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흰쥐에서 진피 분말의 섭취가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녹두녹말에 진피 분말의 함량을 달리한 묵을 제조하여 다양한 연령층에서 섭취할 수 있는 기능성 묵의 품질 특성과 기호도 조사를 수행하여 진피의 기능성 식품으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진피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진피의 탄수화물 함량은 79.8%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있었으며, 그 중 총 식이섬유소의 함량은 59.1%이었다. 또한, 수분 함량은 9.4%였으며, 조단백 6.9%, 조지방 0.5%, 조회분 3.4%로 나타났다. 무기질 조성에서 칼슘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흰쥐에서 진피 분말의 섭취가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녹두녹말에 진피 분말의 함량을 달리한 묵을 제조하여 다양한 연령층에서 섭취할 수 있는 기능성 묵의 품질 특성과 기호도 조사를 수행하여 진피의 기능성 식품으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진피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진피의 탄수화물 함량은 79.8%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있었으며, 그 중 총 식이섬유소의 함량은 59.1%이었다. 또한, 수분 함량은 9.4%였으며, 조단백 6.9%, 조지방 0.5%, 조회분 3.4%로 나타났다. 무기질 조성에서 칼슘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리당은 sucrose, fructose, glucose로 구성되었다. 고지방 식이에 진피분말의 농도를 달리하여 4주간 섭취시킨 흰쥐의 체중 변화에서 대조군에 비해 진피분말 10%첨가군인 HF-10CP와 진피분말 15%첨가군인 HF-15CP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적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이섭취량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식이를 한 대조군과 각각의 진피분말 첨가군은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HF-10CP군와 HF-15CP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식이효율은 HF-15CP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ALT 활성은 고지방식이 대조군에 비해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효과를 나타내었으며, AST 활성은 각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혈중 creatinine은 HF-5CP군, HF-10CP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HF-15CP군에서는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다. 또한 BUN과 uric acid 농도는 모든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 없이 정상군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혈청에서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섭취수준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HF-5CP군과 HF-10CP군에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에서 고지방 식이대조군에 비해 진피분말 첨가군인 HF-10CP군과 HF-15CP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동맥경화지수는 HF-10CP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 식이대조군에 비해 HF-5CP군, HF-10CP군 및 HF-15CP군 모두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간 조직의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총 지질 함량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에서 고지방 식이대조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HF-10CP군과 HF-15CP군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중성지질 함량은 HF-10CP군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간 조직에 대해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정상군의 간세포는 균일하게 잘 배열되어 있으나, HF-5CP, HF-10CP 및 HF-15CP군 모두에서는 일부 지방구를 형성하였으나 고지방 식이대조군의 간에 비해 지방의 침착 정도가 약하게 나타났다. 진피분말 0, 2, 4, 6, 8%를 첨가하여 제조한 진피묵의 품질 특성 결과, 진피묵의 수분 함량은 진피분말 무첨가군과 각각의 첨가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색도 측정 결과, L값은 대조군에 비해 진피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a값은 대조군에 비해 진피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진피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조직감 측정 결과, 대조군의 경도는 진피분말을 첨가한 실험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탄력성은 2% 첨가군에서 대조군과 같은 수치를 보여 탄력성이 가장 좋게 나왔으며, 씹힘성, 검성 및 응집성은 대조군에 비해 모든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뒷맛은 대조군에 비해 진피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나 진피분말 8%첨가군에서 먹고 난 후의 뒷맛이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색의 경우 대조군과 진피분말 2%첨가군은 비슷한 점수를 받았으며 향과 조직감은 진피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진피분말 2%첨가군이 다른 첨가군들에 비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실험결과, 고지방식이와 함께 공급한 진피분말은 체내 지질대사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지질대사 관련한 만성질환 예방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를 이용한 진피묵 역시 색도와 기계적 물성 측정 결과를 함께 고려해 볼 때 2%, 4%의 낮은 농도에서 품질특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어 기능성 식품의 소재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흰쥐에서 진피 분말의 섭취가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녹두녹말에 진피 분말의 함량을 달리한 묵을 제조하여 다양한 연령층에서 섭취할 수 있는 기능성 묵의 품질 특성과 기호도 조사를 수행하여 진피의 기능성 식품으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진피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진피의 탄수화물 함량은 79.8%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있었으며, 그 중 총 식이섬유소의 함량은 59.1%이었다. 또한, 수분 함량은 9.4%였으며, 조단백 6.9%, 조지방 0.5%, 조회분 3.4%로 나타났다. 무기질 조성에서 칼슘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리당은 sucrose, fructose, glucose로 구성되었다. 