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세계화・다문화・다변화・정보화된 사회로 인하여 사람과 장소, 그들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주변 세계를 탐색하는 중요한 시기인 유아기에 자신에게 의미있는 공간탐색 경험을 토대로 주변 세계를 이해하도록 돕는유아지리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은 유아 주변의 생활공간을 탐색하는 지리활동을 실시함으로써 유아가 주변 세계에 흥미를 가지고 지리개념 및 기술을 익힐 뿐만 아니라 유아 주변의 공간적 관계와 현상에 대한 지리적 사고와 태도를 경험하도록 고안된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지리교육의 내용 및 교육방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1-3]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1-4]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지리개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학습관련 사회적기술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문제 1]에서는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공 간탐색 및 유아지리교육과 관련된 국내・외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토대 로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및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교수·학습 단계와 방법을 구성하였으며, 교사역할과 평가방법을 선정한 후, 프로그램의 현장 적합성을 토대로 검토 및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유아교육 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의 공간능력, 지리개념, 학습관련 사회적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J시에 위치한 I유치원 만 5세 유아 48명(실험집단 24명, 비교집단 24명)이다. 연구도구는 홍혜경(2001)의 공간능력 검사도구, 김화자(2008)와 조영아(2009)의 지리개념 검사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제시한 김경후(2015)의 검사도구, 곽아정(2006)의 학습 관련 사회적기술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는 2015년 5월 25일부터 2015년 7월 24일까지 8주 간 총 24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에서는 일반적인 유아지리활동을 실시하였다. ...
사람들은 세계화・다문화・다변화・정보화된 사회로 인하여 사람과 장소, 그들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주변 세계를 탐색하는 중요한 시기인 유아기에 자신에게 의미있는 공간탐색 경험을 토대로 주변 세계를 이해하도록 돕는유아지리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은 유아 주변의 생활공간을 탐색하는 지리활동을 실시함으로써 유아가 주변 세계에 흥미를 가지고 지리개념 및 기술을 익힐 뿐만 아니라 유아 주변의 공간적 관계와 현상에 대한 지리적 사고와 태도를 경험하도록 고안된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지리교육의 내용 및 교육방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1-3]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1-4]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지리개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학습관련 사회적기술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문제 1]에서는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공 간탐색 및 유아지리교육과 관련된 국내・외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토대 로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및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교수·학습 단계와 방법을 구성하였으며, 교사역할과 평가방법을 선정한 후, 프로그램의 현장 적합성을 토대로 검토 및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유아교육 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의 공간능력, 지리개념, 학습관련 사회적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J시에 위치한 I유치원 만 5세 유아 48명(실험집단 24명, 비교집단 24명)이다. 연구도구는 홍혜경(2001)의 공간능력 검사도구, 김화자(2008)와 조영아(2009)의 지리개념 검사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제시한 김경후(2015)의 검사도구, 곽아정(2006)의 학습 관련 사회적기술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는 2015년 5월 25일부터 2015년 7월 24일까지 8주 간 총 24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에서는 일반적인 유아지리활동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실시에 따른 유아의 공간능력, 지리개념, 학습관련 사회적기술에 대한 효과 검증을 위해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집단간 사전・사후 검사 점수의 평균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분 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의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결과, ‘유아가 자신을 둘러싼 생활공간 속에서 지리적요소와 특성을 경험하여 지리적 감각과 소양을 체득하고 나아가주변의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지리적 지식과 기술 및 태도를 기른다.’를 목적으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첫째,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을 통해 유아 자신이 생활하는 공간 및 환경에 관심을 가진다. 둘째,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 교육을 통해 생활공간 및 주변 환경의 공간 특성을 의미있게 파악하여 공간능력을 향상시킨다. 셋째,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을 통해 사람과 사물 및 정보 등이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이해함으로써 지리개념을 증진시킨다. 넷째,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을 통해 문제해결과 대처능력과 같은 학습적으로 의미 있는 사회적기술을 습득한다.’ 로 선정하였다. 교육내용은 장소, 방향과 위치, 관계,변화와 대처방식으로 선정하였으며 교수・학습 방법 구안을 위한 교수・학습 원리 로는 공간 경험의 원리, 지리적 계열성의 원리, 관찰의 원리, 지속성의 원리를 제 시하였다. 교수・학습 단계는 도입, 전개, 마무리로 나누어 도입에서는 공간 떠올 리기, 전개에서는 공간의 지리적 특성 탐색하기, 지리 요소 이해하기, 지리적 시각으로 다양하게 표현하기를 실시하도록 하고 마무리에서는 정리하고 평가하기를 선정하였다. 교사 역할은 지리적 환경 준비자, 지리 탐구자, 지리적 이해 확장자, 질문 촉진자, 격려자의 역할을 제시하였으며 평가는 교사평가와 유아평가로 나누어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둘째, [연구문제 2]의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은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유아지리활동을 실시한 후, 유아의 공간능력, 지리개념, 학습관련 사회적기술을 검사하였다. 