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보활용교육을 담당하는 사서와 피교육자인 이용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국외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를 참고하여 이를 바탕으로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 현황조사 및 설문조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정보활용교육의 정의와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개념과 유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황조사에서는 교육대학, 산업대학, 전문대학, 예술대학, 기술대학 등의 41개관을 제외한 국내 4년제 종합대학의 대학도서관 137개관의 홈페이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도서관 이용안내만을 제공하거나 정보활용교육을 제공하지 않는 대학도서관 24개관을 제외하여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을 1개 이상 제공하고 있는 대학도서관 113개관을 파악하였다. 정보활용교육 담당사서 대상 설문조사는 2014년 10월 27일부터 11월 12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실시하였고, 설문의 응답을 허락한 76개관의 80명의 사서들에게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59명에게 59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나, 답변이 미흡한 14부를 제외하여 총 45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의 응답률은 56.2%이다.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현황,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조사하고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에 대한 요구를 분석해 보았다.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을 받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요구조사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를 통하여 국내 대학도서관통계를 참고하였다. 대학도서관통계의 범주 중 이용자교육통계의 결과에 따라 순위대로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담당자에게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를 요청하였고, 요청에 응한 대학도서관 중에서 정보활용교육을 정기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의 수가 많은 순위에 따라 총 4개의 대학도서관을 대상기관으로 선정하였다. 2014년 11월 17일부터 11월 26일까지 직접 방문 및 이메일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85부 중 답변이 미흡한 4부를 제외하여 총 81부를 분석하였고 설문의 응답률은 95.3%이다. 국외 사례연구에서는 미국의 연구도서관협회(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에 가입되어 있는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이 중 ‘Almanac of Higher Education 2014’의 통계를 통해 대학도서관 인력과 예산 등 규모가 큰 대학도서관 50곳을 선정하였다. 그 50개 대학도서관의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정보활용교육 관련 프로그램으로써 ‘Libraries Classes', ’Library ...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보활용교육을 담당하는 사서와 피교육자인 이용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국외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를 참고하여 이를 바탕으로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 현황조사 및 설문조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정보활용교육의 정의와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개념과 유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황조사에서는 교육대학, 산업대학, 전문대학, 예술대학, 기술대학 등의 41개관을 제외한 국내 4년제 종합대학의 대학도서관 137개관의 홈페이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도서관 이용안내만을 제공하거나 정보활용교육을 제공하지 않는 대학도서관 24개관을 제외하여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을 1개 이상 제공하고 있는 대학도서관 113개관을 파악하였다. 정보활용교육 담당사서 대상 설문조사는 2014년 10월 27일부터 11월 12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실시하였고, 설문의 응답을 허락한 76개관의 80명의 사서들에게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59명에게 59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나, 답변이 미흡한 14부를 제외하여 총 45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의 응답률은 56.2%이다.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현황,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조사하고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에 대한 요구를 분석해 보았다.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을 받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요구조사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를 통하여 국내 대학도서관통계를 참고하였다. 대학도서관통계의 범주 중 이용자교육통계의 결과에 따라 순위대로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담당자에게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를 요청하였고, 요청에 응한 대학도서관 중에서 정보활용교육을 정기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의 수가 많은 순위에 따라 총 4개의 대학도서관을 대상기관으로 선정하였다. 2014년 11월 17일부터 11월 26일까지 직접 방문 및 이메일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85부 중 답변이 미흡한 4부를 제외하여 총 81부를 분석하였고 설문의 응답률은 95.3%이다. 국외 사례연구에서는 미국의 연구도서관협회(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에 가입되어 있는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이 중 ‘Almanac of Higher Education 2014’의 통계를 통해 대학도서관 인력과 예산 등 규모가 큰 대학도서관 50곳을 선정하였다. 그 50개 대학도서관의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정보활용교육 관련 프로그램으로써 ‘Libraries Classes', ’Library Instruction', ‘Workshps and Tutorials'의 세부사항을 확인하고 이 중에서 프로그램의 수가 많은 대학 상위 5곳을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국내 현황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활용교육 전담사서를 보유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은 총 75.6%를 차지하지만, 정보활용교육이 비활성화되는 원인으로써 사서의 시간부족이 5.08의 높은 평균값으로 1순위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는 교육 부분 외에 업무량이 많아 교안개발 및 프로그램 개발에 전념할 수 없다는 의견이 조사되었다. 둘째, 대부분의 대학도서관이 한 학기를 기준으로 주로 비정기적으로 도서관 일정에 따라 진행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자 조사에서는 정기적인 교육 제공, 필수이수과목으로 운영할 것을 희망하는 의견이 조사되었다. 셋째,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의 비활성화의 원인에 대하여 담당자 조사에서는 홍보부족이 7개의 항목 중에서 2.48의 낮은 평균값으로 7순위를 차지하였으나, 이용자 조사에서는 66.6%의 응답자가 정보활용교육의 홍보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답변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홍보에 대한 요구는 담당자보다 이용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에 대한 사전조사와 교육평가를 모두 실시한다는 경우는 15.6%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하지 않는다는 경우는 40.0%를 차지하여 현 대학도서관에서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정보활용교육에 대한 사전조사와 교육평가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정보활용교육 담당자 조사에서는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부족이 3.33의 평균값으로 정보활용교육 비활성화 원인의 4순위로 나타났으나, 이용자 조사에서는 다수의 이용자가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요구하였고, 구체적으로 이용자의 전공분야 및 관심분야에 대한 프로그램 구성을 희망하였다. 이용자는 다양한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여섯째,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중요도 항목의 순위와 이와 관련하여 현재 운영 중인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응답 수를 확인하고, 정보활용교육 담당자가 생각하는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중요도와 현재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운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일곱째, 대부분의 대학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에 활용되는 도구 및 자료는 프레젠테이션이 37.