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재 특수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편의시설 및 설비를 중심으로 현재 시설기준보다 강화된 건축 계획적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현재 관련 법규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였고, 기존 편의시설 설치기준을 고려하여 강화된 특수학교 편의시설 항목을 도출하였다. 장애학생들의 특성 및 특수학교 운영에 따른 개선요구를 고려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학교를 신설 시에는 건축물 내·외부의 편의와 안전이 기본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는 부지를 선택하고, 건축물 형태를 고려하도록 하였다. 매개시설은 휠체어 이용자를 고...
본 연구는 현재 특수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편의시설 및 설비를 중심으로 현재 시설기준보다 강화된 건축 계획적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현재 관련 법규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였고, 기존 편의시설 설치기준을 고려하여 강화된 특수학교 편의시설 항목을 도출하였다. 장애학생들의 특성 및 특수학교 운영에 따른 개선요구를 고려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학교를 신설 시에는 건축물 내·외부의 편의와 안전이 기본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는 부지를 선택하고, 건축물 형태를 고려하도록 하였다. 매개시설은 휠체어 이용자를 고려하여 주출입구 접근로 기준을 강화하였으며, 승하차 구역 설치 및 구조 제시를 통해 높은 통학버스 이용률에 따른 편의를 고려하였다. 내부시설은 휠체어 이용뿐만 아니라 특수학교 장애유형 별 이용특성에 따른 주출입구, 복도, 일반출입문, 계단, 엘리베이터, 경사로에 대한 기존 편의시설 설치기준 내용을 강화하여 제시하였으며, 교실 항목 추가로 학생의 건강과 편의를 고려하였다. 위생시설은 출입구조와 마감 내용을 보완하고, 교실 내 위생시설 설치를 제안하였으며, 안내시설은 구체적인 설치기준 제시로 시각장애인의 이용 편의와 안전사고 예방 할 수 있도록 했다. 대피시설은 기존 편의시설 설치기준에서는 고려되지 않는 항목이나 특수학교에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므로 시설 및 건축물 구조에 대한 내용이 특수학교 계획 시에 반영될 수 있도록 했다. 그 외 학교의 운영상 필요한 건축물 간 이동 시 비가림막 시설, 경비실, 구령대/무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여 원활한 특수학교 운영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와 같은 특수학교의 특수성을 고려한 시설 개선을 통해 특수학교 장애학생의 이용 편의가 증진되고, 안전사고 예방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에 한정지어 시설기준을 제시하였지만, 추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설 기준이 편의 증진법에 따른 편의시설 설치기준으로 마련된다면, 장애학생이 특수학교의 교육과정을 마치고 사회의 구성원으로 진출하는 진정한 특수교육의 목표 달성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 특수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편의시설 및 설비를 중심으로 현재 시설기준보다 강화된 건축 계획적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현재 관련 법규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였고, 기존 편의시설 설치기준을 고려하여 강화된 특수학교 편의시설 항목을 도출하였다. 장애학생들의 특성 및 특수학교 운영에 따른 개선요구를 고려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학교를 신설 시에는 건축물 내·외부의 편의와 안전이 기본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는 부지를 선택하고, 건축물 형태를 고려하도록 하였다. 매개시설은 휠체어 이용자를 고려하여 주출입구 접근로 기준을 강화하였으며, 승하차 구역 설치 및 구조 제시를 통해 높은 통학버스 이용률에 따른 편의를 고려하였다. 내부시설은 휠체어 이용뿐만 아니라 특수학교 장애유형 별 이용특성에 따른 주출입구, 복도, 일반출입문, 계단, 엘리베이터, 경사로에 대한 기존 편의시설 설치기준 내용을 강화하여 제시하였으며, 교실 항목 추가로 학생의 건강과 편의를 고려하였다. 위생시설은 출입구조와 마감 내용을 보완하고, 교실 내 위생시설 설치를 제안하였으며, 안내시설은 구체적인 설치기준 제시로 시각장애인의 이용 편의와 안전사고 예방 할 수 있도록 했다. 대피시설은 기존 편의시설 설치기준에서는 고려되지 않는 항목이나 특수학교에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므로 시설 및 건축물 구조에 대한 내용이 특수학교 계획 시에 반영될 수 있도록 했다. 그 외 학교의 운영상 필요한 건축물 간 이동 시 비가림막 시설, 경비실, 구령대/무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여 원활한 특수학교 운영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와 같은 특수학교의 특수성을 고려한 시설 개선을 통해 특수학교 장애학생의 이용 편의가 증진되고, 안전사고 예방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에 한정지어 시설기준을 제시하였지만, 추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설 기준이 편의 증진법에 따른 편의시설 설치기준으로 마련된다면, 장애학생이 특수학교의 교육과정을 마치고 사회의 구성원으로 진출하는 진정한 특수교육의 목표 달성이 가능할 것이다.
