때문에 팀 리더는 팔로워의 유형에 따라 효과성 있는 퍼실리테이션 방법의 적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은 팔로워십의 유형 중 독립적·비판적 사고는 조직 몰입의 지속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 정서적 몰입과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팔로워의 유형에 따라 적절한 퍼실리테이션 적용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은 정서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 그리고 규범적 몰입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은 상황과 주제에 따라 선별적으로 또는 통합적으로 발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여섯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팔로워십 유형에 따라 조절효과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팀 구성원들의 조직 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팀 리더는 상황에 적합한 역할과 역량을 발휘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개인특성에 따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조직 몰입 및 팔로워십 유형의 차이,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조직 몰입 및 팔로워십 유형 간의 상관관계,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조직 몰입에 미치는영향,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조직 몰입과의 관계에서 팔로워십 유형의 조절효과 등을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과 이를 통해 팀 리더는 개인의 특성과 팔로워의 유형, 상황과 주제에 따라 퍼실리테이션 역량을 차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발휘하면 조직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실용적 의의가 있었다.
본 연구는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조직 몰입과의 관계에서 팔로워십 유형의 조절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개인특성에 따른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조직 몰입 및 팔로워십 유형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조직 몰입 및 팔로워십 유형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조직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조직 몰입과의 관계에서 팔로워십 유형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등이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조선업종의 기업 중 대표기업인 D 대기업의 정규직 직원 3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을 위해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회수된 자료에 대한 개인특성과 변수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 통계 분석을 하였고,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위해 요인분석과 Cronbach's alpha에 의한 신뢰도 검정을 하였으며,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 위계적 조절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조사와 분석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특성 분석에 의해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은 성별, 연령, 직위, 직책, 근속 연수, 담당업무에 따라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과 직위에 따라 팔로워십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은 조직 몰입과 팔로워십 유형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 중 학습 및 과제해결 촉진 역량이 높을수록 지속적 몰입에, 의사소통 촉진 역량이 높을수록 정서적 몰입에, 팀 활성화 촉진 역량이 높을수록 규범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조직 몰입 관계에서 팔로워십 유형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 독립적·비판적 사고는 리더의 학습 및 과제해결 촉진, 팀 활성화 촉진과 정서적 몰입 간의 조절 효과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리더의 학습 및 과제해결 촉진과 규범적 몰입 간의 조절 효과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적극적·능동적 사고는 리더의 학습 및 과제해결 촉진, 팀 활성화 촉진과 정서적 몰입 간의 조절 효과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리더의 학습 및 과제해결 촉진과 규범적 몰입 간의 조절 효과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팔로워십 유형은 리더의 의사소통 촉진과 정서적 몰입 간의 조절 효과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지속적 몰입 간의 조절 효과와 리더의 의사소통 촉진, 팀 활성화 촉진과 규범적 몰입 간의 조절 효과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분석을 통해 팀 조직의 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할 및 역량군은 학습 및 과제해결 촉진, 의사소통 촉진, 팀 활성화 촉진 등 3가지로 정의되었으며 각 역할 및 역량 군에 따른 필요 역량은 21가지로 정리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은 성별, 연령, 직위, 직책, 근속 연수, 담당업무에 따라 조직몰입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팀 리더는 조직 몰입이 낮은 조직 구성원들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퍼실리테이션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성별과 직위에 따라 팔로워십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기 때문에 팀 리더는 팔로워의 유형에 따라 효과성 있는 퍼실리테이션 방법의 적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은 팔로워십의 유형 중 독립적·비판적 사고는 조직 몰입의 지속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 정서적 몰입과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팔로워의 유형에 따라 적절한 퍼실리테이션 적용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은 정서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 그리고 규범적 몰입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은 상황과 주제에 따라 선별적으로 또는 통합적으로 발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여섯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팔로워십 유형에 따라 조절효과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팀 구성원들의 조직 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팀 리더는 상황에 적합한 역할과 역량을 발휘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개인특성에 따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조직 몰입 및 팔로워십 유형의 차이,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조직 몰입 및 팔로워십 유형 간의 상관관계,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조직 몰입에 미치는영향,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조직 몰입과의 관계에서 팔로워십 유형의 조절효과 등을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과 이를 통해 팀 리더는 개인의 특성과 팔로워의 유형, 상황과 주제에 따라 퍼실리테이션 역량을 차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발휘하면 조직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실용적 의의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n look into the mediating effect of followership typ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ilitation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following ques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n look into the mediating effect of followership typ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ilitation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following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influence of study subject's demographic features upon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ollowership types?' Second, 'what is the correlation among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ollowership types?' Third, 'what is the influence of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ourth,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followership typ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get answer to the above questions, a questionnaire survey of 329 regular employees of D large company, a representative firm of domestic shipbuilding business was carried out. Collected data were examined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In order to analyze basic data on demographic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validity and reliabilit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study question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features upon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gender, age, position, office, continuous service year, and job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it. Second,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ollowership types. Third, among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ies: Learning and problem-solving facilitation competency was higher, their influence upon continuou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higher; communication facilitation competency was higher, its influence upon emotional commitment was higher; and team activation facilitation competency was higher, its influence upon normative commitment was higher. Fourth, as for the mediating effect of followership typ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dependent/critical thinking played the role of mediating effect among leader's learning and problem-solving facilitation, team activation facilitation and emotional commitment, and between leader's learning and problem-solving facilitation and normative commitment. However, active/positive thinking had no mediating effect among leader's learning and problem-solving facilitation, team activation facilitation and emotional commitment, and between leader's learning and problem-solving facilitation and normative commitment. In addition, followership types played the role of mediating effect between leader's communication facilitation and emotional commitment, whereas it played no mediating role between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and continuous commitment and among leader's communication facilitation, team activation facilitation and normative commitment. Based on the above study findings, study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presented the fact that the group of team leader's facilitation roles and competencies that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effectiveness of team organization was defined as such 3 kinds of facilitation as learning and problem-solving