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비즈니스 모바일 마케팅의 QR Code 속성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연구
Preceding Factors in the Effect of QR Code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 for Mobile Marketing in Fashion Business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18 no.2, 2014년, pp.80 - 94  

신상무 (숭실대학교 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 ,  이은정 (숭실대학교 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tilization of QR code for mobile marketing in fashion business has been receiving growing attention with the increasing smart phone users and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tilizing QR code for mobile marketing on consumer's purchas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avis(1989) 연구에서도 지각된 유용성이 지각된 이용용이성보다 기술사용에 더 큰 상관관계가 있다고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이용용이성이 지각된 즐거움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기술수용모델을 이론적 근거로 패션산업에서 QR code 속성이 궁극적으로 소비자 구매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QR code의 패션 모바일 마케팅효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향후 QR code 속성에 따른 패션 모바일 마케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기술수용모델을 이론적 근거로 패션산업에서 QR code 속성이 궁극적으로 소비자 구매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QR code의 패션 모바일 마케팅효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향후 QR code 속성에 따른 패션 모바일 마케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패션산업에서 QR code 속성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주 모바일 이용자들인 10대에서 30대 사이의 서울과 대구지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개발은 기존의 선행연구(Kwon, 2011; Zhao, 2011)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맞도록 수정하였으며 QR code의 속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즐거움, 구매의도는 오점척도로 측정되었다.
  • QR code는 정보를 제공하는 흑백 격자무늬의 이차원 바코드이다. 정보용량의 제한 및 숫자와 같은 획일적인 표현 방식인 바코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하였다. 즉, QR code는 한 방향으로만 정보를 가질 수 있는 기존의 바코드와 달리 두 방향 즉 가로, 세로로 정보를 가질 수 있다(Kwon, 2011).

가설 설정

  • 1) 연구가설 1: 패션 산업에서 QR code의 속성(사용편의성, 이동성, 개별성, 상호 작용성, 그리고 디자인 심미성)은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2) 연구가설 2: 패션 산업에서 QR code의 속성(사용편의성, 이동성, 개별성, 상호 작용성, 그리고 디자인 심미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3) 연구가설 3: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인지된 즐거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1: 패션 산업에서 QR code의 속성(사용 편의성, 이동성, 개별성, 상호작용성, 그리고 디자인 심미성)은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2: 패션 산업에서 QR code의 속성(사용 편의성, 이동성, 개별성, 상호작용성, 그리고 디자인 심미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3: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지각된 즐거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4: 지각된 즐거움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QR code는 어떤 특성이 있는가? 최근 무선인터넷, 스마트폰 등의 새로운 기술 확산에 따라 마케팅 수단으로 주목 받고 있는 QR(Quick Response) code는 직접적인 구매와 결제로 이어지면서 QR code에 대한 관심과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QR code는 신문, TV, 웹, 옥외광고, 잡지 등 다양한 매체에 실릴 수 있고 브랜드, 상품 등에 대해 집중된 정보를 제공하는 특성이 있다.
Employees Marketing이란 무엇인가? 패션마케팅의 경우 개발자와 디자이너는 주로 뒤에 숨어 있었으나 20대 중반부터 30대 중반을 타켓으로 캐주얼과 클래식의 하이브리드 제품을 만드는 남성 의류브랜드 켈번(KELBURN)에서 QR code를 적극 활용한 Employees Marketing을 선보였다. Employees Marketing은 매장 직원이나 디자이너가 소비자와 직접 접하여 창출하는 마케팅 효과 즉, 매장에 디자이너가 있다가 직접 소비자에게 제품의 아이디어나 설명을 하는 효과를 QR code(이를 켈번에서는 켈번코드라고 부른다.)를 이용하여 마케팅 하는 것으로 이렇게 QR code를 통해 매장을 방문하지 않아도 제품 정보나 설명을 접할 수 있다.
QR code가 등장한 배경은 무엇인가? QR code는 정보를 제공하는 흑백 격자무늬의 이차원 바코드이다. 정보용량의 제한 및 숫자와 같은 획일적인 표현 방식인 바코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하였다. 즉, QR code는 한 방향으로만 정보를 가질 수 있는 기존의 바코드와 달리 두 방향 즉 가로, 세로로 정보를 가질 수 있다(Kwon,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e, Y. (2005). A study of universal web navigation design to improve web usability of older-aged us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 Choi, G. (2008). Recognition system of 2D bar code for mobile appli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Gumi, Gyeongbuk, Korea. 