분석결과, 유아의 공간능력, 지리개념, 학습관련 사회적기술 사전검사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후검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공간능력, 지리개념, 학습관련 사회적기술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에게 의미 있는 생활공간을 탐색함으로써 유아가 자신을 둘러싼 주변 세계를 지리적으로 이해하고 주변 환경 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지리적 혜안과 태도를 증진시키도록 고안된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개발된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유아의 공간능력, 지리개념 및 학습관련 사회적기술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이로써 유아를 둘러싼 물리적, 문화적, 사회적, 경험적 생활공간 속에서 지리적 요소와 특성을 파악하고 그 의미를 경험하는 본 연구의프로그램이 유아지리교육 교수방법으로서의 교육적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사람들은 세계화・다문화・다변화・정보화된 사회로 인하여 사람과 장소, 그들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주변 세계를 탐색하는 중요한 시기인 유아기에 자신에게 의미있는 공간탐색 경험을 토대로 주변 세계를 이해하도록 돕는유아지리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은 유아 주변의 생활공간을 탐색하는 지리활동을 실시함으로써 유아가 주변 세계에 흥미를 가지고 지리개념 및 기술을 익힐 뿐만 아니라 유아 주변의 공간적 관계와 현상에 대한 지리적 사고와 태도를 경험하도록 고안된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지리교육의 내용 및 교육방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1-3]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1-4]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지리개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학습관련 사회적기술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문제 1]에서는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공 간탐색 및 유아지리교육과 관련된 국내・외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토대 로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및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교수·학습 단계와 방법을 구성하였으며, 교사역할과 평가방법을 선정한 후, 프로그램의 현장 적합성을 토대로 검토 및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유아교육 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의 공간능력, 지리개념, 학습관련 사회적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J시에 위치한 I유치원 만 5세 유아 48명(실험집단 24명, 비교집단 24명)이다. 연구도구는 홍혜경(2001)의 공간능력 검사도구, 김화자(2008)와 조영아(2009)의 지리개념 검사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제시한 김경후(2015)의 검사도구, 곽아정(2006)의 학습 관련 사회적기술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는 2015년 5월 25일부터 2015년 7월 24일까지 8주 간 총 24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에서는 일반적인 유아지리활동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실시에 따른 유아의 공간능력, 지리개념, 학습관련 사회적기술에 대한 효과 검증을 위해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집단간 사전・사후 검사 점수의 평균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분 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의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결과, ‘유아가 자신을 둘러싼 생활공간 속에서 지리적요소와 특성을 경험하여 지리적 감각과 소양을 체득하고 나아가주변의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지리적 지식과 기술 및 태도를 기른다.’를 목적으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첫째,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을 통해 유아 자신이 생활하는 공간 및 환경에 관심을 가진다. 둘째,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 교육을 통해 생활공간 및 주변 환경의 공간 특성을 의미있게 파악하여 공간능력을 향상시킨다. 셋째,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을 통해 사람과 사물 및 정보 등이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이해함으로써 지리개념을 증진시킨다. 넷째,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을 통해 문제해결과 대처능력과 같은 학습적으로 의미 있는 사회적기술을 습득한다.’ 로 선정하였다. 교육내용은 장소, 방향과 위치, 관계,변화와 대처방식으로 선정하였으며 교수・학습 방법 구안을 위한 교수・학습 원리 로는 공간 경험의 원리, 지리적 계열성의 원리, 관찰의 원리, 지속성의 원리를 제 시하였다. 교수・학습 단계는 도입, 전개, 마무리로 나누어 도입에서는 공간 떠올 리기, 전개에서는 공간의 지리적 특성 탐색하기, 지리 요소 이해하기, 지리적 시각으로 다양하게 표현하기를 실시하도록 하고 마무리에서는 정리하고 평가하기를 선정하였다. 교사 역할은 지리적 환경 준비자, 지리 탐구자, 지리적 이해 확장자, 질문 촉진자, 격려자의 역할을 제시하였으며 평가는 교사평가와 유아평가로 나누어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둘째, [연구문제 2]의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은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유아지리활동을 실시한 후, 유아의 공간능력, 지리개념, 학습관련 사회적기술을 검사하였다. 분석결과, 유아의 공간능력, 지리개념, 학습관련 사회적기술 사전검사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후검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공간능력, 지리개념, 학습관련 사회적기술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공간탐색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에게 의미 있는 생활공간을 탐색함으로써 유아가 자신을 둘러싼 주변 세계를 지리적으로 이해하고 주변 환경 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지리적 혜안과 태도를 증진시키도록 고안된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개발된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유아의 공간능력, 지리개념 및 학습관련 사회적기술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이로써 유아를 둘러싼 물리적, 문화적, 사회적, 경험적 생활공간 속에서 지리적 요소와 특성을 파악하고 그 의미를 경험하는 본 연구의프로그램이 유아지리교육 교수방법으로서의 교육적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