This research proposed an architectural design improvements to reinforce current standards regulating amenities in special-education schools. Among the methodologies applied in this research were literature review of present legal perimeters, field-investigations, and itemization of standards needed...
This research proposed an architectural design improvements to reinforce current standards regulating amenities in special-education schools. Among the methodologies applied in this research were literature review of present legal perimeters, field-investigations, and itemization of standards needed to be revised in order to properly reflect special school's demands. Research results of the necessary reinforcements for special school are as below.
For the construction of new special school, the shape of building must conform to the basic standards which would guarantee safety and convenience from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Regulation standards for connection facility were supplemented to improve accessibility of wheelchair users. Standards for designing vehicle stop areas and equipments were reinforced in order to accommodate convenience of school bus users.
For interior facilities, fortified standards were made for main entrance, corridors, doors, stairs, elevators, and ramps, considering user behaviors by types of disability. Classroom standards were also proposed to consider students' health and convenience.
Regulations for sanitary facilities were supplemented by complementing access structure and finish materials. Additional sanitary equipments were proposed for classrooms.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and to promote convenience of sight-impaired students, specific installation standards were made for guidance facilities.
Albeit current installation standards excluding evacuation facility requirements for special schools, regulations for the equipment and building structure necessary for evacuation were mandated for special-education school planning in order to reduce loss of lives in case of emergency.
The research also proposed reinforced standards against rain-shelter for exterior corridors, security office, stages, and other facilities required for running the school.
With the facility improved by the proposed standards reflecting special needs of special schools, the convenience and safety could be guarante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research had provided academical review of regulation reinforcements regarding special schools. Further progress could be made by enacting proposed standards from this research as installation guideline, and thus promotes the true goal of special education which is to help students with special needs to get qualified education and go into the world.
This research proposed an architectural design improvements to reinforce current standards regulating amenities in special-education schools. Among the methodologies applied in this research were literature review of present legal perimeters, field-investigations, and itemization of standards needed to be revised in order to properly reflect special school's demands. Research results of the necessary reinforcements for special school are as below.
For the construction of new special school, the shape of building must conform to the basic standards which would guarantee safety and convenience from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Regulation standards for connection facility were supplemented to improve accessibility of wheelchair users. Standards for designing vehicle stop areas and equipments were reinforced in order to accommodate convenience of school bus users.
For interior facilities, fortified standards were made for main entrance, corridors, doors, stairs, elevators, and ramps, considering user behaviors by types of disability. Classroom standards were also proposed to consider students' health and convenience.
Regulations for sanitary facilities were supplemented by complementing access structure and finish materials. Additional sanitary equipments were proposed for classrooms.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and to promote convenience of sight-impaired students, specific installation standards were made for guidance facilities.
Albeit current installation standards excluding evacuation facility requirements for special schools, regulations for the equipment and building structure necessary for evacuation were mandated for special-education school planning in order to reduce loss of lives in case of emergency.
The research also proposed reinforced standards against rain-shelter for exterior corridors, security office, stages, and other facilities required for running the school.
With the facility improved by the proposed standards reflecting special needs of special schools, the convenience and safety could be guarante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research had provided academical review of regulation reinforcements regarding special schools. Further progress could be made by enacting proposed standards from this research as installation guideline, and thus promotes the true goal of special education which is to help students with special needs to get qualified education and go into the world.
Keyword
#특수학교 편의시설 무장애 장애학생 안전 장애유형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