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실습교육의 경우는 1.7%로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용자 조사에서는 이론교육 중심의 구성 때문에 실습이 부족하여 교육 내용의 전달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국외 사례 및 국내 현황조사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교육 및 홍보 요소와 프로그램 요소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교육 및 홍보 요소에 대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안 개발 및 프로그램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학 및 대학도서관 구성원과의 협력관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수업연계교육 및 팀티칭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정규 교육시간 확보를 위해 정보활용교육을 교양과목으로 지정하여 다수의 이용자의 정보활용능력 향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용자의 교육 참여기회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주 단위 정기교육을 통해 이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프로그램의 운영을 확대해야한다. 셋째, 교육프로그램 수료자의 명단을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수료자에 한하여 도서관 이용에 혜택을 주거나, SNS 및 대학생 커뮤니티사이트 활용을 통해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홍보를 실시해야 한다. 넷째, 이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feedback 요청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요구사항 및 의견을 조사하고 이를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적극 반영해야 한다. 프로그램 요소에 대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를 대상으로 자관의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선호도를 조사하여 이용자의 요구를 적극 반영한 관심 분야, 주제 분야와 전공분야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을 영역별로 세분화하여 프로그램이 한 영역으로 편중되는 것을 조절하여 이용자에게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한다. 셋째, 실습교육 부족을 개선하기 위해 온라인 튜토리얼 및 다양한 디바이스의 활용을 통하여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이용자의 접근성 확보와 반복적인 학습이 가능한 환경을 마련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담당자와 이용자의 요구를 살펴보고 국외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를 반영하여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보활용교육을 담당하는 사서와 피교육자인 이용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국외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를 참고하여 이를 바탕으로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 현황조사 및 설문조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정보활용교육의 정의와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개념과 유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황조사에서는 교육대학, 산업대학, 전문대학, 예술대학, 기술대학 등의 41개관을 제외한 국내 4년제 종합대학의 대학도서관 137개관의 홈페이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도서관 이용안내만을 제공하거나 정보활용교육을 제공하지 않는 대학도서관 24개관을 제외하여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을 1개 이상 제공하고 있는 대학도서관 113개관을 파악하였다. 정보활용교육 담당사서 대상 설문조사는 2014년 10월 27일부터 11월 12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실시하였고, 설문의 응답을 허락한 76개관의 80명의 사서들에게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59명에게 59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나, 답변이 미흡한 14부를 제외하여 총 45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의 응답률은 56.2%이다.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현황,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조사하고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에 대한 요구를 분석해 보았다.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을 받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요구조사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를 통하여 국내 대학도서관통계를 참고하였다. 대학도서관통계의 범주 중 이용자교육통계의 결과에 따라 순위대로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담당자에게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를 요청하였고, 요청에 응한 대학도서관 중에서 정보활용교육을 정기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의 수가 많은 순위에 따라 총 4개의 대학도서관을 대상기관으로 선정하였다. 2014년 11월 17일부터 11월 26일까지 직접 방문 및 이메일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85부 중 답변이 미흡한 4부를 제외하여 총 81부를 분석하였고 설문의 응답률은 95.3%이다. 국외 사례연구에서는 미국의 연구도서관협회(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에 가입되어 있는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이 중 ‘Almanac of Higher Education 2014’의 통계를 통해 대학도서관 인력과 예산 등 규모가 큰 대학도서관 50곳을 선정하였다. 그 50개 대학도서관의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정보활용교육 관련 프로그램으로써 ‘Libraries Classes', ’Library Instruction', ‘Workshps and Tutorials'의 세부사항을 확인하고 이 중에서 프로그램의 수가 많은 대학 상위 5곳을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국내 현황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활용교육 전담사서를 보유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은 총 75.6%를 차지하지만, 정보활용교육이 비활성화되는 원인으로써 사서의 시간부족이 5.08의 높은 평균값으로 1순위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는 교육 부분 외에 업무량이 많아 교안개발 및 프로그램 개발에 전념할 수 없다는 의견이 조사되었다. 둘째, 대부분의 대학도서관이 한 학기를 기준으로 주로 비정기적으로 도서관 일정에 따라 진행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자 조사에서는 정기적인 교육 제공, 필수이수과목으로 운영할 것을 희망하는 의견이 조사되었다. 셋째,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의 비활성화의 원인에 대하여 담당자 조사에서는 홍보부족이 7개의 항목 중에서 2.48의 낮은 평균값으로 7순위를 차지하였으나, 이용자 조사에서는 66.6%의 응답자가 정보활용교육의 홍보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답변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홍보에 대한 요구는 담당자보다 이용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에 대한 사전조사와 교육평가를 모두 실시한다는 경우는 15.6%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하지 않는다는 경우는 40.0%를 차지하여 현 대학도서관에서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정보활용교육에 대한 사전조사와 교육평가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정보활용교육 담당자 조사에서는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부족이 3.33의 평균값으로 정보활용교육 비활성화 원인의 4순위로 나타났으나, 이용자 조사에서는 다수의 이용자가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요구하였고, 구체적으로 이용자의 전공분야 및 관심분야에 대한 프로그램 구성을 희망하였다. 이용자는 다양한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여섯째,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중요도 항목의 순위와 이와 관련하여 현재 운영 중인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응답 수를 확인하고, 정보활용교육 담당자가 생각하는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중요도와 현재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운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일곱째, 대부분의 대학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에 활용되는 도구 및 자료는 프레젠테이션이 37.