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현대사회는 다문화 사회로 점차 발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그 흐름 속에서 새로운 시대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상황에 놓여있다. 장, 단기적으로 한국에 오고가는 외국인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나아가 삶의 터전을 잡고 국내에 거주하고자 입국하는 외국인 노동자나 결혼이민자들의 수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제 한국사회도 다문화 시대에 크게 한걸음 다가간 것이다.
다문화 시대를 맞이하여 한국사회는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현대사회는 다문화 사회로 점차 발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그 흐름 속에서 새로운 시대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상황에 놓여있다. 장, 단기적으로 한국에 오고가는 외국인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나아가 삶의 터전을 잡고 국내에 거주하고자 입국하는 외국인 노동자나 결혼이민자들의 수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제 한국사회도 다문화 시대에 크게 한걸음 다가간 것이다.
다문화 시대를 맞이하여 한국사회는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다문화교육에 많은 지원과 정책이 생겨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정책과 지원들이 과연 진정한 다문화교육을 위한 일일까? 현재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은 본질은 뒤로한 채 겉으로 보이는 현상만 쫓는 식으로 진행되어가고 있다. 다른 나라의 문화에 대해 알고 이해하는 것도 다문화 사회에서 꼭 필요한 것임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그에 앞서 더 중요하게 교육되어야 할 것은 나와 다르다고 해서 차별하지 않고 편견을 갖지 않으며 나의 존재가 소중한 것만큼 타인의 존재를 소중하게 생각할 수 있는 마음가짐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 다문화 교육의 현실과 특징 그리고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고 인권의 관점을 통해 다문화 교육이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먼저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목표를 정립하고 인권과 다문화교육과의 관계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인권의 정의와 특징, 인권의 내용 그리고 인권교육의 필요성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다문화교육에서 인권교육을 중요한 요소로 부각시키고자 한다.
다음으로 현행 우리나라의 다문화 현실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재 우리나라는 다문화현상이 시작된 지는 오래되지 않았으나 그 변화의 속도가 매우 빠른 편이다. 우리나라의 다문화 현실의 가장 큰 문제점은 단순히 다문화가정의 수가 늘어나는 문제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자녀들이 학교에 진학하게 되면서 여러 가지 문제들이 생겨나고 인권침해 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들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은 대부분이 언어 및 기초학력부진의 문제, 학교생활 부적응, 자아 정체성의 혼란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생활 속에서의 편견과 차별로 인하여 고통을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하루아침에 해결되는 것이 아니며 문제가 있는 채로 방치해두었을 경우 더 큰 문제로 번질 수 있다는 점이 또 하나의 중요한 변수가 된다. 현재 다문화가정 자녀들 중 대부분은 초등학생 이하의 아동들이다. 이들이 나중에 한국사회의 구성원이 되었을 때를 미리 생각해보면 현재 시점에서 다문화교육이 가지는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전체적인 다문화 현황에 대해 파악해 본 뒤, 교육의 측면으로 들어가 현행 다문화 교육의 특징과 문제점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권중심의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인권중심의 다문화교육을 시행하기에 적합한 교과로 도덕교과를 채택하였다. 그 중 3학년 도덕교과서를 분석하여 다문화교육적 요소와 인권교육의 내용영역을 조합하여 인권중심의 다문화교육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내용을 담고 있는 본 연구는 교수-학습 방안 측면에서 인권중심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수업의 효능을 측정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인권중심의 다문화교육의 중요성이 인식되어 도덕교육이 의미 있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역할을 하는 데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문화가정 학생에게는 긍정적 자아 정체성의 형성을 돕고 일반 학생에게는 다문화 구성원의 인권 침해나 차별행위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다문화 학생과 일반 학생이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는 통합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현대사회는 다문화 사회로 점차 발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그 흐름 속에서 새로운 시대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상황에 놓여있다. 장, 단기적으로 한국에 오고가는 외국인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나아가 삶의 터전을 잡고 국내에 거주하고자 입국하는 외국인 노동자나 결혼이민자들의 수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제 한국사회도 다문화 시대에 크게 한걸음 다가간 것이다.
다문화 시대를 맞이하여 한국사회는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다문화교육에 많은 지원과 정책이 생겨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정책과 지원들이 과연 진정한 다문화교육을 위한 일일까? 현재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은 본질은 뒤로한 채 겉으로 보이는 현상만 쫓는 식으로 진행되어가고 있다. 다른 나라의 문화에 대해 알고 이해하는 것도 다문화 사회에서 꼭 필요한 것임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그에 앞서 더 중요하게 교육되어야 할 것은 나와 다르다고 해서 차별하지 않고 편견을 갖지 않으며 나의 존재가 소중한 것만큼 타인의 존재를 소중하게 생각할 수 있는 마음가짐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 다문화 교육의 현실과 특징 그리고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고 인권의 관점을 통해 다문화 교육이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먼저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목표를 정립하고 인권과 다문화교육과의 관계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인권의 정의와 특징, 인권의 내용 그리고 인권교육의 필요성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다문화교육에서 인권교육을 중요한 요소로 부각시키고자 한다.