facilitation, communication facilitation and team activation facilitation, and necessary competencies according to every role and competency group were 21 kinds. Second, since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was influenced by gender, age, position, office, continuous years of service and job in its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necessary for a team leader to strengthen facilitation competency in order to activate organizational members whose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low. Third, since followership types were different by gender and position, it is necessary for a team leader to apply effective methods of facilitation in accordance with follower types. Fourth, since out of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ies, independent/critical thinking of followership typ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ntinuous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hereas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commitment, it is necessary to find out an appropriate applying method of facilitation in accordance with followership types. Fifth, since the influence of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upon emotional commitment, continuous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was different, it is necessary to exert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selectively or comprehensively in accordance with situations and themes. Sixth, si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llowership types had different mediating effects, it is necessary for a team leader to play and exert appropriate role and competency in accordance with situations, in order to improve team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Seventh, since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was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to team leaders in order to strengthen their facilitation competency and then improve their facilitation skills. This study seems to be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examined the difference among demographic feature-oriented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ollowership types, the correlations among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ollowership types, the influence of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followership typ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n suggested that if a team leader exerted facilitation competency discriminately or comprehensively in accordance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follower types, situations and themes, organizational performance could be maxim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n look into the mediating effect of followership typ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ilitation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following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influence of study subject's demographic features upon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ollowership types?' Second, 'what is the correlation among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ollowership types?' Third, 'what is the influence of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ourth,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followership typ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get answer to the above questions, a questionnaire survey of 329 regular employees of D large company, a representative firm of domestic shipbuilding business was carried out. Collected data were examined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In order to analyze basic data on demographic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validity and reliabilit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study question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features upon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gender, age, position, office, continuous service year, and job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it. Second,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ollowership types. Third, among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ies: Learning and problem-solving facilitation competency was higher, their influence upon continuou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higher; communication facilitation competency was higher, its influence upon emotional commitment was higher; and team activation facilitation competency was higher, its influence upon normative commitment was higher. Fourth, as for the mediating effect of followership typ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dependent/critical thinking played the role of mediating effect among leader's learning and problem-solving facilitation, team activation facilitation and emotional commitment, and between leader's learning and problem-solving facilitation and normative commitment. However, active/positive thinking had no mediating effect among leader's learning and problem-solving facilitation, team activation facilitation and emotional commitment, and between leader's learning and problem-solving facilitation and normative commitment. In addition, followership types played the role of mediating effect between leader's communication facilitation and emotional commitment, whereas it played no mediating role between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and continuous commitment and among leader's communication facilitation, team activation facilitation and normative commitment. Based on the above study findings, study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presented the fact that the group of team leader's facilitation roles and competencies that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effectiveness of team organization was defined as such 3 kinds of facilitation as learning and problem-solving facilitation, communication facilitation and team activation facilitation, and necessary competencies according to every role and competency group were 21 kinds. Second, since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was influenced by gender, age, position, office, continuous years of service and job in its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necessary for a team leader to strengthen facilitation competency in order to activate organizational members whose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low. Third, since followership types were different by gender and position, it is necessary for a team leader to apply effective methods of facilitation in accordance with follower types. Fourth, since out of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ies, independent/critical thinking of followership typ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ntinuous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hereas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commitment, it is necessary to find out an appropriate applying method of facilitation in accordance with followership types. Fifth, since the influence of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upon emotional commitment, continuous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was different, it is necessary to exert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selectively or comprehensively in accordance with situations and themes. Sixth, si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llowership types had different mediating effects, it is necessary for a team leader to play and exert appropriate role and competency in accordance with situations, in order to improve team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Seventh, since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was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to team leaders in order to strengthen their facilitation competency and then improve their facilitation skills. This study seems to be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examined the difference among demographic feature-oriented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ollowership types, the correlations among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ollowership types, the influence of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followership typ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n suggested that if a team leader exerted facilitation competency discriminately or comprehensively in accordance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follower types, situations and themes, organizational performance could be maximiz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