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실습교육의 경우는 1.7%로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용자 조사에서는 이론교육 중심의 구성 때문에 실습이 부족하여 교육 내용의 전달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국외 사례 및 국내 현황조사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교육 및 홍보 요소와 프로그램 요소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교육 및 홍보 요소에 대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안 개발 및 프로그램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학 및 대학도서관 구성원과의 협력관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수업연계교육 및 팀티칭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정규 교육시간 확보를 위해 정보활용교육을 교양과목으로 지정하여 다수의 이용자의 정보활용능력 향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용자의 교육 참여기회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주 단위 정기교육을 통해 이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프로그램의 운영을 확대해야한다. 셋째, 교육프로그램 수료자의 명단을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수료자에 한하여 도서관 이용에 혜택을 주거나, SNS 및 대학생 커뮤니티사이트 활용을 통해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홍보를 실시해야 한다. 넷째, 이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feedback 요청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요구사항 및 의견을 조사하고 이를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적극 반영해야 한다. 프로그램 요소에 대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를 대상으로 자관의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선호도를 조사하여 이용자의 요구를 적극 반영한 관심 분야, 주제 분야와 전공분야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을 영역별로 세분화하여 프로그램이 한 영역으로 편중되는 것을 조절하여 이용자에게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한다. 셋째, 실습교육 부족을 개선하기 위해 온라인 튜토리얼 및 다양한 디바이스의 활용을 통하여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이용자의 접근성 확보와 반복적인 학습이 가능한 환경을 마련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담당자와 이용자의 요구를 살펴보고 국외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를 반영하여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a improvement plan for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By analyzing the requests by librarians who take in charge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and users, and foreign case studies with regard to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a improvement plan for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By analyzing the requests by librarians who take in charge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and users, and foreign case studies with regard to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was carri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domestic university library's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To begin with, the definition of and the necessity for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were expanded and the concepts and types of the program were explored. For the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survey, total of 113 university libraries providing at least on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were identified from the web-sites of the 137 university libraries excluding the teachers' college, industrial college, community college, art college, technical college, etc. and the 24 libraries that either offer only the library use information or never offer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at all. The survey targeting librarians in charge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were conducted online from 27 October to 12 November 2014. Chosen from the 80 librarians of the 76 libraries who have agreed to take part in the questionnaire, those 45 librarians of total 38 libraries were answered the current status and components of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The survey targeting users who have received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were referred to the domestic library statistics through the Korea 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The survey targeting users were requested to the personnel for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in the order of the results in the user education statistics within the categories of the university library statistics, and the four universities among the participants were designated. The site surveys were conducted from 17 to 26 November, 2014 and collected 81 cases were analyzed. For the foreign case studies, the 50 university libraries with a large number of staffs and budgets were selected through the statistics of the ‘Almanac of Higher Education 2014’ among the universities registered to the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Finally, the details concerning the ‘Libraries Classes’, ‘Library Instruction’ and ‘Workshops and Tutorials’ as the an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related program were verified as visiting their web-sites, and resulting 5 university libraries with numerous programs were analyzed. The finding drawn from the domestic status and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ough total 75.6% of the university libraries were having a librarian exclusively for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the lack of time with the high average point of 5.08 was the primary reason for the inactiv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Specifically it was said that it is impossible to focus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program due to the heavy workload besides education duties. Second, the most of the university libraries are conducting programs irregularly according to the library schedules by semester and the user survey showed the opinions hoping to have a program as a regular education opportunity and a required subject. Third, the lack of publicity was pointed out as the cause for the deactivated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among 7 categories with low 2.48 points on the 7th rank while the 66.6% from the user survey answered that the promotion of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was not implemented appropriately, indicating that the demands for the advertisement of the program by users are higher than that of librarians. Fourth,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prior investigation and assessment of education were not carried out actively as only 15.6% answered that they were conducting both the preliminary survey and educational evaluation