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또래상호작용, 정서적 실행기능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기표상능력, 언어능력, 또래상호작용, 정서적 실행기능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정서적 실행기능은 본 연구자가 감사를 수행하였으며, 또래상호작용은 연구대상 유아의 담임교사들이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정서적 실행기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에 대한 언어능력과 또래상호작용, 정서실행기능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또래상호작용, 그리고 정서적 실행기능의 ...
본 연구는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또래상호작용, 정서적 실행기능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기표상능력, 언어능력, 또래상호작용, 정서적 실행기능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정서적 실행기능은 본 연구자가 감사를 수행하였으며, 또래상호작용은 연구대상 유아의 담임교사들이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정서적 실행기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에 대한 언어능력과 또래상호작용, 정서실행기능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또래상호작용, 그리고 정서적 실행기능의 관계성을 분석하기 위해 I시와 K도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SD=2.14) 총 153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 언어능력, 또래상호작용, 정서적 실행기능 간의 단순 상관관계는 Pearson 적률상관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언어능력과 또래상호작용, 그리고 정서적 실행기능 간의 상대적 영향력은 단계적 중다회귀(Stepwise Multi-Regression)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기표상능력의 각 하위영역과 언어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의 하위영역인 기본도형과 선의 병합, 다양한 색채, 세부적 묘사, 조화로운 구성, 다양한 형체, 주제 관련 표상, 표상의 창의성, 그림의 완성, 표상과 언어의 연계성 모두 언어능력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또래상호작용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기표상능력 각 하위영역과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의 기본도형과 선의 병합, 다양한 색채, 세부적 묘사, 조화로운 구성, 다양한 형체, 주제 관련 표상, 표상의 창의성, 그림의 완성, 표상과 언어의 연계성 모두 또래상호작용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정서적 실행기능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정서적 실행기능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기표상능력 각 하위영역과 정서적 실행기능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의 기본도형과 선의 병합, 다양한 색채, 세부적 묘사, 조화로운 구성, 다양한 형체, 주제 관련 표상, 표상의 창의성, 그림의 완성, 표상과 언어의 연계성 모두 정서적 실행기능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언어능력과 또래상호작용, 정서적 실행기능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언어능력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고, 두 번째로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을 예측하는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정서적 실행기능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을 예측하는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언어능력과 또래상호작용, 정서적 실행기능의 각 하위영역들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 언어능력의 하위영역인 의미가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으로 나타났고, 두 번째로 유아 정서적 실행기능의 하위영역인 스티커 찾기 과제가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을 예측하는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유아 또래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놀이붕괴가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을 예측하는 부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은 언어능력, 또래상호작용, 정서적 실행기능과 상관관계가 있는 변인임과 동시에 언어능력의 하위영역인 의미와 정서적 실행기능의 하위영역인 스티커 찾기 과제가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적 예측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유아 또래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놀이붕괴가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부적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적절히 개입하여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정보들을 제공한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또래상호작용, 정서적 실행기능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기표상능력, 언어능력, 또래상호작용, 정서적 실행기능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정서적 실행기능은 본 연구자가 감사를 수행하였으며, 또래상호작용은 연구대상 유아의 담임교사들이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정서적 실행기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에 대한 언어능력과 또래상호작용, 정서실행기능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또래상호작용, 그리고 정서적 실행기능의 관계성을 분석하기 위해 I시와 K도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SD=2.14) 총 153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 언어능력, 또래상호작용, 정서적 실행기능 간의 단순 상관관계는 Pearson 적률상관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언어능력과 또래상호작용, 그리고 정서적 실행기능 간의 상대적 영향력은 단계적 중다회귀(Stepwise Multi-Regression)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기표상능력의 각 하위영역과 언어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의 하위영역인 기본도형과 선의 병합, 다양한 색채, 세부적 묘사, 조화로운 구성, 다양한 형체, 주제 관련 표상, 표상의 창의성, 그림의 완성, 표상과 언어의 연계성 모두 언어능력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또래상호작용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기표상능력 각 하위영역과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의 기본도형과 선의 병합, 다양한 색채, 세부적 묘사, 조화로운 구성, 다양한 형체, 주제 관련 표상, 표상의 창의성, 그림의 완성, 표상과 언어의 연계성 모두 또래상호작용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정서적 실행기능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정서적 실행기능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기표상능력 각 하위영역과 정서적 실행기능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의 기본도형과 선의 병합, 다양한 색채, 세부적 묘사, 조화로운 구성, 다양한 형체, 주제 관련 표상, 표상의 창의성, 그림의 완성, 표상과 언어의 연계성 모두 정서적 실행기능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언어능력과 또래상호작용, 정서적 실행기능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언어능력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고, 두 번째로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을 예측하는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정서적 실행기능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을 예측하는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언어능력과 또래상호작용, 정서적 실행기능의 각 하위영역들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 언어능력의 하위영역인 의미가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으로 나타났고, 두 번째로 유아 정서적 실행기능의 하위영역인 스티커 찾기 과제가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을 예측하는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유아 또래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놀이붕괴가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을 예측하는 부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은 언어능력, 또래상호작용, 정서적 실행기능과 상관관계가 있는 변인임과 동시에 언어능력의 하위영역인 의미와 정서적 실행기능의 하위영역인 스티커 찾기 과제가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적 예측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유아 또래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놀이붕괴가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부적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적절히 개입하여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정보들을 제공한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language ability, peer interaction, and hot executive function in early childhood.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analyzed children’s drawing using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ssessment tool, and condu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language ability, peer interaction, and hot executive function in early childhood.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analyzed children’s drawing using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ssessment tool, and conducted language ability and hot executive function tasks. Teacher reported on the children’s peer interaction by completing questionnaire. The total of 153 five-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form this study were then analyzed by SPSS 21.0 program,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regression. To concentrate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language ability in young children?