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조직은 학교장의 경영성과 평가와 학교장 공모제의 시행 등 학교장의 능력을 측정하는 시대로 도래하면서 CEO로서의 학교장리더십의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일반조직과 다른 특성을 가진 학교라는 조직, 학교조직의 리더십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을까.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 의하면, 일반조직에서와 마찬가지로 학교조직에서도 변혁적리더십의 효과성이 인정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조직구성원의 의견을 경청하여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등 개방적인 의사소통과 팀차원에서의 접근을 할 수 있는 ...
학교조직은 학교장의 경영성과 평가와 학교장 공모제의 시행 등 학교장의 능력을 측정하는 시대로 도래하면서 CEO로서의 학교장리더십의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일반조직과 다른 특성을 가진 학교라는 조직, 학교조직의 리더십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을까.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 의하면, 일반조직에서와 마찬가지로 학교조직에서도 변혁적리더십의 효과성이 인정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조직구성원의 의견을 경청하여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등 개방적인 의사소통과 팀차원에서의 접근을 할 수 있는 코칭리더십이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코칭리더십은 자기효능감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여러 실증들이 제시되고 있기에 다른 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인 교사들에게도 효과적인 리더십으로 적용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코칭리더십의 선행요인들을 검토하고, 학교조직의 교사들이 지각하는 학교장의 리더십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학교조직의 성과 향상을 위한 바람직한 리더십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적용된 학교장 리더십은 변혁적리더십과 코칭리더십으로 측정하였고, 조직성과는 직무만족, 조직몰입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실증자료는 설문조사에 의해 수집되었으며, 서울시내 소재 중학교, 일반계고등학교, 특성화고등학교 45개 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 972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본 논문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리더십과 코칭리더십이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한 결과 학교장의 변혁적리더십은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코칭리더십은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자기효능감은 조직성과(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장의 리더십과 조직성과와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여부의 측정에서는 학교장의 변혁적리더십과 조직성과와의 관계에서 교사의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장의 코칭리더십과 조직성과와의 관계에서 교사의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교조직에서 학교장의 변혁적리더십보다 코칭리더십은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어 그것을 통해서도 조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학교조직에서는 학교장의 코칭리더십을 향상시키기 위한 패러다임의 전환과 제반 여건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해 주고 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조사대상을 서울시내 학교의 교사에 한정하였기 때문에 전체 학교에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추후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리더십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학교조직은 학교장의 경영성과 평가와 학교장 공모제의 시행 등 학교장의 능력을 측정하는 시대로 도래하면서 CEO로서의 학교장리더십의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일반조직과 다른 특성을 가진 학교라는 조직, 학교조직의 리더십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을까.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 의하면, 일반조직에서와 마찬가지로 학교조직에서도 변혁적리더십의 효과성이 인정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조직구성원의 의견을 경청하여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등 개방적인 의사소통과 팀차원에서의 접근을 할 수 있는 코칭리더십이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코칭리더십은 자기효능감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여러 실증들이 제시되고 있기에 다른 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인 교사들에게도 효과적인 리더십으로 적용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코칭리더십의 선행요인들을 검토하고, 학교조직의 교사들이 지각하는 학교장의 리더십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학교조직의 성과 향상을 위한 바람직한 리더십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적용된 학교장 리더십은 변혁적리더십과 코칭리더십으로 측정하였고, 조직성과는 직무만족, 조직몰입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실증자료는 설문조사에 의해 수집되었으며, 서울시내 소재 중학교, 일반계고등학교, 특성화고등학교 45개 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 972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본 논문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리더십과 코칭리더십이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한 결과 학교장의 변혁적리더십은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코칭리더십은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자기효능감은 조직성과(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장의 리더십과 조직성과와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여부의 측정에서는 학교장의 변혁적리더십과 조직성과와의 관계에서 교사의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장의 코칭리더십과 조직성과와의 관계에서 교사의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교조직에서 학교장의 변혁적리더십보다 코칭리더십은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어 그것을 통해서도 조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학교조직에서는 학교장의 코칭리더십을 향상시키기 위한 패러다임의 전환과 제반 여건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해 주고 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조사대상을 서울시내 학교의 교사에 한정하였기 때문에 전체 학교에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추후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리더십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s the principal’s ability came to be measured through principal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implementation of principal open recruitment system, and the like in school organization, the principal's leadership as CEO became important. So far, it has been demonstrated a lot that transformation...
As the principal’s ability came to be measured through principal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implementation of principal open recruitment system, and the like in school organization, the principal's leadership as CEO became important. So far, it has been demonstrated a lot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superior in school organization as well as in general organization, but with the changes in the times coaching leadership began to make a mark, which is accessible by team level and open communication reflecting the views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decision-making. Because it has been identified that coaching leadership has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self-efficacy, it will also be helpful to a group of teachers, whose self-efficacy i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irection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chool organizational by reviewing the antecedents influencing to coaching leadership and being issues in recent, and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hich are recognized by the teachers. The principal's leadership applied in this study is measured by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oaching leadership,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selected by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est these relationships, we have conducted a survey of schools which are middle school, general high schoo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in Seoul. After excluding unanswered and untrustful items questionnaires, the final sample size for this 972 teachers in 45 schools. The key finding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ith coaching leadership about how much they affect teacher self-efficacy, it was found that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no effect on teacher self-efficacy, while coaching leadership has a positive (+) impact meaningfully on it. Second, teacher self-efficacy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in the study of whether teacher self-efficac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in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eacher self-efficacy had no mediating effect, while in the principal's coach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did. These results show that coaching leadership can not only have more direct impact on enhanc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a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t also improve it by having an influence on teacher self-efficacy. Therefore, it suggests that school organization make a paradigm transition and a change of overall conditions to improve the principal's coaching leadership. However, this study can not be proper to be applied to the entire school because respondents are confined to school teachers in Seoul. Thus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leadership affecting teacher self-efficacy.
As the principal’s ability came to be measured through principal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implementation of principal open recruitment system, and the like in school organization, the principal's leadership as CEO became important. So far, it has been demonstrated a lot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superior in school organization as well as in general organization, but with the changes in the times coaching leadership began to make a mark, which is accessible by team level and open communication reflecting the views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decision-making. Because it has been identified that coaching leadership has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self-efficacy, it will also be helpful to a group of teachers, whose self-efficacy i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irection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chool organizational by reviewing the antecedents influencing to coaching leadership and being issues in recent, and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hich are recognized by the teachers. The principal's leadership applied in this study is measured by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oaching leadership,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selected by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est these relationships, we have conducted a survey of schools which are middle school, general high schoo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in Seoul. After excluding unanswered and untrustful items questionnaires, the final sample size for this 972 teachers in 45 schools. The key finding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ith coaching leadership about how much they affect teacher self-efficacy, it was found that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no effect on teacher self-efficacy, while coaching leadership has a positive (+) impact meaningfully on it. Second, teacher self-efficacy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in the study of whether teacher self-efficac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in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eacher self-efficacy had no mediating effect, while in the principal's coach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did. These results show that coaching leadership can not only have more direct impact on enhanc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a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t also improve it by having an influence on teacher self-efficacy. Therefore, it suggests that school organization make a paradigm transition and a change of overall conditions to improve the principal's coaching leadership. However, this study can not be proper to be applied to the entire school because respondents are confined to school teachers in Seoul. Thus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leadership affecting teacher self-efficac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