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통제와 자립생활(신체적 자립, 심리적 자립, 사회적 자립, 정보화 자립, 경제적 자립)의 상관관계를 통해 첫째,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자기통제와 자립생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둘째,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자기통제와 자립생활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셋째,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자기통제가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총 203명으로 대전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80세 미만의 시각장애인 104명과 20세 이상 65세 미만의 비장애인 99명을 대상으로.자기통제와 자립생활 척도를 사용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 수집은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통제와 자립생활(신체적 자립, 심리적 자립, 사회적 자립, 정보화 자립, 경제적 자립)의 상관관계를 통해 첫째,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자기통제와 자립생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둘째,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자기통제와 자립생활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셋째,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자기통제가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총 203명으로 대전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80세 미만의 시각장애인 104명과 20세 이상 65세 미만의 비장애인 99명을 대상으로.자기통제와 자립생활 척도를 사용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 수집은 SPSS 20.0을 통해 기술통계분석, t검증, 상관분석, 단순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은 자기통제와 경제적 자립을 제외한 자립생활의 나머지 하위영역인 신체적 자립, 심리적 자립, 사회적 자립, 정보화 자립에서 유의미한 평균차이가 있다. 시각장애인이 비장애인인보다 낮은 평균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각장애인의 경우, 자기통제는 자립생활 하위영역 중 신체적 자립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정적인 상관관계 보였다. 비장애인의 경우에는 시각장애인과 달리 자기통제가 자립생활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각장애인의 경우, 신체적 자립을 제외한 자립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자기통제가 유의미하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장애인의 경우에는 시각장애인과 달리 자기통제와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자립생활, 자기통제, 시각장애인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통제와 자립생활(신체적 자립, 심리적 자립, 사회적 자립, 정보화 자립, 경제적 자립)의 상관관계를 통해 첫째,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자기통제와 자립생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둘째,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자기통제와 자립생활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셋째,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자기통제가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총 203명으로 대전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80세 미만의 시각장애인 104명과 20세 이상 65세 미만의 비장애인 99명을 대상으로.자기통제와 자립생활 척도를 사용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 수집은 SPSS 20.0을 통해 기술통계분석, t검증, 상관분석, 단순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은 자기통제와 경제적 자립을 제외한 자립생활의 나머지 하위영역인 신체적 자립, 심리적 자립, 사회적 자립, 정보화 자립에서 유의미한 평균차이가 있다. 시각장애인이 비장애인인보다 낮은 평균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각장애인의 경우, 자기통제는 자립생활 하위영역 중 신체적 자립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정적인 상관관계 보였다. 비장애인의 경우에는 시각장애인과 달리 자기통제가 자립생활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각장애인의 경우, 신체적 자립을 제외한 자립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자기통제가 유의미하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장애인의 경우에는 시각장애인과 달리 자기통제와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first, to find the differences of self-control and independent living between individuals with visual disabilities and the non-disabled, through the interrelation between self-control and independent living (physical independence, psychological independence, social indep...
The purpose of the study is, first, to find the differences of self-control and independent living between individuals with visual disabilities and the non-disabled, through the interrelation between self-control and independent living (physical independence, psychological independence, social independence, informatization independence, economic independence). Second, I investigated the interrelation between self-control and independent living, between individuals with visual disabilities and the non-disabled. Third, I examined the influence self-control of individuals with visual disabilities and the non-disabled on independent living. disabilities The target of this study is totally 203 Daejeon citizens, including 104 visually-disabled people aged 20 to 80 and 99 nondisabled people aged 20 to 65. I collected the self-report styled questionnaire data using the standard of self-control and independent living. In this research, I collected the data, through technology control analysis, t-verification, interrelation analysis, simple recurrence analysis. (SPSS 20.0)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significant averag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with visual disabilities and the nondisabled in a low area of independent living, including (physical independence, psychological independence, social independence, informatization independence, except for self-control and economic independence. Visually-disabled people have lower mean than nondisabled people. Second, in the case of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self-control showed the still interrelations, in all areas except for physical independence of independent living low area.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o significant interrelations between self-control and independent living, in the case of the nondisabled. Third, self-control of visually-impaired people is shown to be quite meaningful and influential in all areas of independent living, except for physical independence. Differently from visually-disabled individuals, self-control of nondisabled people has no impact on independent living. I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the following research, on the basis of this study resul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first, to find the differences of self-control and independent living between individuals with visual disabilities and the non-disabled, through the interrelation between self-control and independent living (physical independence, psychological independence, social independence, informatization independence, economic independence). Second, I investigated the interrelation between self-control and independent living, between individuals with visual disabilities and the non-disabled. Third, I examined the influence self-control of individuals with visual disabilities and the non-disabled on independent living. disabilities The target of this study is totally 203 Daejeon citizens, including 104 visually-disabled people aged 20 to 80 and 99 nondisabled people aged 20 to 65. I collected the self-report styled questionnaire data using the standard of self-control and independent living. In this research, I collected the data, through technology control analysis, t-verification, interrelation analysis, simple recurrence analysis. (SPSS 20.0)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significant averag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with visual disabilities and the nondisabled in a low area of independent living, including (physical independence, psychological independence, social independence, informatization independence, except for self-control and economic independence. Visually-disabled people have lower mean than nondisabled people. Second, in the case of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self-control showed the still interrelations, in all areas except for physical independence of independent living low area.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o significant interrelations between self-control and independent living, in the case of the nondisabled. Third, self-control of visually-impaired people is shown to be quite meaningful and influential in all areas of independent living, except for physical independence. Differently from visually-disabled individuals, self-control of nondisabled people has no impact on independent living. I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the following research, on the basis of this study resul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