고지방 식이에 진피분말의 농도를 달리하여 4주간 섭취시킨 흰쥐의 체중 변화에서 대조군에 비해 진피분말 10%첨가군인 HF-10CP와 진피분말 15%첨가군인 HF-15CP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적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이섭취량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식이를 한 대조군과 각각의 진피분말 첨가군은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HF-10CP군와 HF-15CP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식이효율은 HF-15CP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ALT 활성은 고지방식이 대조군에 비해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효과를 나타내었으며, AST 활성은 각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혈중 creatinine은 HF-5CP군, HF-10CP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HF-15CP군에서는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다. 또한 BUN과 uric acid 농도는 모든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 없이 정상군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혈청에서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섭취수준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HF-5CP군과 HF-10CP군에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에서 고지방 식이대조군에 비해 진피분말 첨가군인 HF-10CP군과 HF-15CP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동맥경화지수는 HF-10CP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 식이대조군에 비해 HF-5CP군, HF-10CP군 및 HF-15CP군 모두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간 조직의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총 지질 함량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에서 고지방 식이대조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HF-10CP군과 HF-15CP군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중성지질 함량은 HF-10CP군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간 조직에 대해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정상군의 간세포는 균일하게 잘 배열되어 있으나, HF-5CP, HF-10CP 및 HF-15CP군 모두에서는 일부 지방구를 형성하였으나 고지방 식이대조군의 간에 비해 지방의 침착 정도가 약하게 나타났다. 진피분말 0, 2, 4, 6, 8%를 첨가하여 제조한 진피묵의 품질 특성 결과, 진피묵의 수분 함량은 진피분말 무첨가군과 각각의 첨가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색도 측정 결과, L값은 대조군에 비해 진피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a값은 대조군에 비해 진피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진피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조직감 측정 결과, 대조군의 경도는 진피분말을 첨가한 실험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탄력성은 2% 첨가군에서 대조군과 같은 수치를 보여 탄력성이 가장 좋게 나왔으며, 씹힘성, 검성 및 응집성은 대조군에 비해 모든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뒷맛은 대조군에 비해 진피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나 진피분말 8%첨가군에서 먹고 난 후의 뒷맛이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색의 경우 대조군과 진피분말 2%첨가군은 비슷한 점수를 받았으며 향과 조직감은 진피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진피분말 2%첨가군이 다른 첨가군들에 비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실험결과, 고지방식이와 함께 공급한 진피분말은 체내 지질대사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지질대사 관련한 만성질환 예방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를 이용한 진피묵 역시 색도와 기계적 물성 측정 결과를 함께 고려해 볼 때 2%, 4%의 낮은 농도에서 품질특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어 기능성 식품의 소재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pimook and effects of Citri pericarpium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 fat diet. we compared the effects of the Citi Pericarpium powder of 5%, 10% and 15% on rats fed high fat diet for four weeks. Sprague-Dawley male ra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pimook and effects of Citri pericarpium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 fat diet. we compared the effects of the Citi Pericarpium powder of 5%, 10% and 15% on rats fed high fat diet for four weeks. Sprague-Dawley male rats of weighing 150 ± 5 g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 normal control diet(Normal), and high fat diet with none Citri Pericarpium powder(Control), high fat diet with 5% Citri Pericarpium powder(HF-5CP), high fat diet with 10% Citri Pericarpium powder(HF-10CP), high fat diet with 15% Citri Pericarpium powder(HF-15CP), respectively. The weight chang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10CP and HF-15CP groups. In addition, HF-15CP group in the food efficiency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lowest. The activity of serum AL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5CP, HF-10CP and HF-15CP groups. And the activity of serum AS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s among the five groups. The concentration of serum creatinin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15CP group. The level of serum total cholestero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s among the five groups, but the intak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F-5CP group and HF-10CP group showed lower levels. Total cholesterol to HDL-cholesterol ratio in the HF-10CP group and HF-15CP grou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level of serum LDL-cholesterol was highest levels in the Control group and lowest levels in the HF-5CP, HF-10CP and HF-15CP groups. The tot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liver was highest levels in the Control group and lowest levels in the HF-10CP and HF-15CP groups. And the triglyceride concentration in liver was HF-10CP group showed the lowest level. Photomicrographs of liver tissue showed higher fat accumulation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the HF-5CP, HF-10CP and HF-15CP