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어깨 안정화 운동이 목통증 환자의 기능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목통증 환자에게 전반적으로 실시하는 보존적 물리치료와 어깨 안정화 훈련을 실시한 어깨 안정화 운동군과 보존적 물리치료와 목 안정화 훈련을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전 D 종합병원의 목통증으로 내원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중도탈락자 4명으로 어깨 안정화 운동군 14명 대조군 12명 이었다. 주5회 4주간 실시하였고, 대조군 40분 어깨 안정화 운동군 60분으로 진행 하였다. 목의 통증을 보기위해 시각적 상사 척도(...
본 연구는 어깨 안정화 운동이 목통증 환자의 기능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목통증 환자에게 전반적으로 실시하는 보존적 물리치료와 어깨 안정화 훈련을 실시한 어깨 안정화 운동군과 보존적 물리치료와 목 안정화 훈련을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전 D 종합병원의 목통증으로 내원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중도탈락자 4명으로 어깨 안정화 운동군 14명 대조군 12명 이었다. 주5회 4주간 실시하였고, 대조군 40분 어깨 안정화 운동군 60분으로 진행 하였다. 목의 통증을 보기위해 시각적 상사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와 압력 통각계(pressure pain threshold, PPT)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고, 목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경부 장애 지수(neck disability index, NDI), 경추 관절 가동 범위(cervical range of motion, CROM)을 사용 하였다. 상지의 안정성을 보기위해 닫힌 사슬 운동 검사(closed kinetic chain test, CKCT)를 사용 하였다. VAS는 어깨 안정화 운동군과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PPT는 어깨 안정화 운동군의 오른쪽 상승모근, 견갑거근, 두판상근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조군은 오른쪽 상승모근, 견갑거근, 두판상근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어깨 안정화 운동군은 왼쪽 상승모근, 견갑거근, 두판상근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조군의 왼쪽 상승모근, 견갑거근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왼쪽 두판상근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목의 기능의 변화로 NDI는 어깨 안정화 운동군과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CROM 굴곡 시 어깨 안정화 운동군과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경추의 신전은 어깨 안정화 운동군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경추의 오른쪽 기울임 시 어깨 안정화 운동군과 대조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왼쪽 기울임 시 어깨 안정화 운동군과 대조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오른쪽 회전 시 어깨 안정화 운동군,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왼쪽 회전 시 어깨 안정화 운동군과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CKCT의 측정결과는 대조군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어깨 안정화 운동군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이 결과는 어깨 안정화 운동이 목통증 환자의 통증 및 기능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어깨 안정화 운동은 목통증 환자에게 통증 및 기능 그리고 상지 안정성의 증진에 효과적인 운동방법으로 실제로 임상에서 일반적 물리치료와 함께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어깨 안정화 운동이 목통증 환자의 기능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목통증 환자에게 전반적으로 실시하는 보존적 물리치료와 어깨 안정화 훈련을 실시한 어깨 안정화 운동군과 보존적 물리치료와 목 안정화 훈련을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전 D 종합병원의 목통증으로 내원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중도탈락자 4명으로 어깨 안정화 운동군 14명 대조군 12명 이었다. 주5회 4주간 실시하였고, 대조군 40분 어깨 안정화 운동군 60분으로 진행 하였다. 목의 통증을 보기위해 시각적 상사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와 압력 통각계(pressure pain threshold, PPT)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고, 목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경부 장애 지수(neck disability index, NDI), 경추 관절 가동 범위(cervical range of motion, CROM)을 사용 하였다. 상지의 안정성을 보기위해 닫힌 사슬 운동 검사(closed kinetic chain test, CKCT)를 사용 하였다. VAS는 어깨 안정화 운동군과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PPT는 어깨 안정화 운동군의 오른쪽 상승모근, 견갑거근, 두판상근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조군은 오른쪽 상승모근, 견갑거근, 두판상근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어깨 안정화 운동군은 왼쪽 상승모근, 견갑거근, 두판상근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조군의 왼쪽 상승모근, 견갑거근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왼쪽 두판상근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목의 기능의 변화로 NDI는 어깨 안정화 운동군과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CROM 굴곡 시 어깨 안정화 운동군과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경추의 신전은 어깨 안정화 운동군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경추의 오른쪽 기울임 시 어깨 안정화 운동군과 대조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왼쪽 기울임 시 어깨 안정화 운동군과 대조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오른쪽 회전 시 어깨 안정화 운동군,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왼쪽 회전 시 어깨 안정화 운동군과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CKCT의 측정결과는 대조군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어깨 안정화 운동군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이 결과는 어깨 안정화 운동이 목통증 환자의 통증 및 기능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어깨 안정화 운동은 목통증 환자에게 통증 및 기능 그리고 상지 안정성의 증진에 효과적인 운동방법으로 실제로 임상에서 일반적 물리치료와 함께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