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모바일 기기의 대중화로 기업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제약이 없는 QR코드를 이용하여 소비자와 직접적인 마케팅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QR코드 마케팅이 더 강화 될 것으로 예견되며, 본 연구는 ...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모바일 기기의 대중화로 기업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제약이 없는 QR코드를 이용하여 소비자와 직접적인 마케팅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QR코드 마케팅이 더 강화 될 것으로 예견되며, 본 연구는 쇼핑성향과 모바일 플로우에 따른 패션제품 QR코드 특성과, QR코드 태도, QR코드 사용의도, 브랜드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현재 패션제품 QR코드에 대한 이론적 접근이 시도되지 않은 시점에서 쇼핑성향으로 소비자를 세분화 하여 QR코드를 이용한 효과적인 마케팅 및 전략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4년 4월 25일부터 5월 3일까지 총 8일에 걸쳐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20〜30대의 남녀 중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패션제품 QR코드를 사용한 경험이 있거나 QR코드를 알고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90부의 자료를 SPSS 19.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쇼핑성향은 쾌락 지향성, 브랜드 지향성, 편의 지향성, 합리 지향성, 저가격 지향성 5개의 하위차원으로 도출되었으며, 패션제품 QR코드 특성은 정보성, 사용 편의성, 유희성, 유용성 4개의 하위차원으로 도출되었다. 모바일 플로우, QR코드 태도, QR코드 사용의도, 브랜드 태도는 각각 1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요인분석에서 산출된 요인점수에 의해 연구모형과 연구문제에 따라 순차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쇼핑성향이 패션제품 QR코드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보성’에서는 쇼핑성향 요인 중 ‘브랜드 지향성’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용성’에서는 쇼핑성향 요인 중 ‘편의 지향성’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편의성’ 과 “유희성”에서는 쇼핑성향의 요인이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바일 플로우가 패션제품 QR코드에 미치는 요인은 “유희성” 으로 나타났다. 넷째, 패션제품 QR코드 특성이 QR코드 태도에 미치는 요인은 “유희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사용 편의성”, “유용성”, “정보성” 순으로 패션제품 QR코드의 모든 특성이 QR코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QR코드 태도는 높은 설명력으로 QR코드 사용의도와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QR코드 사용의도가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통해 패션분야에서의 QR코드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없어 쇼핑의 편리성과 유용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흥미로운 쇼핑체험을 향상 시킬 수 있어 패션제품과 같은 체험적 상품에서의 QR코드 활용가능성은 더욱 관심이 집중될 것이라 생각되며, 기업의 QR코드 마케팅 전략과 패션제품 QR코드에 관련된 연구가 부족한 학계에도 기초가 되는 문헌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모바일 기기의 대중화로 기업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제약이 없는 QR코드를 이용하여 소비자와 직접적인 마케팅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QR코드 마케팅이 더 강화 될 것으로 예견되며, 본 연구는 쇼핑성향과 모바일 플로우에 따른 패션제품 QR코드 특성과, QR코드 태도, QR코드 사용의도, 브랜드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현재 패션제품 QR코드에 대한 이론적 접근이 시도되지 않은 시점에서 쇼핑성향으로 소비자를 세분화 하여 QR코드를 이용한 효과적인 마케팅 및 전략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4년 4월 25일부터 5월 3일까지 총 8일에 걸쳐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20〜30대의 남녀 중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패션제품 QR코드를 사용한 경험이 있거나 QR코드를 알고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90부의 자료를 SPSS 19.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쇼핑성향은 쾌락 지향성, 브랜드 지향성, 편의 지향성, 합리 지향성, 저가격 지향성 5개의 하위차원으로 도출되었으며, 패션제품 QR코드 특성은 정보성, 사용 편의성, 유희성, 유용성 4개의 하위차원으로 도출되었다. 모바일 플로우, QR코드 태도, QR코드 사용의도, 브랜드 태도는 각각 1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요인분석에서 산출된 요인점수에 의해 연구모형과 연구문제에 따라 순차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쇼핑성향이 패션제품 QR코드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보성’에서는 쇼핑성향 요인 중 ‘브랜드 지향성’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용성’에서는 쇼핑성향 요인 중 ‘편의 지향성’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편의성’ 과 “유희성”에서는 쇼핑성향의 요인이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바일 플로우가 패션제품 QR코드에 미치는 요인은 “유희성” 으로 나타났다. 넷째, 패션제품 QR코드 특성이 QR코드 태도에 미치는 요인은 “유희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사용 편의성”, “유용성”, “정보성” 순으로 패션제품 QR코드의 모든 특성이 QR코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QR코드 태도는 높은 설명력으로 QR코드 사용의도와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QR코드 사용의도가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통해 패션분야에서의 QR코드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없어 쇼핑의 편리성과 유용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흥미로운 쇼핑체험을 향상 시킬 수 있어 패션제품과 같은 체험적 상품에서의 QR코드 활용가능성은 더욱 관심이 집중될 것이라 생각되며, 기업의 QR코드 마케팅 전략과 패션제품 QR코드에 관련된 연구가 부족한 학계에도 기초가 되는 문헌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companies are trying to do direct marketing to consumers using QR code without the constraints online and off-lin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with the popularization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 Tablet PC. With this change...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companies are trying to do direct marketing to consumers using QR code without the constraints online and off-lin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with the popularization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 Tablet PC. With this change, it’s expected that QR code marketing will be more strengthened in a ubiquitous environment so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effective marketing using QR code and strategy establishment by subdividing consumers with their shopping orientation as theoretical approach on current fashion products’ QR code is not attempted, by analyzing the effects of shopping orientation and mobile flow on fashion products’ QR code characteristics, QR code attitudes, QR code use intentions and brand attitudes.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targeted customers with an experience of using fashion products’ QR code with mobile devices or customers who know QR code among the men and women aged 20-30s over 8 days from April 25 to May 3, 2014 and with the total 290 of questionnaires, SPSS 19.0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shopping orientation was obtained to 5 sub dimensions such as pleasure orientation, brand orientation, convenience orientation, rationality orientation and low-cost orientation, fashion products’ QR code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to 4 sub dimensions such as being informative, ease of use, playfulness and usability. Mobile flow, QR code attitudes, QR code use intentions, and brand attitudes were drawn to 1 factor, respectively.