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부와 모 간의 양육태도·훈육방식·유아 문제행동 인식 차이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between Father’s and Mother’s Parenting Attitudes, Discipline Styles and Recogni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원문보기
본 연구는 부와 모 간의 양육태도, 훈육방식, 유아문제행동 인식의 차이를 비교ㆍ분석해 봄으로써 현대 사회의 변화에 따른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에 대한 이해 및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Ⅰ. 부와 모 간의 양육태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Ⅱ. 부와 모 간의 훈육방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Ⅲ. 부와 모 간의 유아문제행동 인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부와 모의 양육태도, 훈육방식, 그리고 유아의 문제행동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지를 선정하고, 2014년 7월 14일부터 8월 22일까지 6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본 연구자가 기관에 직접 방문하여 기관장과 담임교사에게 연구의 목적과 질문지에 대해 설명한 후 유아를 통해 설문지를 가정으로 배부하고 아버지와 어머니가 각각 응답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는 총 440부 배부하였으며 아버지 175부, 어머니 179부로 총 354부가 회수되어 80.45%의 회수율을 보였다. 회수한 질문지 중 아버지와 어머니 중 한쪽만 응답하거나, 충실히 응답하지 않은 질문지 20부를 제외한 334부인 167쌍의 설문지를 최종 본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설문지 및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Shaefer의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를 이원영(1983)이 번안하여 만든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부모의 훈육방식은 Clazada와 Eyberg(2002)의 PSD(Parenting Style and ...
본 연구는 부와 모 간의 양육태도, 훈육방식, 유아문제행동 인식의 차이를 비교ㆍ분석해 봄으로써 현대 사회의 변화에 따른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에 대한 이해 및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Ⅰ. 부와 모 간의 양육태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Ⅱ. 부와 모 간의 훈육방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Ⅲ. 부와 모 간의 유아문제행동 인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부와 모의 양육태도, 훈육방식, 그리고 유아의 문제행동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지를 선정하고, 2014년 7월 14일부터 8월 22일까지 6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본 연구자가 기관에 직접 방문하여 기관장과 담임교사에게 연구의 목적과 질문지에 대해 설명한 후 유아를 통해 설문지를 가정으로 배부하고 아버지와 어머니가 각각 응답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는 총 440부 배부하였으며 아버지 175부, 어머니 179부로 총 354부가 회수되어 80.45%의 회수율을 보였다. 회수한 질문지 중 아버지와 어머니 중 한쪽만 응답하거나, 충실히 응답하지 않은 질문지 20부를 제외한 334부인 167쌍의 설문지를 최종 본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설문지 및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Shaefer의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를 이원영(1983)이 번안하여 만든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부모의 훈육방식은 Clazada와 Eyberg(2002)의 PSD(Parenting Style and Dimension)를 번안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이동희(2004)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은 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naire (PBQ)를 서수경(1993)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도구의 하위 영역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내적 일치도 Cronbach’s α 값을 계산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양육태도, 훈육방식과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와 모 간의 차이를 비교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의 전체적인 경향성과 차이에 대해 분석한 결과, 아버지는 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는 통제적, 거부적 양육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훈육방식의 전체적인 경향성과 차이에 대해 분석한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논리적 설명의 훈육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강압적 체벌, 방임 순으로 훈육방식을 나타냈으며, 방임적 훈육방식에 있어서는 아버지가 더 많이 실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부모의 유아문제행동 인식에 대한 전체적인 경향성과 차이에 대해 분석한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적대적-공격 행동이 유아에게 보일 때 가장 문제행동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걱정-불안, 과잉행동성-산만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과잉행동성-산만 행동이 유아에게 보일 때는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더 문제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버지와 어머니 간에 양육태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아버지는 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 어머니는 통제적, 거부적 양육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버지와 어머니 간에 훈육방식의 경향성은 일치하였으나 아버지가 방임적 훈육방식을 더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유아문제행동 인식의 경향성은 일치하였으나 어머니가 과잉행동성-산만 행동을 더 문제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대 사회의 변화에 따른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부와 모 간의 양육태도, 훈육방식, 유아문제행동 인식의 차이를 비교ㆍ분석해 봄으로써 현대 사회의 변화에 따른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에 대한 이해 및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Ⅰ. 부와 모 간의 양육태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Ⅱ. 부와 모 간의 훈육방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Ⅲ. 부와 모 간의 유아문제행동 인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부와 모의 양육태도, 훈육방식, 그리고 유아의 문제행동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지를 선정하고, 2014년 7월 14일부터 8월 22일까지 6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본 연구자가 기관에 직접 방문하여 기관장과 담임교사에게 연구의 목적과 질문지에 대해 설명한 후 유아를 통해 설문지를 가정으로 배부하고 아버지와 어머니가 각각 응답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는 총 440부 배부하였으며 아버지 175부, 어머니 179부로 총 354부가 회수되어 80.45%의 회수율을 보였다. 