for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whereas 40% answered none of them were performed. Fifth, the 4th cause found in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personnel survey exhibited the lack of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with a mean value of 3.33 points but the user survey specified the demand for diversified education program structures by users specific to the users's majors and interested areas. The user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to develop varied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Sixth, the ranks of the importance of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components and the response numbers for the currently operating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were identified to comprehend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of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components that a librarian consider and the structure and management of the current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instruction program. Seventh, the presentation took 37.1% as the most frequently used tools and materials in the most of the university libraries'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while the practice education was only 1.7%. The user survey presented that the power of contents delivery decreased because of the theory oriented structure of the programs absent of actual practices. On the basis of foreign case studies and domestic status and surveys,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s were suggested divided into instruction & publicity elements and program elements. The measures for the instruction & publicity elements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universities and members of the university libraries are needed to accomplish the developments of curriculums and programs more actively and for this, the class related educations and team teachings are required. Second, a majority of users' information literacy abilities must be improved continuously designating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as the elective course to secure regular education time. To increase the education participation opportunities of users, the users' favorite programs must be managed extensively through the regular education per week. Third, more dynamic promotion of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should be devised by posting the list of people who have completed the education program on the web-site, giving exclusive benefits in using a library, or using SNS and university community sites. Fourth, the users' demands and opinions should be examined using feedback request service considering the user's convenience, and this must be reflected on the management of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The program elements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it is deemed necessary to develop a wide range of programs according to the interested areas, thematic fields, and majors actively reflecting the users' demands by investigating the preference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targeting users. Second, a variety of programs necessary for users must be provided as breaking down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s into the specific areas evenly. Third, to improve the shortage of practice based on education, the education materials should be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diverse devices and online tutorials, and the environment enabling the accessibility of users and repetitive learning should be prepared.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demands of the librarians in charge of the program and users were explored with foreign university libraries cases conduct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regarding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and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reflecting the findings were proposed.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a improvement plan for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By analyzing the requests by librarians who take in charge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and users, and foreign case studies with regard to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was carri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domestic university library's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To begin with, the definition of and the necessity for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were expanded and the concepts and types of the program were explored. For the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survey, total of 113 university libraries providing at least on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were identified from the web-sites of the 137 university libraries excluding the teachers' college, industrial college, community college, art college, technical college, etc. and the 24 libraries that either offer only the library use information or never offer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at all. The survey targeting librarians in charge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were conducted online from 27 October to 12 November 2014. Chosen from the 80 librarians of the 76 libraries who have agreed to take part in the questionnaire, those 45 librarians of total 38 libraries were answered the current status and components of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The survey targeting users who have received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were referred to the domestic library statistics through the Korea 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The survey targeting users were requested to the personnel for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in the order of the results in the user education statistics within the categories of the university library statistics, and the four universities among the participants were designated. The site surveys were conducted from 17 to 26 November, 2014 and collected 