다음으로 현행 우리나라의 다문화 현실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재 우리나라는 다문화현상이 시작된 지는 오래되지 않았으나 그 변화의 속도가 매우 빠른 편이다. 우리나라의 다문화 현실의 가장 큰 문제점은 단순히 다문화가정의 수가 늘어나는 문제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자녀들이 학교에 진학하게 되면서 여러 가지 문제들이 생겨나고 인권침해 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들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은 대부분이 언어 및 기초학력부진의 문제, 학교생활 부적응, 자아 정체성의 혼란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생활 속에서의 편견과 차별로 인하여 고통을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하루아침에 해결되는 것이 아니며 문제가 있는 채로 방치해두었을 경우 더 큰 문제로 번질 수 있다는 점이 또 하나의 중요한 변수가 된다. 현재 다문화가정 자녀들 중 대부분은 초등학생 이하의 아동들이다. 이들이 나중에 한국사회의 구성원이 되었을 때를 미리 생각해보면 현재 시점에서 다문화교육이 가지는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전체적인 다문화 현황에 대해 파악해 본 뒤, 교육의 측면으로 들어가 현행 다문화 교육의 특징과 문제점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권중심의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인권중심의 다문화교육을 시행하기에 적합한 교과로 도덕교과를 채택하였다. 그 중 3학년 도덕교과서를 분석하여 다문화교육적 요소와 인권교육의 내용영역을 조합하여 인권중심의 다문화교육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내용을 담고 있는 본 연구는 교수-학습 방안 측면에서 인권중심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수업의 효능을 측정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인권중심의 다문화교육의 중요성이 인식되어 도덕교육이 의미 있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역할을 하는 데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문화가정 학생에게는 긍정적 자아 정체성의 형성을 돕고 일반 학생에게는 다문화 구성원의 인권 침해나 차별행위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다문화 학생과 일반 학생이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는 통합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Modern society is gradually evolv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flow of globalization. South Korea is also facing new changes of times in that flow. The number of foreigners that visit and leave the nation in a short and long term is growing more and more. Also growing considerably is the n...
Modern society is gradually evolv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flow of globalization. South Korea is also facing new changes of times in that flow. The number of foreigners that visit and leave the nation in a short and long term is growing more and more. Also growing considerably is the number of foreign workers and marriage immigrants who enter the nation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life and dwell in the nation. South Korean society has made a big step closer to the multicultural era.
Facing the multicultural era, South Korean society is making efforts across many different aspects and offering a lot of supports and policies especiall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re those policies and supports, however, for true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today, multicultural education merely follows its conspicuous phenomena, leaving its essence behind. There is no doubt that knowing and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is certainly needed in a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it must come after the education on the mind set of not discriminating others and having a prejudice for differences and treating others as importantly as one's own existence.
This study thus set out to examine the reality,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urrently provided in the nation and discuss the right direc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a perspective of human rights.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first established the concepts and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reviewed connections between human right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tudy also highlighted human rights education a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human rights and need for human rights education.
The study next covered the multicultural reality of South Korea, in which its changing rate is very fast even though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has not been in action for long. The biggest problem with the multicultural reality of the nation concerns the occurrence of various issues and the frequent cases of human rights violation in school where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go to beyond the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Mos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ve difficulties such as poor language and basic academic skills, mal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confusion with self-identity and suffer due to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s in life. Those problems are not to be solved in a day. When they are left untouched, they will spread into bigger problems, which is another important variable. Today mos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go to elementary school or younger than school age. Considering the future when they grow up to be the member of South Korean society,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immense now.
After reviewing the overall multicultural situation, the investigator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aspect of education and maintained that there should be 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education to solve those problems.
The study adopted the morality subject as a subject fit for providing 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education, analyzing the third-grade morality textbooks, putting together the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content areas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propos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education.
Addressing such content, the study remained at the level of suggesting methods for 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accordingly has some limitations for not measuring the efficacy of lessons based on them.
The investigator, however, believes that the study will help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at moral education should play a pivotal role in meaningful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 should be ongoing efforts to provide inclusive education in which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helped to form a positive self-identity and general students are guided not to violate the human rights of multicultural members and discriminate them in natural communication.
Keyword : human right, human rights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moral education
Modern society is gradually evolv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flow of globalization. South Korea is also facing new changes of times in that flow. The number of foreigners that visit and leave the nation in a short and long term is growing more and more. Also growing considerably is the number of foreign workers and marriage immigrants who enter the nation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life and dwell in the nation. South Korean society has made a big step closer to the multicultural era.
Facing the multicultural era, South Korean society is making efforts across many different aspects and offering a lot of supports and policies especiall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re those policies and supports, however, for true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today, multicultural education merely follows its conspicuous phenomena, leaving its essence behind. There is no doubt that knowing and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is certainly needed in a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it must come after the education on the mind set of not discriminating others and having a prejudice for differences and treating others as importantly as one's own existence.
This study thus set out to examine the reality,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urrently provided in the nation and discuss the right direc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a perspective of human rights.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first established the concepts and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reviewed connections between human right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tudy also highlighted human rights education a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human rights and need for human rights education.
The study next covered the multicultural reality of South Korea, in which its changing rate is very fast even though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has not been in action for long. The biggest problem with the multicultural reality of the nation concerns the occurrence of various issues and the frequent cases of human rights violation in school where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go to beyond the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Mos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ve difficulties such as poor language and basic academic skills, mal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confusion with self-identity and suffer due to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s in life. Those problems are not to be solved in a day. When they are left untouched, they will spread into bigger problems, which is another important variable. Today mos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go to elementary school or younger than school age. Considering the future when they grow up to be the member of South Korean society,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immense now.
After reviewing the overall multicultural situation, the investigator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aspect of education and maintained that there should be 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education to solve those problems.
The study adopted the morality subject as a subject fit for providing 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education, analyzing the third-grade morality textbooks, putting together the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content areas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propos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education.
Addressing such content, the study remained at the level of suggesting methods for 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accordingly has some limitations for not measuring the efficacy of lessons based on them.
The investigator, however, believes that the study will help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at moral education should play a pivotal role in meaningful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 should be ongoing efforts to provide inclusive education in which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helped to form a positive self-identity and general students are guided not to violate the human rights of multicultural members and discriminate them in natural communication.
Keyword : human right, human rights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moral 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