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peer interaction in young children?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hot executive function in young children? Fourth,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language ability, peer interaction, and hot executive function on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in young children?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language ability have a positive correlation. Sub-categories of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which are ‘combination of lines and basic forms’, ‘use of color’, ‘details’, ‘harmonious composition’, ‘use of figure’, ‘representation related to theme’, ‘creative representation’, ‘completion of drawing’, ‘verbal representing drawings’ were found to have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language ability.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peer interaction have a positive correlation. Sub-categories of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which are ‘combination of lines and basic forms’, ‘use of color’, ‘details’, ‘harmonious composition’, ‘use of figure’, ‘representation related to theme’, ‘creative representation’, ‘completion of drawing’, ‘verbal representing drawings’ were found to have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peer interaction.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hot executive function have a positive correlation. Sub-categories of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which are ‘combination of lines and basic forms’, ‘use of color’, ‘details’, ‘harmonious composition’, ‘use of figure’, ‘representation related to theme’, ‘creative representation’, ‘completion of drawing’, ‘verbal representing drawings’ were found to have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hot executive function. Fourth, the result of stepwise multi-regression indicates that language ability has the strongest correlation with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when the peer interaction is added, it results in the second strongest correlation with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hot executive function is the next positive predict variable that could predict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In the relative influence of sub-variables from language ability, peer interaction, and hot executive function, 'meaning' from language ability has the strongest correlation to predict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when the ‘sticker search task’ from hot executive function is added, it results in the second strongest correlation with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play disruption’ from peer interaction is the next negative predict variable that could predict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has a correlation to language ability, peer interaction, and hot executive function. Specifically, ‘meaning’ from language ability, ‘sticker search task’ from hot executive function, and ‘play disruption’ from peer interaction were positive predict variables that c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By doing so, these study result offer the meaningful information for guidelines of promoti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language ability, peer interaction, and hot executive function in early childhood.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analyzed children’s drawing using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ssessment tool, and conducted language ability and hot executive function tasks. Teacher reported on the children’s peer interaction by completing questionnaire. The total of 153 five-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form this study were then analyzed by SPSS 21.0 program,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regression. To concentrate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language ability in young children?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peer interaction in young children?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hot executive function in young children? Fourth,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language ability, peer interaction, and hot executive function on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in young children?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language ability have a positive correlation. Sub-categories of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which are ‘combination of lines and basic forms’, ‘use of color’, ‘details’, ‘harmonious composition’, ‘use of figure’, ‘representation related to theme’, ‘creative representation’, ‘completion of drawing’, ‘verbal representing drawings’ were found to have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language ability.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peer interaction have a positive correlation. Sub-categories of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which are ‘combination of lines and basic forms’, ‘use of color’, ‘details’, ‘harmonious composition’, ‘use of figure’, ‘representation related to theme’, ‘creative representation’, ‘completion of drawing’, ‘verbal representing drawings’ were found to have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peer interaction.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hot executive function have a positive correlation. Sub-categories of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which are ‘combination of lines and basic forms’, ‘use of color’, ‘details’, ‘harmonious composition’, ‘use of figure’, ‘representation related to theme’, ‘creative representation’, ‘completion of drawing’, ‘verbal representing drawings’ were found to have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hot executive function. Fourth, the result of stepwise multi-regression indicates that language ability has the strongest correlation with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when the peer interaction is added, it results in the second strongest correlation with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hot executive function is the next positive predict variable that could predict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In the relative influence of sub-variables from language ability, peer interaction, and hot executive function, 'meaning' from language ability has the strongest correlation to predict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when the ‘sticker search task’ from hot executive function is added, it results in the second strongest correlation with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play disruption’ from peer interaction is the next negative predict variable that could predict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has a correlation to language ability, peer interaction, and hot executive function. Specifically, ‘meaning’ from language ability, ‘sticker search task’ from hot executive function, and ‘play disruption’ from peer interaction were positive predict variables that c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By doing so, these study result offer the meaningful information for guidelines of promoti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