81 cases were analyzed. For the foreign case studies, the 50 university libraries with a large number of staffs and budgets were selected through the statistics of the ‘Almanac of Higher Education 2014’ among the universities registered to the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Finally, the details concerning the ‘Libraries Classes’, ‘Library Instruction’ and ‘Workshops and Tutorials’ as the an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related program were verified as visiting their web-sites, and resulting 5 university libraries with numerous programs were analyzed. The finding drawn from the domestic status and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ough total 75.6% of the university libraries were having a librarian exclusively for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the lack of time with the high average point of 5.08 was the primary reason for the inactiv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Specifically it was said that it is impossible to focus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program due to the heavy workload besides education duties. Second, the most of the university libraries are conducting programs irregularly according to the library schedules by semester and the user survey showed the opinions hoping to have a program as a regular education opportunity and a required subject. Third, the lack of publicity was pointed out as the cause for the deactivated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among 7 categories with low 2.48 points on the 7th rank while the 66.6% from the user survey answered that the promotion of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was not implemented appropriately, indicating that the demands for the advertisement of the program by users are higher than that of librarians. Fourth,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prior investigation and assessment of education were not carried out actively as only 15.6% answered that they were conducting both the preliminary survey and educational evaluation for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whereas 40% answered none of them were performed. Fifth, the 4th cause found in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personnel survey exhibited the lack of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with a mean value of 3.33 points but the user survey specified the demand for diversified education program structures by users specific to the users's majors and interested areas. The user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to develop varied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Sixth, the ranks of the importance of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components and the response numbers for the currently operating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were identified to comprehend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of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components that a librarian consider and the structure and management of the current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instruction program. Seventh, the presentation took 37.1% as the most frequently used tools and materials in the most of the university libraries'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while the practice education was only 1.7%. The user survey presented that the power of contents delivery decreased because of the theory oriented structure of the programs absent of actual practices. On the basis of foreign case studies and domestic status and surveys,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s were suggested divided into instruction & publicity elements and program elements. The measures for the instruction & publicity elements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universities and members of the university libraries are needed to accomplish the developments of curriculums and programs more actively and for this, the class related educations and team teachings are required. Second, a majority of users' information literacy abilities must be improved continuously designating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as the elective course to secure regular education time. To increase the education participation opportunities of users, the users' favorite programs must be managed extensively through the regular education per week. Third, more dynamic promotion of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should be devised by posting the list of people who have completed the education program on the web-site, giving exclusive benefits in using a library, or using SNS and university community sites. Fourth, the users' demands and opinions should be examined using feedback request service considering the user's convenience, and this must be reflected on the management of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The program elements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it is deemed necessary to develop a wide range of programs according to the interested areas, thematic fields, and majors actively reflecting the users' demands by investigating the preference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targeting users. Second, a variety of programs necessary for users must be provided as breaking down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s into the specific areas evenly. Third, to improve the shortage of practice based on education, the education materials should be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diverse devices and online tutorials, and the environment enabling the accessibility of users and repetitive learning should be prepared.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demands of the librarians in charge of the program and users were explored with foreign university libraries cases conduct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regarding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and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reflecting the findings were propos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