  3. Choi, J. (2011). A study of the affects of design Quick Response code on the consumer's attitude: Focusing on the multi-attribute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4.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5. Davis, F. D. (1986).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empirically testing new end-user information system: Theory and resul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Boston, USA. 

  6. Davis, F. D. (1993).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 characteristics, User perceptions and behavioral impacts. International Journal of Man Machine Studies, 35, 982-1003. 

  7. Davis, F. D., Bagozzi, R. P., & Warshaw, P. R. (1992).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to use computers in the workplac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2(14), 1111-1132. 

  8. Desai, H. (2013, January 13). Victoria Secret Sexier than Skin Campaign. Word Press Retrieved from http://cultofcreativity.com 

  9. Idea in Ad, employment marketing. (2010). Retrieved from http://ideabulb.co.kr/10093323897 

  10. Igbaria, M., Parasuraman, S., & Baroudi, J. J. (1996). A motivational model of microcomputer usag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3(1), 127-143. 

  11. Indvik, L. (2010, July 13). Calvin Klein Jeans Replaces Racy Billboards with QR Codes. Marshable. Retrieved from http://mashable.com 

  12. Jeong, S.[Sukyoung], & Hong, J.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preference and aesthetic elements, and the importance of aesthetic elements in product design: With relevance to electrical home applianc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18(2), 123-132. 

  13. Jeong, S.[Seongmin], Kim, S., & Cho, S. D. (2011).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mobile coupon service on consumers' intention of using mobile coupons. Korean Marketing Journal, 13(3), 103-134. 

  14. Jin, J., Zhao, L., & Park, J. (2011). A research on usage factors of mobile microblogging service. Management Science, 28(3), 83-94. 

  15. Jo, H. (2010). Analysis on implementation of interactive digital content based on image recognition and its convenience of u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Korea.  

  16. Kang, K. & Jin, H. (2007). A study on consumers' clothing buying intention adopted by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8), 1211-1221. 

  17. Kim. G. (2010. September 6) Sketchers Introducing QR code, targeting 350 million smart phone users. Segye Ilbo. Retrieved from http://www.segye.com 

  18. Kim, J. & Yu, E. (2012). Effects of advertising combining TV and QR code. Journal of Advertising, 94, 117-147. 

  19. Kim, S. (2007). A study on the aesthetic factor of preference cellular phone design for Korea and China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0. Kwon, H. (2011). The effect of QR code propensity to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adverti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1. Lee, D. (2011). A study on applications of 2-dimensional bar code system : In the cases of QR code desig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2. Lee, K. (2009). Normative model of information processing of SMS-based mobile advertising.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0(6), 183-203. 

  23. Lee, K., & Kim, E. (2011). Characteristics of QR code Ad and its effects on usage satisfaction and consumers' behavior as a commercial communication tool.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2(3), 103-124. 

  24. Lee, M. (2010, September 1). Osen Now it is time for communication and trust in marketing. Osen. Retrieved from http://osen.mt.co.kr 

  25. Liu, X. (2009).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umer purchase intention of fashion merchandise in internet shopping mall us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26. Park, J. (2012). A research on expansion of library service by using QR code. Library Informatics Research, 43(1), 321-347. 

  27. Park, S. (2011). A study and direction on bar code revolution: Design QR codes in Korea and overseas. Digital Design Study, 11(1), 505-514. 

  28. QR code and QR code features. (2008). Denso Wave Inc. Retrieved September 21, 2013, from http://www.denso-wave.com 

  29. Rogers, E. (1995). Diffusion of Innovation. New York, NY: A Division of Simon & Schuster, Inc. 

  30. Suh, C. & Seong, S. (2004). Individual characteristics affecting user's intention to use internet shopping mall. Business Informatics Research 14(3), 1-22. 

  31. Wei, H. S. (2011). A study of tablet PC electronic magazine navigation design to improve us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32. Yang, H. (2011). The influence of design QR cord on the a receiver's response: Focusing on attraction and recogni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33. Zhao, Liang (2011). The effect of fashion companies' micro blog marketing to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company and purchase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