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사회인구학적인 배경 변인에 따른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둘째,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셋째,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현직 교사 212명이며, 2016년 4월 15일부터 4월 22일 사이에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지능을 알아보기 위해 조혜진과 김수연(2011)이 유아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정서노동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이승미(2013)가 어린이집 교사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표현성을 알아보기 위해 신용은(2013)이 사용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어린이집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이정숙(2003)이 개발한 검사도구를 황문희(2013)가 영유아 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사회인구학적인 배경 변인에 따른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둘째,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셋째,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현직 교사 212명이며, 2016년 4월 15일부터 4월 22일 사이에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지능을 알아보기 위해 조혜진과 김수연(2011)이 유아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정서노동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이승미(2013)가 어린이집 교사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표현성을 알아보기 위해 신용은(2013)이 사용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어린이집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이정숙(2003)이 개발한 검사도구를 황문희(2013)가 영유아 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Win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Duncan's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살펴본 결과 연령, 결혼유무, 학력, 근무기관, 근무경력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정서지능은 결혼유무와 교사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정서노동은 연령과 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정서표현성은 연령, 결혼유무, 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서는 학력, 근무기관, 근무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결혼을 경험한 30~40대의 교사가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국공립 어린이집 근무하면서 5~7년 정도 이상의 경력을 소유했을 때 자기 정서를 가장 잘 인식하며 타인의 정서 또한 바르게 인식하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즉, 정서 활용 및 조절하는 능력이 발달하기 때문에 정서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자연적이고 자발적인 정서노동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자연적, 내면적 정서노동이 높아짐으로써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수준이 활발하고 긍정적으로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한편, 4년제 대학 이상의 학력을 소유한 교사가 민간 어린이집보다 근무환경이 좋고, 보수가 많으며 다양한 복지를 누릴 수 있는 국공립어린이집에서 보다 오랜 경력을 쌓으며 교직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고 영유아 발달의 기본 지식을 익힘으로써 관련 분야에 다양한 교육과 훈련을 받기 때문에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 간의 각각의 하위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전체는 정서지능 전체, 정서노동 전체, 정서표현성 전체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서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정서표현성은 정서지능이나 정서노동보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서 매우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은 서로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특히 정서표현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사회인구학적인 배경 변인에 따른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둘째,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셋째,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현직 교사 212명이며, 2016년 4월 15일부터 4월 22일 사이에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지능을 알아보기 위해 조혜진과 김수연(2011)이 유아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정서노동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이승미(2013)가 어린이집 교사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표현성을 알아보기 위해 신용은(2013)이 사용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어린이집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이정숙(2003)이 개발한 검사도구를 황문희(2013)가 영유아 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Win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Duncan's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살펴본 결과 연령, 결혼유무, 학력, 근무기관, 근무경력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정서지능은 결혼유무와 교사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정서노동은 연령과 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정서표현성은 연령, 결혼유무, 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서는 학력, 근무기관, 근무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결혼을 경험한 30~40대의 교사가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국공립 어린이집 근무하면서 5~7년 정도 이상의 경력을 소유했을 때 자기 정서를 가장 잘 인식하며 타인의 정서 또한 바르게 인식하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즉, 정서 활용 및 조절하는 능력이 발달하기 때문에 정서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자연적이고 자발적인 정서노동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자연적, 내면적 정서노동이 높아짐으로써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수준이 활발하고 긍정적으로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한편, 4년제 대학 이상의 학력을 소유한 교사가 민간 어린이집보다 근무환경이 좋고, 보수가 많으며 다양한 복지를 누릴 수 있는 국공립어린이집에서 보다 오랜 경력을 쌓으며 교직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고 영유아 발달의 기본 지식을 익힘으로써 관련 분야에 다양한 교육과 훈련을 받기 때문에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 간의 각각의 하위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전체는 정서지능 전체, 정서노동 전체, 정서표현성 전체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서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정서표현성은 정서지능이나 정서노동보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서 매우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은 서로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특히 정서표현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Influence of Daycare Center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n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Im, Young Mi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hongsh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ABSTRACT
The Influence of Daycare Center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n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Im, Young Mi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hongsh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aycare center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n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Th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objective are like below. First, how are the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in accordance with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variables of daycare center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correlations of daycare center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with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Third, what is the influence of daycare center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n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212 teachers currently working for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from April 15th to April 22nd 2016, the results were analyzed. Regarding tools of the research, using a tool with terms modified/complemented suitab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by Cho, Hye Jin and Kim, Su Yeon(2011) to examine daycare center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 tool modified/complemented suitable for daycare center teachers by Lee, Seung Mi(2013) was used to understand emotional labor. Using a test tool used by Sin, Yong Eun(2013) to examine daycare center teac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 test tool developed by Lee, Jeong Sook(2003) and then modified/complemented suitab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by Hwang, Moon Hee(2013) was used for interactions between daycare center teacher and young children. Using SPSS 18.0 Win Program for the collected data, it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Dunca's post-test if necess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examining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there were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age, matter of marriage, academic background, affiliated institution, and service period. The emotional intelligence was significant in the matter of marriage and teacher's experience while emotional lab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nd academic background.