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금붕어를 사육하는 BFT(biofloc technique) 시스템 수조 내에서 플락 형성과 수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정 폭기 강도를 알아보기 위해, 70 L 원형수조를 이용하여 실험실 규모의 BFT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공기 주입에 의한 폭기 강도는 수질내의 수류 형성, 저면 슬러지 축적, 용존산소 농도 조절에 영향을 미치며, 용존산소는 바이오플락내에 있는 미생물에 의해 일어나는 ...
본 연구는 금붕어를 사육하는 BFT(biofloc technique) 시스템 수조 내에서 플락 형성과 수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정 폭기 강도를 알아보기 위해, 70 L 원형수조를 이용하여 실험실 규모의 BFT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공기 주입에 의한 폭기 강도는 수질내의 수류 형성, 저면 슬러지 축적, 용존산소 농도 조절에 영향을 미치며, 용존산소는 바이오플락내에 있는 미생물에 의해 일어나는 질산화과정과 탈질산화과정에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바이오플락의 구조와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 어류를 사육하는 BFT 시스템에서 폭기 강도에 의한 무기질소 농도 조절은 수질의 안정을 유지 하는데 중요하다. BFT 시스템 수조에 폭기 강도를 1 L/min, 3 L/min, 5 L/min, 7 L/min, 9 L/min로 설정한 실험 구에서는 pH가 7이상 유지되며, 무기질소 농도가 낮은 상태로 유지되는 조건은 1 L/min이였으며, 3 L/min이상의 실험 구에서는 암모니아 농도가 증가 하였고, 아질산, 질산의 농도는 증가 하지 않았다. 적정 폭기 강도 조사와 안정된 수질에서 금붕어를 사육하기 위하여 폭기 강도를 1 L/min, 1.5 L/min, 2 L/min, 2.5 L/min, 3 L/min으로 설정한 실험 구에서 무기질소 농도가 낮은 상태로 유지되는 적정 폭기 강도는 1 L/min ~ 1.5 L/min이였다. pH 및 무기질소 농도 변화가 용존산소 농도와 연관성이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폭기 세기를 1 L/min로 설정 하고 용존산소 농도를 5 ~ 6 mg/L, 7 ~ 8 mg/L, 9 ~ 10 mg/L로 설정한 실험 구에서는 용존 산소 농도에 따른 암모니아, 아질산 그리고 pH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모든 실험구의 질산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금붕어를 사육하는 BFT(biofloc technique) 시스템 수조 내에서 플락 형성과 수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정 폭기 강도를 알아보기 위해, 70 L 원형수조를 이용하여 실험실 규모의 BFT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공기 주입에 의한 폭기 강도는 수질내의 수류 형성, 저면 슬러지 축적, 용존산소 농도 조절에 영향을 미치며, 용존산소는 바이오플락내에 있는 미생물에 의해 일어나는 질산화과정과 탈질산화과정에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바이오플락의 구조와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 어류를 사육하는 BFT 시스템에서 폭기 강도에 의한 무기질소 농도 조절은 수질의 안정을 유지 하는데 중요하다. BFT 시스템 수조에 폭기 강도를 1 L/min, 3 L/min, 5 L/min, 7 L/min, 9 L/min로 설정한 실험 구에서는 pH가 7이상 유지되며, 무기질소 농도가 낮은 상태로 유지되는 조건은 1 L/min이였으며, 3 L/min이상의 실험 구에서는 암모니아 농도가 증가 하였고, 아질산, 질산의 농도는 증가 하지 않았다. 적정 폭기 강도 조사와 안정된 수질에서 금붕어를 사육하기 위하여 폭기 강도를 1 L/min, 1.5 L/min, 2 L/min, 2.5 L/min, 3 L/min으로 설정한 실험 구에서 무기질소 농도가 낮은 상태로 유지되는 적정 폭기 강도는 1 L/min ~ 1.5 L/min이였다. pH 및 무기질소 농도 변화가 용존산소 농도와 연관성이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폭기 세기를 1 L/min로 설정 하고 용존산소 농도를 5 ~ 6 mg/L, 7 ~ 8 mg/L, 9 ~ 10 mg/L로 설정한 실험 구에서는 용존 산소 농도에 따른 암모니아, 아질산 그리고 pH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모든 실험구의 질산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