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을 위한 정보활용교육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Curriculum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2 no.3 = no.97, 2015년, pp.1 - 20  

정재영 (서강대학교로욜라도서관 학술정보기획팀)

초록

대학에서 효과적인 연구와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정보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찾아내고 평가하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 정보활용교육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국내 외 단체와 학자들에 의해 제시된 정보활용능력 기준 및 모형과 정보활용교육 사례를 기초로 대학생을 위한 정보활용교육 교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보활용교육은 1회성 교육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정규교과목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대학도서관 정보와의 연계 및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그리고, 대학도서관 및 사서의 역할에 대한 전략적 측면의 고려를 위해 도서관 전문사서의 주도적 또는 협력적 역할이 필수적이다. 또한, 현 세대의 성향과 요구를 반영한 내용구성의 변화와 학생들의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방법적 측면의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which deals with the ability for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information, finding, evaluating, and using the information effectively is essential for the college members to do research or learn effectively. This study intended to suggest the lecture program for inform...

주제어

참고문헌 (29)

  1. 고영만 (2004). 대학생을 위한 정보문해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1(4), 67-87. http://dx.doi.org/10.3743/KOSIM.2004.21.4.067 (Ko, Young-Man (2004). A study on curriculum design for the information literacy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1(4), 67-87. http://dx.doi.org/10.3743/KOSIM.2004.21.4.067) 

  2. 김성은, 이명희 (2006).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교수학습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2), 177-200.(Kim, Sung-Eun, & Lee, Myeong-Hee (2006). A study on the learning-instruction model for information literacy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7(2), 177-200.) 

  3. 김지은 (2011). Kuhlthau의 IP모델에 기반한 대학의 정보활용능력 교육과정 모델 개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2), 101-122. (Kim, Ji-Eun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model for undergraduates based on kuhlthau's information search process(ISP) model.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2), 101-122.) 

  4. 김태경 외 (2013). 대학도서관의 지역사회 서비스 실태조사 및 협력방안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Kim, Tae-Kyung et al. (2013). A study on the community service & cooperation of university librar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ibrary & Information.) 

  5. 남영준 외 (2010). 디지털정보 활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Nam, Young-joon et al. (2010), A study on the program development and operations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6. 배경재 외 (2012). 정보활용교육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Bae, Kyung-Jae et al. (2012), A study on the current condition and the improvemen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7. 서강대학교 교수학습센터 주요 사업 안내 (2015 3. 10). Retrieved from http://ctl.sogang.ac.kr/ctl/ur/ctl_center_business.acl 

  8. 손동현 (2009). 교양교육의 새로운 위상과 그 강화 방책. 교양교육연구, 3(2), 5-22. (Son, Dong Hyun (2009). New status of general education and projects for its enrichment.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3(2), 5-22.) 

  9. 이시영 (2010). 대학도서관 사서의 위기와 대처.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3), 47-67.(Lee, Si-Young (2010). Crisis and response of librarians at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3), 47-67.) 

  10. 이정연, 최은주 (2006).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효율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1), 315-334.(Lee, Jung-Yeoun, & Choi, Eun-Ju (2006).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for information litera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1), 315-334.) 

  11. 이지영 (2015).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Lee, Ji-Young (2015), A study on improvements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in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M. A.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2. 장덕현 (2002). 대학도서관 이용교육 연구의 동향과 논점.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3(1), 55-74.(Chang, Duk-Hyun (2002). User education in academic libraries: Research trends and issu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3(1), 55-74.) 

  13. 정민화 (2011). 대학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실시 사례. 사대도협회지, 12, 21-39. (Jung, Min-hwa (2011). Cases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of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ivate University Libraries, 12, 21-39.) 

  14. 정은숙 (2002). 대학에서의 정보소양 교육이 정보문제 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Jung, eun-suk (2002). A study on the impacts of the problem-Solving procedure on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M. A.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15. 정재영 (2015).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의 전략적 분석: 현재적 진단과 미래적 방향을 중심으로. 사대도협회지, 16, 53-79.(Chung, Jae-Young (2015). Strategic analysis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ivate University Libraries, 16, 53-79.) 

  16. 한만성 (2011). 대학생을 위한 정보 활용능력과 글쓰기 교육의 연계.협력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1), 117-133.(Han, Mahn-Soung (2011). A study on the connection/cooper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and writing instruction for academic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1), 117-133.) 

  17. ACRL (2010). Futures thinking for academic librarians: higher education in 2025. Retrieved from http://www.ala.org/acrl/sites/ala.org.acrl/files/content/issues/value/futures2025.pdf 

  18. ACRL.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for higher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www.ala.org/acrl/standards/informationliteracycompetency 

  19. ACRL. Tips for developing effective web-based library instruction, Instructional Technologies Committee. Retrieved from http://www.google.co.kr/url?sat&rctj&q&esrcs&sourceweb&cd2&ved0CCoQFjAB&urlhttp%3A%2F%2Fconnect.ala.org%2Fnode%2F223728&ei1WsXVYpLs_28QWbvYFg&usgAFQjCNG9alUHURYKtrTW1HzD_B_2_qSumw&bvmbv.89381419,d.dGY&cadrjt 

  20. ALA (1989). Presidential committee of information literacy: final report. Washington, D. C.: ALA. 

  21. ALA (2000).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standards for higher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www.ala.org/acrl/sites/ala.org.acrl/files/content/standards/standards.pdf 

  22. Bowles-Terry, M., Davis, E., & Holliday, W. (2010). 'Writing information literacy' Revised: From theory to practice in the classroom.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49(3), 225-230. http://repository.uwyo.edu/cgi/viewcontent.cgi?article1009&contextlibraries_facpub. 

  23. Elrod, R. E., Wallace, E. D., & Sirigos, C. B. (2012). Teaching information literacy: a review of 100 syllabi. The Southeastern Librarian, 60(3), 7-15. 

  24. IFLA. Guideline on information literacy for lifelong learning. Retrieved from http://www.ifla.org/files/assets/information-literacy/publications/ifla-guidelines-en.pdf 

  25. Jacobs, H. L., & Jacobs, M. D. (2009). Transforming the one-Shot library session into pedagogical collaboration: iInformation literacy and the english composition class.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49(1), 72-82. 

  26. Meulemans, Y. N., & Brown, J. (2001). Educating instruction librarians. Research Strategies, 18(4), 253-264. 

  27. Oblinger, D. (2003). Boomers, gen-xers, and millennials: understanding the new students. EDUDAUSE Review, July/August, 37-47. https://net.educause.edu/ir/library/pdf/erm0342.pdf 

  28. SCONUL (1999). Briefing paper: information skills in higher education, SCONUL. Retrieved from http://www.sconul.ac.uk/sites/default/files/documents/Seven_pillars2.pdf 

  29. Shapiro, J. J., & Hughes, S. K. (1996). Information literacy as a liberal art. Educom Review, 31(2), 31-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