회수한 질문지 중 아버지와 어머니 중 한쪽만 응답하거나, 충실히 응답하지 않은 질문지 20부를 제외한 334부인 167쌍의 설문지를 최종 본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설문지 및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Shaefer의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를 이원영(1983)이 번안하여 만든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부모의 훈육방식은 Clazada와 Eyberg(2002)의 PSD(Parenting Style and Dimension)를 번안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이동희(2004)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은 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naire (PBQ)를 서수경(1993)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도구의 하위 영역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내적 일치도 Cronbach’s α 값을 계산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양육태도, 훈육방식과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와 모 간의 차이를 비교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의 전체적인 경향성과 차이에 대해 분석한 결과, 아버지는 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는 통제적, 거부적 양육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훈육방식의 전체적인 경향성과 차이에 대해 분석한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논리적 설명의 훈육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강압적 체벌, 방임 순으로 훈육방식을 나타냈으며, 방임적 훈육방식에 있어서는 아버지가 더 많이 실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부모의 유아문제행동 인식에 대한 전체적인 경향성과 차이에 대해 분석한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적대적-공격 행동이 유아에게 보일 때 가장 문제행동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걱정-불안, 과잉행동성-산만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과잉행동성-산만 행동이 유아에게 보일 때는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더 문제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버지와 어머니 간에 양육태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아버지는 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 어머니는 통제적, 거부적 양육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버지와 어머니 간에 훈육방식의 경향성은 일치하였으나 아버지가 방임적 훈육방식을 더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유아문제행동 인식의 경향성은 일치하였으나 어머니가 과잉행동성-산만 행동을 더 문제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대 사회의 변화에 따른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on nurturing the child by father and mother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nurturing attitude, disciplinary style and the recognition of the child's pro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on nurturing the child by father and mother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nurturing attitude, disciplinary style and the recognition of the child's problem behavior by mother and fath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ollowing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Research subjectⅠ. What difference does exist in the nurturing attitude between mother and father? Research subject Ⅱ. What difference does exist in the disciplinary style between mother and father? Research subject Ⅲ. What difference does exist in the recognition of the child's problem behavior between mother and father? To investigate the nurturing attitudes, disciplinary style and the recognition of the child's problem behavior by mother and father, the questionnaire was selected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ver 6 weeks from July 14, 2014 to August 22.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manner that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family through the children that their mothers and fathers could answer respectively after the researcher visited the institution personally and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the questionnaire to the director of the institution and the teachers in charge. Total 44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total 35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representing the recovery rate of 80.46%; 175 questionnaires from fathers and 179 questionnaires from mothers. Excluded the 20 questionnaires, which only one of the parents answered or were answered insincerely, 334 questionnaires, that is, 176 pai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the research subject. In this study,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using following questionnaire and tools. First, to measure the nurturing attitude of the parents, the test tool, which was made by Lee Won-Young (1983) translating the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RBI) by Shaefer. For the disciplinary style of the parents, the scale by Lee Dong-Hee (2004), which was made by translating and testing the validity of PSD (Parenting Style and Dimension) by Clazada and Eyberg (2002), was used. For the recognition of the child's problem behavior, the tools made by Seo Su-Gyoung, which was translated 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naire (PBQ). To test the sublevel reliability of each tool, the inter-item consistency, the value of Cronbach's α was calculated from the research data collect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an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frequency and the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recognizing the problem behaviors between father and mother, the t-test was conducted by calculat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earch task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overall tendency and the difference in the nurturing attitudes of the parents, father represented to have affective and autonomous nurturing attitude while mother represented to have controlled and rejective nurturing attitude.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overall tendency and the difference in the disciplinary style of the parents, both father and mother used the disciplinary method of logical explanation, oppressive physical punishment, permissive discipline in order, and for the permissive disciplinary style, the fathers represented to use it more than mother.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overall tendency and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child's problem behavior by the parents, both father and mother recognized the most problematic behavior when the child showed the hostile-aggressive actions, anxiety, hyperactive-discursiveness in order, and when the hyperactivity-discursiveness were shown from the child, mother recognized it more problematic than father.