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sequentially according to research models and questions by the factor scores calculated from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shopping orientation on fashion products’ QR code characteristics, only ‘brand orientation’ among shopping orientation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ing informative’, only ‘convenience orientation’ among shopping orientation fact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usability’, and all shopping orientation factor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ease of use’ and ‘playfulness’. Third, the factor of mobile flow on fashion products’ QR code was ‘playfulness’. Fourth, as a factor of fashion products’ QR code characteristics on QR code attitudes, ‘playfulness’ had the biggest effect and all characteristics of fashion products’ QR co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QR code attitudes in order of ‘ease of use’, ‘usability’, ‘being informative’. Fifth, QR code attitudes had a positive impact on QR code use intentions and brand attitudes with high explanatory power. Finally, QR code use intention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attitudes. In this study, it’s considered that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QR code in experiential products such as fashion products will be more concentrated as QR code in the fashion field improves exciting shopping experiences as well as provides shopping’s convenience and usability without the constraints of time and place through the analysis and it’s to present the underlying literature data in the academic world that corporate QR code marketing strategies and fashion products’ QR code-related studies are insufficient.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companies are trying to do direct marketing to consumers using QR code without the constraints online and off-lin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with the popularization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 Tablet PC. With this change, it’s expected that QR code marketing will be more strengthened in a ubiquitous environment so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effective marketing using QR code and strategy establishment by subdividing consumers with their shopping orientation as theoretical approach on current fashion products’ QR code is not attempted, by analyzing the effects of shopping orientation and mobile flow on fashion products’ QR code characteristics, QR code attitudes, QR code use intentions and brand attitudes.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targeted customers with an experience of using fashion products’ QR code with mobile devices or customers who know QR code among the men and women aged 20-30s over 8 days from April 25 to May 3, 2014 and with the total 290 of questionnaires, SPSS 19.0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shopping orientation was obtained to 5 sub dimensions such as pleasure orientation, brand orientation, convenience orientation, rationality orientation and low-cost orientation, fashion products’ QR code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to 4 sub dimensions such as being informative, ease of use, playfulness and usability. Mobile flow, QR code attitudes, QR code use intentions, and brand attitudes were drawn to 1 factor, respectively.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sequentially according to research models and questions by the factor scores calculated from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shopping orientation on fashion products’ QR code characteristics, only ‘brand orientation’ among shopping orientation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ing informative’, only ‘convenience orientation’ among shopping orientation fact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usability’, and all shopping orientation factor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ease of use’ and ‘playfulness’. Third, the factor of mobile flow on fashion products’ QR code was ‘playfulness’. Fourth, as a factor of fashion products’ QR code characteristics on QR code attitudes, ‘playfulness’ had the biggest effect and all characteristics of fashion products’ QR co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QR code attitudes in order of ‘ease of use’, ‘usability’, ‘being informative’. Fifth, QR code attitudes had a positive impact on QR code use intentions and brand attitudes with high explanatory power. Finally, QR code use intention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attitudes. In this study, it’s considered that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QR code in experiential products such as fashion products will be more concentrated as QR code in the fashion field improves exciting shopping experiences as well as provides shopping’s convenience and usability without the constraints of time and place through the analysis and it’s to present the underlying literature data in the academic world that corporate QR code marketing strategies and fashion products’ QR code-related studies are insufficient.
Keyword
#쇼핑성향 모바일 플로우 패션제품 QR코드 특성 QR코드 태도 QR코드 사용의도 브랜드 태도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여례
학위수여기관
건국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의류학과 패션마케팅
지도교수
황진숙
발행연도
2014
총페이지
90
키워드
쇼핑성향 모바일 플로우 패션제품 QR코드 특성 QR코드 태도 QR코드 사용의도 브랜드 태도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