group. An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mook added with five different levels (0, 2, 4, 6 and 8%) of Citri Pericarpium powder. We analyzed proximate composition, Hunter’s color values, texture characteristics and performed sensory evaluation of mungbeanmook added with Citri Pericarpium powder. The moisture cont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s among the five groups. As Citri Pericarpium powder concentration increased, the color lightness “L”value increased, whereas redness color “a”value decreased, and yellowness color “b”valu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regard to mechanical texture properties of the mungbeanmook samples, the hardness is highest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highest springiness was observed in the group added with 2% Citri Pericarpium powder. The scores of chewiness, gumminess and cohesivenes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2, 4, 6% and 8% added Citri Pericarpium powder group. The results of sensory te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fter-taste, color, flavor, texture and overall quality. Overall quality was the highest in the group supplemented at 2%. From the above result, we suggested that Citri Pericarpium powder were effecttive in the improvement of lipid level in rats fed high fat diet, and can be a useful approach to improving quality of mungbeanmook as a functional foo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pimook and effects of Citri pericarpium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 fat diet. we compared the effects of the Citi Pericarpium powder of 5%, 10% and 15% on rats fed high fat diet for four weeks. Sprague-Dawley male rats of weighing 150 ± 5 g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 normal control diet(Normal), and high fat diet with none Citri Pericarpium powder(Control), high fat diet with 5% Citri Pericarpium powder(HF-5CP), high fat diet with 10% Citri Pericarpium powder(HF-10CP), high fat diet with 15% Citri Pericarpium powder(HF-15CP), respectively. The weight chang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10CP and HF-15CP groups. In addition, HF-15CP group in the food efficiency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lowest. The activity of serum AL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5CP, HF-10CP and HF-15CP groups. And the activity of serum AS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s among the five groups. The concentration of serum creatinin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15CP group. The level of serum total cholestero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s among the five groups, but the intak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F-5CP group and HF-10CP group showed lower levels. Total cholesterol to HDL-cholesterol ratio in the HF-10CP group and HF-15CP grou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level of serum LDL-cholesterol was highest levels in the Control group and lowest levels in the HF-5CP, HF-10CP and HF-15CP groups. The tot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liver was highest levels in the Control group and lowest levels in the HF-10CP and HF-15CP groups. And the triglyceride concentration in liver was HF-10CP group showed the lowest level. Photomicrographs of liver tissue showed higher fat accumulation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the HF-5CP, HF-10CP and HF-15CP group. An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mook added with five different levels (0, 2, 4, 6 and 8%) of Citri Pericarpium powder. We analyzed proximate composition, Hunter’s color values, texture characteristics and performed sensory evaluation of mungbeanmook added with Citri Pericarpium powder. The moisture cont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s among the five groups. As Citri Pericarpium powder concentration increased, the color lightness “L”value increased, whereas redness color “a”value decreased, and yellowness color “b”valu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regard to mechanical texture properties of the mungbeanmook samples, the hardness is highest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highest springiness was observed in the group added with 2% Citri Pericarpium powder. The scores of chewiness, gumminess and cohesivenes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2, 4, 6% and 8% added Citri Pericarpium powder group. The results of sensory te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fter-taste, color, flavor, texture and overall quality. Overall quality was the highest in the group supplemented at 2%. From the above result, we suggested that Citri Pericarpium powder were effecttive in the improvement of lipid level in rats fed high fat diet, and can be a useful approach to improving quality of mungbeanmook as a functional foo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