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exist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rturing attitude between fathers and mother, and father represented to have affective and autonomous nurturing attitude while mother has controlled and rejective nurturing attitude. The tendency in recognizing the child's problem behavior was consistent but it represented that father performed the permissive disciplinary style more while mother recognized the hyperactive-discursive behavior as more problemati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eme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nurturing of the mother and father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on nurturing the child by father and mother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nurturing attitude, disciplinary style and the recognition of the child's problem behavior by mother and fath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ollowing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Research subjectⅠ. What difference does exist in the nurturing attitude between mother and father? Research subject Ⅱ. What difference does exist in the disciplinary style between mother and father? Research subject Ⅲ. What difference does exist in the recognition of the child's problem behavior between mother and father? To investigate the nurturing attitudes, disciplinary style and the recognition of the child's problem behavior by mother and father, the questionnaire was selected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ver 6 weeks from July 14, 2014 to August 22.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manner that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family through the children that their mothers and fathers could answer respectively after the researcher visited the institution personally and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the questionnaire to the director of the institution and the teachers in charge. Total 44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total 35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representing the recovery rate of 80.46%; 175 questionnaires from fathers and 179 questionnaires from mothers. Excluded the 20 questionnaires, which only one of the parents answered or were answered insincerely, 334 questionnaires, that is, 176 pai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the research subject. In this study,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using following questionnaire and tools. First, to measure the nurturing attitude of the parents, the test tool, which was made by Lee Won-Young (1983) translating the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RBI) by Shaefer. For the disciplinary style of the parents, the scale by Lee Dong-Hee (2004), which was made by translating and testing the validity of PSD (Parenting Style and Dimension) by Clazada and Eyberg (2002), was used. For the recognition of the child's problem behavior, the tools made by Seo Su-Gyoung, which was translated 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naire (PBQ). To test the sublevel reliability of each tool, the inter-item consistency, the value of Cronbach's α was calculated from the research data collect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an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frequency and the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recognizing the problem behaviors between father and mother, the t-test was conducted by calculat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earch task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overall tendency and the difference in the nurturing attitudes of the parents, father represented to have affective and autonomous nurturing attitude while mother represented to have controlled and rejective nurturing attitude.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overall tendency and the difference in the disciplinary style of the parents, both father and mother used the disciplinary method of logical explanation, oppressive physical punishment, permissive discipline in order, and for the permissive disciplinary style, the fathers represented to use it more than mother.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overall tendency and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child's problem behavior by the parents, both father and mother recognized the most problematic behavior when the child showed the hostile-aggressive actions, anxiety, hyperactive-discursiveness in order, and when the hyperactivity-discursiveness were shown from the child, mother recognized it more problematic than father.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exist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rturing attitude between fathers and mother, and father represented to have affective and autonomous nurturing attitude while mother has controlled and rejective nurturing attitude. The tendency in recognizing the child's problem behavior was consistent but it represented that father performed the permissive disciplinary style more while mother recognized the hyperactive-discursive behavior as more problemati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eme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nurturing of the mother and father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