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significant in age, matter of marriage, and academic background whil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showed significant values in academic background, affiliated institution, and service period. This result shows when married teachers in their 30s-40s graduate from a four-year-course collage and then work for national daycare centers for 5-7 years, they correctly perceive their own emotion and others' emotion. In other words, they perform natural and voluntary emotional labor when expressing emotion as their ability to use/control emotion is developed Especially, as natural and internal emotional labor increases, the level of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get vitalized and also positively increased. Meanwhile, teachers who have graduated from four-year-course college accumulate a long career experience in national daycare centers providing better working environment, wage, and more diverse welfare than private daycare centers, and also have high level of interactions young children by raising positive awareness of teaching profession, learning about basic knowledge of children's development, and also receiving diverse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relevant area.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correlations of each sub-factor between interactions between daycare center teacher and young children and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whol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whole emotional intelligence, whole emotional labor, and whole emotional expressiveness. Third, daycare center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a high explanatory power of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Especially,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a much higher explanatory power of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than emotional intelligence or emotional labor.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daycare center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have close correlations. And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is also the most important factor having influence on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ABSTRACT
The Influence of Daycare Center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n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Im, Young Mi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hongsh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aycare center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n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Th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objective are like below. First, how are the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in accordance with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variables of daycare center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correlations of daycare center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with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Third, what is the influence of daycare center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n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212 teachers currently working for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from April 15th to April 22nd 2016, the results were analyzed. Regarding tools of the research, using a tool with terms modified/complemented suitab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by Cho, Hye Jin and Kim, Su Yeon(2011) to examine daycare center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 tool modified/complemented suitable for daycare center teachers by Lee, Seung Mi(2013) was used to understand emotional labor. Using a test tool used by Sin, Yong Eun(2013) to examine daycare center teac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 test tool developed by Lee, Jeong Sook(2003) and then modified/complemented suitab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by Hwang, Moon Hee(2013) was used for interactions between daycare center teacher and young children. Using SPSS 18.0 Win Program for the collected data, it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Dunca's post-test if necess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examining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there were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age, matter of marriage, academic background, affiliated institution, and service period. The emotional intelligence was significant in the matter of marriage and teacher's experience while emotional lab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nd academic background.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significant in age, matter of marriage, and academic background whil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showed significant values in academic background, affiliated institution, and service period. This result shows when married teachers in their 30s-40s graduate from a four-year-course collage and then work for national daycare centers for 5-7 years, they correctly perceive their own emotion and others' emotion. In other words, they perform natural and voluntary emotional labor when expressing emotion as their ability to use/control emotion is developed Especially, as natural and internal emotional labor increases, the level of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get vitalized and also positively increased. Meanwhile, teachers who have graduated from four-year-course college accumulate a long career experience in national daycare centers providing better working environment, wage, and more diverse welfare than private daycare centers, and also have high level of interactions young children by raising positive awareness of teaching profession, learning about basic knowledge of children's development, and also receiving diverse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relevant area.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correlations of each sub-factor between interactions between daycare center teacher and young children and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whol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whole emotional intelligence, whole emotional labor, and whole emotional expressiveness. Third, daycare center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a high explanatory power of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Especially,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a much higher explanatory power of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than emotional intelligence or emotional labor.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daycare center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have close correlations. And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is also the most important factor having influence on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Keyword
#Communication in educationDissertations Teacher-student relationshipsDissertation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childrenDissertations
학위논문 정보
저자
임영미
학위수여기관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학 전공
발행연도
2016
총페이지
iv, 79 p.
키워드
Communication in educationDissertations Teacher-student relationshipsDissertation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childrenDissertation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